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웹 콘텐츠 분석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29초

온라인 외국어 교육 콘텐츠의 웹 아이덴티티 연구 -영어, 일어, 중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Web Identity of Online Education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Focused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 김미정;황정혜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493-49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대학학위 과정 교육을 목적으로 제작된 외국어 콘텐츠의 웹 아이덴티티 규명의 필요성과 규명된 웹 아이덴티티와 학습동기유발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데 중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 채택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는 타 교육 분야보다 각 민족 언어의 아이덴티티가 시각적으로 재현되는 방식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시된 바 있는 웹 아이덴티티 분석 기준에서 출발하여 온라인 교육 콘텐츠 측면에서 이를 적용 및 재해석하고, 온라인 교육 콘텐츠 의 웹 아이덴티티 기준을 추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4년제 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국내 0 사이버대학교의 외국어 교육 콘텐츠(영어, 일어, 중국어)의 사례를 웹 아이덴티티를 구현하는 세부 요소--시각디자인측면, 사운드측면, 인터페이스측면--에 맞추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각 외국어 교육 콘텐츠의 교육 효과 획득을 위한 학습동기유발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 제작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와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되지 않은 채 제작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 간의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등 학습동기유발 효과를 비교하는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외국어 교육 콘텐츠에 있어서 웹 아이덴티티의 개발과 적용이 외국어 교육 효과를 높이는 학습동기유발에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문화관광축제의 웹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b Contents Analysi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 전영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17-124
    • /
    • 2006
  • 본 연구는 문화관광부가 지정한 문화관광축제들에 대한 웹콘텐츠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웹콘텐츠를 분석하고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독자적인 도메인 구축의 필요, 외국어 정보의 제공, 회원 제도를 통한 메일링 서비스 등 수시로 지속적인 회원관리 서비스 필요, 세분화된 게시판 제공, 방문객의 동선을 고려한 동적정보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 PDF

콘텐츠 제작방식, 지각된 위험, 미디어 풍부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Design Pattern of Web Page, Perceived Risk and Media Richness to Customer Satisfaction)

  • 박봉원;이중만;이종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85-396
    • /
    • 2011
  • 인터넷의 웹페이지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지만, 크게 텍스트 중심의 웹페이지, 텍스트와 이미지로 구성된 웹페이지, 그리고 텍스트와 동영상으로 구성된 웹페이지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제작방식에 따라서 변하는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 수준과 미디어 풍부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들 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텍스트 형식의 웹페이지가 텍스트와 이미지 혹은 동영상으로 구성된 웹페이지에 비해서 지각된 위험 중 성능위험, 심리적 위험, 시간 위험 등으로 구성된 개인적 위험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풍부성 측면에서는 텍스트와 이미지 혹은 동영상으로 구성된 웹페이지가 텍스트 위주의 웹페이지에 비해서 상징성 및 사회적 실재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개인적 위험 및 텍스트 형식의 웹페이지는 고객 만족에 음의 영향을 미치며, 상징성 및 사회적 실재감은 양의 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는 지각된 위험과 미디어 풍부성의 개념을 콘텐츠 제작방식과 연결시킴으로써 기대와는 달리 동영상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성장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 규명한데 의의를 둔다.

국내 사이버대학 콘텐츠의 웹 접근성 평가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of Cyber Universities' Contents in Korea)

  • 이병수;이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24-233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사이버대학의 원격 교육이 웹 접근성 준수 기준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측정 및 분석하고,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정부인가 사이버대학 10곳을 선정하고, 기술적으로 평가가 가능한 요소를 중심으로 웹 접근성 평가 분석 도구인 'A-Prompt'를 사용하여 웹 접근성 적용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2006년 수행 하였던 '사이버대학의 원격 교육 웹 접근성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1.0'에 따른 접근성 향상 여부도 함께 확인하였다. 이 결과 대체 텍스트의 사용, 보조 설명 도구 지원 등의 항목이 많이 개선된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아직 국내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웹 콘텐츠를 모든 사람들이 이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및 원격교육의 대중화를 위해 교육용 콘텐츠의 접근성 적용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연중기획 집중조명 해외 DC시장6- 미국,유럽의 웹정보 콘텐츠 시장

  • 신승철
    • 디지털콘텐츠
    • /
    • 8호통권147호
    • /
    • pp.30-38
    • /
    • 2005
  •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국내디지털콘텐츠 산업은 성장세를 지속해왔다 . 그러나 기업간 수익편차가 심하고 IT분야의 내수시장이 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범 답안으로 해외 진출이 제시돼 왔다. 이에 <디지털콘텐츠>는 해외 주요국가의 디지털콘텐츠 시장에 대한 분석자료를 연재한다.연재 내용은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이 조사한‘2004년 디지털콘텐츠 산업 해외시장 보고서’를 재구성한 것으로 이번호에는 미국과 유럽의 웹정보 콘텐츠 시장에 대해 소개한다. 본 기사에서 다루는 웹정보 콘텐츠는‘정형화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축적돼 웹상에서 유통되는 정보 콘텐츠’에 한정한다.

  • PDF

국내 특성에 맞는 웹 분석 솔루션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12호통권79호
    • /
    • pp.88-89
    • /
    • 1999
  • 인터넷이 일반화 되어감에 따라 먼저 홈페이지를 개설했다는 단순한 사실보다는 웹 사이트를 어떻게 기획하고, 운영해 가는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트 운영에 관한 소프트웨어인 웹서버 분석 툴이 최근들어 관심을 끌고 있다. 국내 웹서버 분석 소프트웨어인 웹로그에 대해 살펴봤다.

  • PDF

문화관광축제 웹콘텐츠 분석 (Web Contents Analysis of Cutural Tourism Festival)

  • 전영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99
    • /
    • 2005
  • 문화관광부가 지정한 문화관광축제들에 대한 웹콘텐츠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웹콘텐츠를 내용분석하고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교평가를 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독자적인 도메인 구축의 필요, 외국어 정보의 제공, 회원제도를 통한 메일링 서비스 등 수시로 지속적인 회원관리 서비스 필요, 세분화된 게시판 기능부여, 관람객의 동선을 고려한 동적정보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 PDF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 지침별 비교 분석 (An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 Homepage Based on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 정덕길;이종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지능정보 및 응용 학술대회
    • /
    • pp.105-108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 공공기관,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 표준 지침에 패하여 알아보고, 표준 지침별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다. 또한, 웹 접근성 인증 기준에 의한 중요도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그리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 지침별 준수율을 비교 분석한다.

  • PDF

미술관 웹 사이트의 구조 및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 Analysis of Art Museum Websites in Korea)

  • 노동조;이승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77-30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미술관 웹 사이트를 분석하여 향후 미술관 웹 사이트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8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을 통하여 국내 미술관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한 다음, 다단계의 표본 추출 과정을 통하여 30개 미술관의 웹 사이트를 분석하였다. 미술관 웹 사이트의 구조와 메뉴를 분석하고,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 현황과 소장품에 대한 검색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 웹 사이트는 평균 5.6개의 상위 메뉴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미술관안내, 전시, 소식, 교육, 자유게시판, SNS와 관련된 콘텐츠는 미술관 웹 사이트에서 제공해야 할 기본 콘텐츠이다. 셋째, 뉴스, 교육, 행사와 관련된 콘텐츠의 경우, 일부 계층구조에 문제가 있어 조정이 필요하다. 넷째, 콘텐츠 유형에서는 전문정보형 콘텐츠가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미술관 웹 사이트는 소장품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해야 하며, 이를 검색하기 위하여 키워드 검색과 디렉토리 검색을 비롯한 상세 검색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검색결과에 대한 다운로드 기능과 정렬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디렉토리에 대한 재정비도 요구된다.

박물관 웹 사이트의 메뉴구조 및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Menu Structure and Contents in Museum Web Sites)

  • 노동조;이기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27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박물관 웹 사이트의 메뉴구조 및 콘텐츠 분석을 통하여 박물관 웹 사이트 메뉴구조의 발전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27개의 국립·공립·대학 박물관을 대상으로 메뉴구조를 콘텐츠 영역으로 구분, 정리하고 인포메이션 아키텍처의 구성요소인 조직화 시스템, 레이블링 시스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적절한 폭과 깊이의 계층구조,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레이블 사용, 소장품 검색 기능 제공 및 소장품 현황 업데이트, 웹 사이트 오류에 대한 즉각 수정, 웹 사이트의 지속적 관리 등을 발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