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웹해킹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47초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연구 (The Research for Cyber Security Experts)

  • 김슬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137-1142
    • /
    • 2017
  • 사이버 해킹공격과 사이버테러는 국민 생활에 피해를 주고, 결국엔 국가 안보가 위협을 당하고 있다. 사이버 해킹공격으로 원자력 냉각시스템 설계도면이 유출되었으며, 청와대 홈페이지의 해킹, KBS 방송국 해킹 등 사이버사고가 발생하였다. 정보통신기반보호법,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이 사이버공격의 책임을 지우고 있으나, 새로운 기술로 무장한 해커의 공격을 막기는 어렵다. 본 논문은 사이버안보를 위한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을 연구한다.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위한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웹 해킹, 시스템 해킹, 네트워크 해킹의 기술과 평가를 통해 사이버보안 전문가 자격증 제도를 도입한다. 사이버보안 전문가 자격증 운영과 취득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가 사이버안보를 위한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육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멀티테넌시 기반 웹 사이트의 OWASP TOP 10 보안취약성 검증 방법 (Verification Methods of OWASP TOP 10 Security Vulnerability under Multi-Tenancy Web Site's Environments)

  • 이도현;이종욱;김점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3-51
    • /
    • 2016
  • 요즘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해킹과 수 많은 사이트에서 개인정보의 노출로 인한 웹 사이트의 보안 문제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한 피해가 날로 높아지고 있어 그에 대한 대책으로 안전한 웹 사이트 제작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웹 사이트의 제작 시에 오픈소스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프로젝트를 고려한 OWASP TOP 10 취약점 확인방법을 제안하였고, 제안 방법을 적용하여 보안취약점을 검증하는 방법 및 취약점 개선 후 성능에 대해 분석하였다.

높은 이식성을 제공하는 향상된 웹 서비스 보안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vanced Web Services Security System With High Portability)

  • 문창현;박지수;박종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87-989
    • /
    • 2012
  • 현대사회에서 웹 서비스의 대중화로 인한 정보누출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웹 서비스에 대한 보안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웹 서비스 제공자에게 취약점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공개된 취약점에도 보안이 되지 않은 웹 서비스들이 다수 존재하고 새로운 해킹기법들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보안솔루션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입력값을 검증하여 무분별하게 입력되는 Script 공격을 방어하는 높은 이식성을 제공하는 향상된 웹 서비스 보안 시스템을 설계 및 프로토타입을 구현한다.

접근 제어를 이용한 교차 사이트 스크립트 필터링 (Malicious Cross Site Script Filtering Using ACL)

  • 김형주;예홍진;조은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799-801
    • /
    • 2002
  • 최근 웹 메일은 사용과 관리의 편리함 등으로 그 사용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웹 메일은 본래 보안 기능을 중시해서 만들지 않았다는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탈법적인 해킹이나 토정 같은 악의적인 공격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e-메일과 HTML, 스크립트 언어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 이후로 스크립트를 이용만 인터넷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스크립트 공격 중 상호 교차된 사이트 스크립트 공격에 대해서 기술하고 이 공격의 실행을 성공적으로 막을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 PDF

웹 기반에서 시스템 보안 취약점을 진단하는 시스템 (A System to Diagnose Security Vulnerabilityes of System on Based Web)

  • 서현진;강태호;이재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632-634
    • /
    • 2000
  • 최근에 일어나는 해킹 사고의 대부분은 스캐닝 도구를 사용하여 일차적으로 공격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취약점 정보를 수집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에 대해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자들은 자신의 시스템의 취약점에 대한 정보 부족과 기술 부족으로 인하여 무방비 상태로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대부분은 스캐닝 도구들은 처음에는 시스템 보안취약점 진단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해커들에 의해 악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에 미숙한 관리자도 시스템의 취약점을 쉽게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웹 기반에서 시스템 보안 취약점을 진단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SL/TLS, WTLS의 현재와 미래

  • 이진우;남정현;김승주;원동호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36
    • /
    • 2004
  • 최근, 인터넷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해킹이나 바이러스,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발생 빈도도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러한 역기능들을 방어 통제하기 위한 웹 보안의 중요성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SSL/TLS와 WTLS는 전송 레벨 웹 보안 프로토콜로서 현재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의 무결성 및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안 시스템 개발 시 그 활용도가 매우 크다. 본 고에서는 SSL/TLS와 WTLS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각 프로토콜의 주요 동작과정 및 안전성을 분석한다. 또한, 사용자의 익명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SSL/TLS을 확장한 SPSL(Secure and Private Socket Layer) 프로토콜을 분석하며, 향후 SSL/TLS와 WTLS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모색한다.

통합보안관리 에이전트를 확장한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 탐지 연구 (A Study of Web Application Attack Detection extended ESM Agent)

  • 김성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1-168
    • /
    • 2007
  • 웹에 대한 공격은 웹 서버 자체의 취약점 보다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 논리, 코딩상의 오류를 이용한다. OWASP에서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을 10가지로 분류하여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웹 해킹의 위험성과 피해가 심각함을 잘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웹 해킹에 대한 탐지능력 및 대응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웹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패턴 매칭을 이용한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코드를 수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새로운 공격에 대해서는 탐지 및 방어가 어렵다. 또한 침입탐지시스템이나 웹 방화벽과 같은 단위보안 제품을 도입할 수 있지만 운영과 지속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며 많은 탐지의 오류를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와 파라미터 입력 값에 대한 타입, 길이와 같은 특성 값들을 추출하는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사전에 웹 어플리케이션 구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사용자 입력 값 검증의 부재에 대한 해결과 비정상적인 요청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의 프로파일 식별자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공격 탐지가 가능하다.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은 현재 대부분 조직에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일반화 되어있다. 그래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의 보안 감사 로그 수집 에이전트에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 탐지 기능을 추가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추가 단위보안제품을 도입하지 않고서도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사례기반추론기법을 적용한 침해사고 프로파일링 시스템 (Applying CBR algorithm for cyber infringement profiling system)

  • 한미란;김덕진;김휘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069-1086
    • /
    • 2013
  • 최근에 발생하는 웹 사이트 해킹은 기업의 이미지와 평판에 악영향을 끼치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웹 사이트 변조 행위는 해커의 정치적인 동기나 성향을 반영하기도 하므로, 행위에 대한 분석은 해커나 해커 그룹을 추적하기 위한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웹 사이트에 남겨진 특정한 메시지나 사진, 음악 등의 흔적들은 해커를 추적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고, 인코딩 방법과 해커가 남긴 메시지에 사용된 폰트,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해커의 SNS ID 또한 해커의 정보를 추적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zone-h.org의 웹 해킹 사례들로부터 특성들을 추출하고, CBR(Case-Based Reason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침해사고 프로파일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해커의 흔적과 습관에 관한 분석 및 연구는 추후 사이버 수사에 있어 공격 의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IDSS(Investigation Detection Support System)로써 중요한 역할을 기대 할 수 있으리라 본다.

감염된 TTF(True Type Font)파일에 대한 연구 및 대응방법 (A Study and Countermeasure of the Infected TTF(True type Font) Files)

  • 박연진;오주혜;이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83-285
    • /
    • 2016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M2M(Machine-to-Machine) 산업분야의 시스템이 다기능 고성능화되고 있으며 IoT(Internet of Things), IoE(Internet of Everything)기술 등과 함께 많은 발전해가고 있다[1]. 가장 오래 된 정보통신 기술의 근간인 웹 애플리케이션은 점점 발전하고 고도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해킹하는 기술도 다양한 관점에서 발전하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파일인 TTF(True Type Font)파일에 대한 보안적 관심이 필요하다. TTF파일을 외부에서 받아옴으로서 웹 애플리케이션에 적용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때, 다른 서버에서 URL을 통해 받아오는 TTF파일에 대해 보안적 검사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TTF파일의 감염과 그 파일에 대한 대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