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웹 디자인

검색결과 535건 처리시간 0.028초

웹을 활용한 스마트폰 기반의 전자명함 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an Electron Card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Phone Utilizing Web)

  • 강지훈;문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9-731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통신사에서는 더욱 향상된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을 선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스마트폰 기반에서의 전자명함과 관련된 콘텐츠는 일정한 명함의 디자인 포맷이 정해져 있고 사용자가 직접 명함을 디자인하거나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웹과 연동하여 스마트폰과 PC에서 동시에 명함을 관리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명함을 디자인 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전자명함 관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모바일 웹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web design for efficient delivery of information)

  • 배윤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63-270
    • /
    • 2011
  • 국내에서 스마트폰의 사용자 증가로 인하여 모바일 웹에서 효율적인 정보 전달에 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 웹의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포털 모바일 웹 디자인에 관한 분석을 실시한 후,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모바일 웹 디자인을 파악하였다. 작은 화면에 압축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콘텐츠는 스크롤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이 이상적이다. 사용자들은 모바일 웹에서 간결하고 깔끔한 디자인과 손가락 터치가 쉬운 아이콘으로 제작된 메뉴를 선호하였으며 정보를 전달받을 때 텍스트 뿐 아니라 사진이미지를 텍스트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더 선호하였다. 향후, 본 논문의 결과와 함께 사용성 평가와 선호도 조사가 함께 이루어진다면 이후 후속 연구에서 모바일 웹에서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웹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제시될 수 있다.

고령자가 선호하는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Shopping Web Site Design of Silver Products Preferred by Elderly User)

  • 이미란;이재환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581-592
    • /
    • 2011
  • 본 연구는 고령자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게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 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항목은 제품 검색 단계에서의 메뉴디자인, 제품 고르기 단계에서의 이미지 배열 방식과 사용설명서의 제공방식, 제품 구매단계에서의 결제방식이다. 먼저 현황 조사를 통하여 국내에 개설되어 있는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의 각 항목에 대한 디자인 유형을 파악한 후 실험 평가도구를 디자인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를 61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혈압계를 찾아 구입하는 과제를 부과하여 사용하게 한 뒤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디자인에 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가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를 통해 제품을 구입할 때, 고령자의 관점에서 가장 사용하기 편하면서 보기 편한 디자인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 PDF

웹 로그(Web Log) 분석을 통한 정보의 활용

  • 김석기;안정용;한경수;한범수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3-127
    • /
    • 2000
  • 인터넷이 데이터 저장 및 서비스를 위한 도구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웹 서버 방문객에 대한 정보인 로그가 발생된다. 이러한 로그는 방문객 주소, 참조 페이지, 방문 시각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웹 로그에 대하여 패턴분석(pattern analysis), 군집분석(clustering), 판별분석(classification) 등의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방문객이 관심을 가지는 항목이나 항목간의 연관관계 등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여 웹 디자인 또는 비즈니스에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로그 분석에 대하여 소개하고 웹 로그 분석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패턴 디자인 협업 시스템 모델i (Cooperating Pattern Design System Model)

  • 김미진;박우창;이은옥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C)
    • /
    • pp.45-48
    • /
    • 2008
  • 디자인 팀들간의 효과적인 협업 작업을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실행할 수 있는 협동 플랫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을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 기반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웹 상의 패턴 지식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참여자들이 필요로 하는 지능적인 디자인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기반구조에 따라 설계된 웹 사이트는 디자이너들 간에 빠르고, 효율적인 패턴 설계를 지원한다.

  • PDF

사용자 경험 및 욕구파악을 통한 웹서비스 및 디자인 기획 (Web Service and Design Planning through Use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Desire)

  • 김진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97-104
    • /
    • 2007
  • 본 연구는 웹서비스 및 디자인 기획에서의 정량적 사용성 분석방법과 정성적 사용성 분석방법을 혼용하여 개발한 방법론의 소개를 통해 사용자 심층적 경험과 욕구파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및 이의 적극적 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론은 People, Prototype, Product에 대한 조사범주 및 3단계 순환과정의 반복과 탐험적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잠재된 경험과 욕구를 발견하고 이를 웹서비스 및 디자인 기획에 반영 가능하도록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니팅머신을 이용한 니트 커스터마이징 웹 사이트 사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of Knitting Customizing Website Using Knitting Machine)

  • 정제윤;서지영;이샘;남원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9-25
    • /
    • 2021
  • 본 연구는 니팅머신을 이용한 니트 커스터마이징 웹 사이트 개발 작업을 2년 반 동안 실시한 후 도출된 결과물을 담고 있다. 최근 패션계에서는 커스터마이징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니트 또한 니팅머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디자인할 수 있는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니팅머신용 웹 사이트는 일정한 사용성이나 레이아웃이 제공되지 않아 사용자가 오픈소스와 커스터마이징 디자인을 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팅머신을 이용하여 니트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사용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니트 커스터마이징 웹 사이트 개발 작업을 위해 진행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1차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커스텀 화면과 초기 출력 화면의 문제점을 찾았으며, 편의성, 직관성, 가독성 부분을 개선하였다. 수정된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2차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문제점이 보완된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도출된 웹 사이트를 통해 국내 니트 시장의 새로운 플랫폼의 대중화와 커스터마이징 웹사이트의 사용성 향상을 기대한다.

웹 사이트에서의 감성구조 및 감성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Sensibility and the Sensibility Factor in the Web Site)

  • 신은주;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60-471
    • /
    • 2009
  • 본 연구는 웹이라는 환경에서의 감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이는 웹에서의 사용자 감성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 주제를 가지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에서 웹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감성요인을 분석, 이를 바탕으로 한 감성구조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위 연구를 바탕으로 웹 디자인에서의 감성요인과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성요소와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서, 웹 디자인에서의 성공적인 감성디자인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는 감성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 중 하나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며, 결국 이러한 연구는 감성적 디자인의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는 과장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이너가 감성적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제작과 평가에 보다 이성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성공적인 감성디자인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 웹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niversal Web USER INTERFACE Design for a Disabled)

  • 이중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1-200
    • /
    • 2007
  •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가 중심이 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장애인들은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획득이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웹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유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조사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할 프로토 타입을 개발하여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고 심층면접을 통하여 쇼핑페이지에 있어서 장애인 계층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장애인 계층의 인터넷 사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커다란 시각적 요소의 사용과 단순화된 정보의 구조, 쉬운 마우스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디자인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사용인구의 증가와 함께 장애인 사용자도 증가하는 현 추세에서 장애인들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적용된다면 장애인 계층의 사용자는 보다 편리한 웹 사이트에서 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계층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웹 데이터 마이닝과 지식경영 프레임웍을 통한 지식-기반 디자인 패러다임 구축 (The Knowledge-Based Design Paradigm through Web Data Mining and Knowledge Management Framework)

  • 양종열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159-168
    • /
    • 2002
  • 세계는 지식정보사회(knowledge information society)에 돌입하였다. 정보기술은 지식경영을 등장시킨 요인중의 하나이며 지식경영발전을 가속화시키는 원동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정보기술과 인터넷은 눈부신 발전을 해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하의 방대한 인터넷 데이터에서 웹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고객에 대한 숨겨진 지식을 창출하고, 그 지식을 지식경영프레임웍에 적용한 지식-기반디자인 패러다임을 구축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실시간에 고객에 대한 유용한 지식을 창출하여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디자인을 개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 고찰에서 지식경영프로세스와 웹 데이터 마이닝에 관련된 다양한 사전 연구들을 살펴보고 지식경영프로세스와 웹 데이터 마이닝을 결합하여 새로운 지식-기반 디자인 패러다임(본 연구에서는 웹 데이터 마이닝과 지식경영프로세스가 통합하여 구현된 진정한 의미의 eCRM을 지식-기반 디자인패러다임이라 칭한다)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