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웨이블릿 변환

Search Result 71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Image coding Using Modified Block Zerotree (수정된 블록 제로트리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 권진수;유지상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4B
    • /
    • pp.471-478
    • /
    • 2001
  • 웨이블릿 변환은 영상을 위치 정보와 주파수 정보를 가지고 표현함으로서 다른 변환 방식과는 큰 차이를 보여준다. 웨이블릿 변환된 2-D 영상은 인간의 시각 체계(Human Visual System)에 적정한 양자화 및 부호화를 위한 계층적 구조를 제공한다. 인간의 시각이 민감하게 감지하는 성분은 정확하게 부호화하고 다른 성분은 적절한 정보의 손실을 적용하는 원리를 이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런 웨이블릿 변환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제로트리(zerotree) 부호화 기법은 영상 전체에서 의미 있는 계수를 선별하여 약속된 우선 순서대로 부호화함으로써 매입파일(embedded file)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Shspiro 가 제안한 EZW(embedded Zerotree wavelets)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화소 단위가 아닌 블록 단위로 부호화 함으로서 좀더 나은 성능을 가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Wavelet Based Image Coding Using Zerotree (제로 트리를 이용한 웨이블릿 영상 부호화)

  • 지연숙;변혜란;유지상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3B
    • /
    • pp.323-331
    • /
    • 2001
  • 새로운 변환 방식으로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웨이블릿 변환은 영상을 시간(위치정보)와 주파수 공간(주파수 정보)에서 동시에 표현함으로서 다른 변환 방식과는 큰 차이를 보여준다. 이런 웨이블릿 변환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제로트리 분호화 기법은 영상 전체에서 의미 있는 영상 계수를 선별하여 약속된 우선 순위대로 부호화함으로서 매입 파일(embedded file)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압축율이 큰 경우 제로 트리 부호화 과정 중 불확실 구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측정하여 최적의 오차 코드북을 생성한 후 복원시 참조함으로서 결과의 향상을 보이고자 하였다. 오차 교정은 제로트리 부호화 과정에서 손실되기 쉬운 고주파수 밴드에 적용하여 복원시 영상의 자세한 성분을 살리는데 효과적이었다. JPEG과 DCT기반 영상압축 결과에 비하여 화질에서 더 좋은 성분을 보일 뿐 아니라 고압축 복원시 발생하는 DCT 특유의 블록화 현상도 제거되었다.

  • PDF

Image Transmission using Wavelet Transform in the Noisy Channel (잡음성 채널에서 잡음의 영향을 적게 받는 영상신호 전송에 관한 연구)

  • Seo Joon Hyeok;An Chong Koo;Lee Tae H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23-126
    • /
    • 1999
  • 일반적으로 영상신호는 푸리에 분석법에 기초를 두고 있는 DST를 이용하여 압축된다. 그러나 DCT는 블록변환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영상신호를 높은 압축률로 압축하거나 압축한 영상신호를 잡음이 존재하는 통신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면 복원한 영상신호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블록현상이 수신측에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을 이용하여 잡음에 강한 특성을 가지는 영상신호의 압축방법을 연구하였다. 서로 다른 서브밴드에 속하는 웨이블릿 계수들은 직교 웨이블릿에 의하여 생성되었지만, 변환 방향과 원천이 같은 계수들의 경우 서로 종속적인 관계를 가지므로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압축하였다. 웨이블릿을 이용하여 압축된 영상신호는 최근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서 많은 고속 통신 서비스의 기초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는 OFDM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송하였다.

  • PDF

Extracting Arrhythmia Classification Fuzzy Rules Using A Neural Network And Wavelet Transform (퍼지 신경망과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부정맥 분류 퍼지규칙의 추출)

  • Kim Deok-Yong;Lim Joon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110-113
    • /
    • 2005
  • 본 논문은 가중 퍼지소속함수 기반 신경망(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stions, NEWFM)을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로부터 조기심실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을 판별하는 퍼지규칙을 추출하고 있다. NEWFM은 자기적응적(self adaptive) 가중 퍼지소속함수를 가지고 주어진 입력 데이터로부터 학습하여 퍼지규칙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상 파형과 PVC 파형을 구분한다. 분류 성능 평가를 위하여 MIT/BIH 부정맥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NEWFM의 입력은 심전도의 파형에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하여 추출된 웨이블릿 계수를 사용하였다. 여기에 비중복면적 분산 측정법을 적용하여 중요도가 낮은 계수를 제거하면서 최소의 m 개 특징입력만을 사용한 하이퍼박스로 단순화 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추출된 2개의 웨이블릿 계수를 사용한 퍼지규칙은 $96\%$의 PVC 분류성능을 보여준다.

  • PDF

Adaptive Regularized Enhancement of Wavelet Compressed Video (웨이블릿 압축 동영상의 정칙화 기반 적응적 개선에 관한 연구)

  • 정정훈;기현종;이성원;백준기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4
    • /
    • pp.39-44
    • /
    • 2004
  • The three-dimensional (3D) wavelet transform with motion compensation is suitable for very high quality video coding due to both spatial and temporal decorrelations. However, it still suffers from image degradation such as ringing artifact and afterimage because of the loss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by quantization. This paper proposes an iterative regularized enhancement of the motion-compensated 3D wavelet coded video. We also propose the adaptive implementation of the constraints for the regularization. It selectively suppresses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along only the corresponding edge direction.

A Study of Spectral Domain Electromagnetic Scattering Analysis Applying Wavelet Transform (웨이블릿을 이용한 파수영역 전자파 산란 해석법 연구)

  • 빈영부;주세훈;이정흠;김형동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1 no.3
    • /
    • pp.337-344
    • /
    • 2000
  • The wavelet analysis technique is applied in the spectral domain to efficiently represent the multi-scale features of the impedance matrices. In this scheme, the 2-D quadtree decomposition (applying the wavelet transform to only the part of the matrix) method often used in image processing area is applied for a sparse moment matrix. CG(Conjugate-Gradient) method is also applied for saving memory and computation time of wavelet transformed moment matrix. Numerical examples show that for rectangular cylinder case the non-zero elements of the transformed moment matrix grows only as O($N^{1.6}$).

  • PDF

Image Compression Using Wavelet (웨이블릿을 적용한 영상 다중 압축)

  • Cho, Myeong-Jin;Kim,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570-2572
    • /
    • 2003
  • 본 논문은 웨이블릿을 적용하여 영상의 다중 압축에 대하여 논한다. 정보 전송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전송 속도이고, 이 전송 속도는 데이터의 용량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고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는 많은 불이익이 따르게 되므로 데이터 압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압축률은 데이터의 손실에 비례하므로 높은 압축률을 사용할 경우 많은 데이터를 손실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많은 데이터 중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영상 데이터에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다중 압축함으로서 압축률을 높이고 영상 데이터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영상데이터에 웨이블릿을 적용하여 다중 압축을 함으로서 같은 압축률에서 영상 데이터의 손실을 일반적인 1단계 변환 압축 방법보다 줄이게 되었음을 보였다.

  • PDF

Noise Reduction Algorithm by using Multiple filtering (다중 필터링 방법을 이용한 영상의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

  • Kim, Jin-Kyum;Kim, Dong-Wook;Seo,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6-237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avelet - based image noise reduction algorithm. We develop wavelet transform of existing Mallat Tree method. First, we propose a multiple filtering method. Maximizes the energy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of the wavelet transform considering the energy of each subband in the wavelet domain. We apply the proposed multiple filtering to the noise image. Finds energy subbands that can not be seen in normal images and removes them to remove noise.

  • PDF

JPEG Pleno Hologram Compression Using Quantized Wavelet Trees (양자화된 웨이블릿 트리를 사용한 JPEG Pleno 홀로그램 압축)

  • Wooseok Kim;Kwan-Jung Oh;Young-Ho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139-140
    • /
    • 2022
  • 최근에 정지 홀로그램에 대한 표준화 및 압축 방법에 대한 연구를 JPEG Pleno에서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기존 연구들에서 웨이블릿 변환의 효율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왔다. 웨이블릿 변환기반의 압축에서 EZW, EBCOT 그리고 SPIH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부대역 단위의 제로트리 기반의 알고리즘들은 고해상도의 영상에 대해서 고압축으로 코딩할 경우에 비트스트림 제어 시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EBCOT는 지나치게 복잡도가 높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홀로그램의 압축을 위해 양자화된 웨이블릿 트리를 사용하여 압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양자화 트리는 해당 홀로그램의 대표 계수 값을 양자화하여 획득한다. 양자화 트리를 사용하여 양자화한 후에 원본과의 차이 값을 SPIHT를 통해 압축하여 목표 BPP에 맞게 압축한다.

  • PDF

The Applicability for Earth Surface Monitoring Based on 3D Wavelet Transform Using the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ry (다중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3차원 웨이블릿 변환의 지구모니터링 응용가능성 연구)

  • Yoo, Hee-Young;Lee, Ki-W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2 no.6
    • /
    • pp.560-574
    • /
    • 2011
  • Satellite images that have been obtained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are very effective data to monitor the changes of Earth's surface. Traditionally, the studies on change detection using satellite images have mainly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two results after analyzing two images respectively. However, the interests in researches to catch smooth trends and short duration events from continual multi-temporal images have been increased recently. In this study, we introduce and test an approach based on 3D wavelet transform to analyze the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s. 3D wavelet transform can reduce the dimensions of data conserving main trends. Also, it is possible to extract important patterns and to analyze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 with neighboring pixels using 3D wavelet transform. As a result, 3D wavelet transform is useful to capture the long term trends and short-term events rapidly. In addition, we can expect to get new information through sub-bands of 3D wavelet transform which provide different information by decomposed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