• 제목/요약/키워드: 위빙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Guideline Development for Managed Lane Access Spacing Using Gap Acceptance Theory (간격수락 이론을 이용한 다인승전용차로 진.출입을 위한 도로 디자인 지침정립)

  • Yang, Cheol-Su;Mattingly, Stephen P.;Kim, Hyeon-Ung;Gwon, Yong-J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4
    • /
    • pp.177-186
    • /
    • 2010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road design guidelines, especially for managed lane access spacing between the expressway on-ramp (or off-ramp) and managed lane access point. Managed lanes are typically located in the expressway median and are accessed by weaving across the mainlines. The high level of lane-changing activity present in weaving areas affects capacity significantly. One promising tool for the analysis of lane-changing activity is "gap acceptance theory." This paper estimates the capacity of weaving areas based on the estimated degree of traffic turbulence using gap acceptance theory. The degree of traffic turbulence is represented by a function of the probability that lane-changing vehicles can complete their maneuvers successfully in a given weaving distance. In developing road design guidelines based on the developed gap acceptance model, the minimum managed lane access spacing is determined where the capacity with respect to the managed lane access spacing becomes stable.

Crack Susceptibility Reduction and Weld Strength Improvement for Al Alloy 5J32-T4 by using Laser Weaving Method (레이저 위빙을 적용한 알루미늄 합금 5J32-T4의 용접균열 저감 및 용접강도 향상에 관한 연구)

  • Choi, Kwang-Deok;Ahn, Young-Nam;Kim,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2-112
    • /
    • 2009
  • 레이저 용접은 아크 용접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용접과 깊은 용입이 가능하며, 낮은 열입력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알루미늄 합금 용접 시 균열 감수성의 증가 및 용접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모재의 화학조성을 제어하는 방법과 부가적인 용접와이어를 공급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레이저 용접에 적용하기 쉽지 않다. 아크 용접과 전자빔 용접에서는 열원에 오실레이션을 적용하여 결정립 구조를 제어하여 용접강도를 증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합금 5J32-T4의 용접균열 저감 및 용접강도 향상을 위해 레이저 위빙을 적용하였다. 1mm 두께의 알루미늄 5J32-T4를 사용하였으며, 4kW급 디스크 레이저와 레이저용 스케너를 이용하여 레이저 위빙을 구현하였다. 고온균열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구속형 균열 평가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용접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겹치기 용접을 수행한 시편을 이용하였다. 고온균열 실험결과 레이저 위빙 적용 시 직선 용접에 비해 균열 감수성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전단인장강도 측정결과 레이저 위빙의 적용에 따라 직선 용접에 비해 높은 전단인장강도의 확보가 가능하였다.

  • PDF

Bezier Spline을 이용한 Weaving Motion 알고리즘을 적용한 선체 블록 내 용접 로봇의 시뮬레이션

  • 정원지;송태진;김기정;김대영;김재량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3-213
    • /
    • 2004
  • 최근 작업장에서 용접을 위해 로봇을 도입하는 사례가 많다. 단순한 장소뿐만 아니라 선체 블록 내와 같은 제약된 장소에서도 로봇을 많이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로봇의 다양화와 고기능화가 더욱더 요구되고 있다. 로봇의 용접을 위한 위빙 궤적은 용접 품질과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러나 로봇을 도입하여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 유연한 동작을 적용하기에는 말은 시행착오와 비용이 소요된다. 그래서 용접 로봇의 도입 이전 단계에서 위빙 궤적이 작업 환경에 맞게 로봇에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중략)

  • PDF

Determination of Weaving Section at Highway Collector-Distrivutor (집산로가 설치된 고속도로 위빙구간 유출입부 설계기준 제시)

  • Oh, Jaechul;Kim, Yoon Mi;Lee, Hyung Mu;Ha, Tae J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6
    • /
    • pp.879-885
    • /
    • 2018
  • The highway weaving section is a point where there is a conflict caused by entry and exit vehicles.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main line, an accumulation line should be installed. The design speed of the collecting part is 50 km/h, but the actual driver does not have proper deceler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speed.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driving behaviors, the design specification, and the driver 's viewing angle, the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 for safe entry and exit of collecting, connecting, and collecting roads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a distance of 60m is required from the point where the merging st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driver safety due to the conflict between entry and exit vehicles when applied to the weaving section where collecting roads are installed.

A New Planning Algorithm of Weaving Trajectory Using Bezier Spline for A Welding Robot (Bezier Spline을 이용한 용접 로봇의 새로운 Weaving Motion 궤적 생성 알고리즘)

  • 정원지;김대영;서영교;홍형표;홍대선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 /
    • v.13 no.3
    • /
    • pp.113-118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weaving trajectory algorithm for the arc welding of a articulated manipulator. The algorithm uses the theory of Bezier spline. We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conventional algorithms using Catmull-Rom curve and the new algorithms using Bezier spline.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evaluated based on the MATLAB environment in order to illustrate its good performance. Through simulations,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sult in high-speed and flexible weaving trajectory planning so that it's trajectory cannot penetrate into a base meta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lgorithm using Catmull-Rom curve.

A New Planning Algorithm of Weaving Trajectory Using Bezier Spline (Bezier Spline을 이용한 새로운 Weaving Motion 궤적 생성 알고리즘)

  • 김대영;김재량;정원지;서영교;홍형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06a
    • /
    • pp.1760-1763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weaving trajectory algorithm for the are welding of a articulated manipulator. The algorithm uses the theory of Bezier spline. We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conventional algorithms using Catmull-Rom curve and the new algorithms rising Bezier spline.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evaluated based on the MATLAB environment in order to illustrate its good performance. The algorithm has been implemented on to the industrial manipulator of DR6 so as to show its real possibility. Through simulations and real implementations,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sult in high-speed and flexible weaving trajectory planning and can reduce the processing time because it needs one-half calcul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lgorithm using Catmull-Rom curve.

  • PDF

Development of welding process to rootpass for U-Groove without gap in pipe 1GR butt welding (파이프 1G 회전 맞대기 용접에서 갭 없는 U-그루브의 루트패스 용접공정 개발)

  • Son, Chang-Hui;Kim, Nam-Gyu;Cho, Sang-Myeong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40-40
    • /
    • 2010
  • 산업현장에서는 파이프 또는 탱크류의 1GR용접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가지는 루트패스 용접을 위해 2~3mm의 루트갭을 띄우고 용접봉 또는 필러와이어를 사용하는 TIG용접을 주로 한다. TIG용접은 고품질의 이면비드가 얻어지며, 용접인자의 제어가 쉽다는 장점이 있어 루트패스 용접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루트갭을 띄우면 이면비드는 잘 얻어지지만 용착금속량이 많아지게 되어 제작원가가 상승되고, 또한 소모성 와이어를 사용하는 GMAW에 비해 생산성이 낮다. 따라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가지면서 생산성이 높은 1GR GMAW 루트패스 용접공정의 개발이 요구되지만, 이 경우도 루트갭이 2~3mm로 정해져 있으면 Fit-up공정에서 공수가 많이 필요하므로 근본적으로 루트갭이 없는 그루브에 대한 루트패스 용접이 더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루트면 2.7mm를 가지는 U-그루브의 갭 없는 루트패스 용접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가 형성되는 조건을 검토하기 위해 2.7t의 평판에 대하여 경사상진 각을 주고 기초 실험 후, U-그루브 맞대기 용접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때, 경사상진 각은 용융금속이 중력으로 인해 아크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그로 인해 아크가 모재에 직접 닿게 되어 용입이 더 깊게되므로, 이면비드의 형성에 더 유리하다. 두께 2.7t의 연강 시편 2개를 갭 없는 I-그루브 맞대기 이음에서 Ǿ1.2 연강 솔리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GMAW용접을 실시하였고, 용접전류, 용접속도, 경사상진 각, 위빙 폭, 위빙 주파수를 변경하여 각 조건에 대한 이면비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경사상진 각 $25^{\circ}$, 전류 200A, 위빙폭 3mm, 위빙주파수 3Hz의 조건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Fit-up중 발생할 수 있는 루트갭의 문제에 대하여 루트갭 1.2mm의 I-그루브 맞대기 용접에서 경사상진 각, 위빙 폭, 위빙 주파수는 갭 없이 실시한 실험에서 얻어진 가장 안정적인 결과를 사용하였고, 용접 전류, 용접 속도를 변경하여 이면비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갭이 없을 때보다 약 80A 낮은 전류 조건인 120A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앞선 실험들을 기초로 하여 U-그루브 맞대기 용접을 실시 하였고, I-그루브 맞대기 용접에서 사용한 조건들과 유사한 용접 전류, 용접 속도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Seam Tracker with Weaving Function (위빙기능을 가진 용접선 추적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Hyu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3 no.4
    • /
    • pp.113-117
    • /
    • 2007
  •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development of system in which the bead width can be controlled. In order to control the bead width, we designed the automatic seam tracking device by attaching the probe type strain gauge sensor, motor driving slide and encoder to check the moving distance, and interface card connected MCU(80Cl96KC) upside the speed controllable carriage. Seam tracking experiments were done by changing the bead width.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sampling data which were obtained by output voltage of strain gauge sensor and rotary encoder pulse every 50ms.

  • PDF

A Study of Heat Input Distribution on the Surface during Torch Weaving in Gas Metal Arc Welding (가스 메탈 아크 용접에서 토치 위빙 중 표면 입열 분포 해석에 관한 연구)

  • 김용재;이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4a
    • /
    • pp.316-319
    • /
    • 2001
  • In weaving welding where a V groove exists, the heat input distribu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defectiveness of the bead shape, undercut and over-lap. In this study, the amount of heat input, which is determined by the welding current, voltage, speed and weaving conditions is calculated through numerical methods. Furthermore, the heat input distribution as a two- dimensional heat source was observed when applied to each groove. Therefore, a heat input control algorithm is suggested to prevent the defects generated from undercut or over-lap, which was verifi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heat input distrib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