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평균 소득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Father's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Fostering and Children's Vocabulary (여성 결혼 이민자의 다문화 가정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실태와 유아의 어휘력과의 관계)

  • Lee, Min-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1
    • /
    • pp.211-222
    • /
    • 2016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effect of the variables (age, education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relating to the multi-cultural family father(MF) on children's vocabulary(CV),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fostering(FPCF) and CV. FPCF in 24 MFs and CV were evaluated using the questionnaire,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ather's education level, average income, occupation, and CV. FPCF score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s age and CV.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PCF scores and CV. And some interview examples were illustrated in this paper.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Joint Decision Making of Housewives - Urban Housewives of 30~40 Ages in Daegu - (주부의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 공동참여와 가정생활만족도 - 대구시 거주 30~40대 주부를 대상으로 -)

  • 손현숙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35-46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자녀를 둔 도시 주부의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대구시에 거주하는 30대와 40대의 주부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가족환경변인과 부부상호작용변인으로는 의사결정 공동참여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가정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색한 결과 주부의 건강상태, 월평균 소득, 남편직업만족 변인은 가정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인학력과 남편학력은 의사결정 공동참여를 경유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Income Change and Income Level on Depressive Symptom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Examination of Gender Differences (COVID-19 팬데믹 기간의 소득 변화와 소득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 Park, Kyeongwoo;Chang, Hyei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7 no.4
    • /
    • pp.435-455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come change and income leve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n individuals' depression, and to test how those associations may differ by gender. Participants consisted of 634 adults(Mage=44.18, SDage=13.88, 313 females) recruited through an online research company. Participant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income change, average monthly income for the past six months, and the Korean version of CES-D.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creases in income, but not levels of income, significantly predicted levels of depression. Furthermore, both income change and income level interacted with gender to predict depression. Specifically, income change predicted depression only for males, while income level predicted depression only for fema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income-related indicators on depression during the pandemic may differ by gender. The study also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by proposing gender as a potential factor to consider in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to prevent depression during the pandemic.

아파트선택가구의 사회$\cdot$경제 및 주거특성에 관한 연구

  • 장성수;윤혜정
    • 주택과사람들
    • /
    • s.104
    • /
    • pp.177-204
    • /
    • 1999
  • 본 논문은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이주시 아파트를 주택유형으로 선택하는 입주자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아파트를 선택하는 주민의 인구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주거상태와 향후 희망하는 주거상태가 아파트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로짓모형을 통해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시의 주민 2000가구의 설문조사결과를 통해 향후 아파트로 이주하고자 희망하는 주민의 특성 및 현 주거와 향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사항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가구의 아파트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그 가구의 현주거상태와 희망하는 주거수준, 그리고 가구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이 작용하는데 현주택상황과 관련하여서는 현 주택규모가 클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희망하는 주거수준과 관련해서는 희망하는 주택의 방수가 적을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어떠한 독립변수보다 아파트 선택에 강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어떠한 독립변수보다 아파트 선택에 강하게 작용한다. 이밖에 가구의 월평균소득과 월평균 저축도 아파트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elated Factors to Obesity in Fresh Recruits (일개 군 부대 입소장정의 비만 관련요인)

  • Lee, Hyoung-Yong;Hong, Jee-Young;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Hwang, Ji-Hy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996-999
    • /
    • 2010
  • 본 연구는 성인 남성들의 비만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회 경제적, 건강관련 행동적 측면에서 규명하기 위하여 일개광역시 A부대에 2009년 4월과 5월에 입소한 장병 4,923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행태관련 설문조사를 한 후 비만도를 산출하고 비만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입대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비만과의 관련성에서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경제적 수준에 따른 비만의 유병률에 대한 일관성 있는 결과가 도출되고 있지 못한 실정으로 연령, 유전, 직업, 교육수준, 소득 등의 지표들을 사용한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imulation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Behaviors with Measured Field Slope Length and Slope in Hae-an Watershed using SWAT (해안면 유역의 실측 경사장과 경사도를 이용한 SWAT 토양유실량과 유사량 모의 평가)

  • Yoo, Dong-Sun;Heo, Sung-Gu;Jun, Man-Sig;Kim, Ki-Sung;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82-1086
    • /
    • 2008
  • 소양강댐 유역에서 몇 년간 계속되는 고탁수 문제가 좀처럼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탁수발생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농경지를 중심으로 유입되는 토양유실이 가장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고랭지 농경지에서 소득 작물에 대한 연작피해 경감, 작물의 생산성 향상과 농민들의 소득 증대와 연관되어 무분별하게 농경지에 행해진 객토와 농약 및 비료는 수질 악화의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토양유실량 추정을 위한 여러 모형들이 개발되었다. 이 중, SWAT 모형은 미국 농무성의 농업연구소에서 개발된 유역단위 모형으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토양과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에 따른 수문과 유사 및 농업화학물질의 거동에 대하여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형이다. 이 SWAT모형은 유역내 수문 및 유사 모의시, DEM을 기반으로 유역 평균경사도를 이용하여 경사도-경사장 관계식 산정 경사장을 유역내 모든 수문학적 반응단위 (HRU: Hydrologic Response Unit)의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는 SWAT 모의 유사량과 실측 자료에 있어서 큰 차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안면 지역의 모든 농경지에 대해 강원발전연구원에서 전수 조사한 실측 경사장 및 경사도 자료를 반영할 수 있도록 소유역내 모든 HRU에 면적 가중 경사도/경사장을 할당해 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준분포 모형인 SWAT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그 결과 유출량의 경우 면적 가중 실측경사장 및 경사도를 적용 유무에 따라 월 평균유량 3,951,537 m3/month, 3,953,947 m3/month로 2,410 m3/month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유사량의 경우 면적 가중 실측경사장 및 경사도 적용 하였을 경우 10,826 ton/month 이고, 기존 SWAT 예측 유사량은 월평균 3,642 ton/month으로 7,184 ton/month (66.4 % 차이)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SWAT 모형 적용시 경사장 및 경사도 산정에 따라, 유사량이 과소 또는 과대 평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the Working-Time Stratification in Korea (한국의 노동시간 계층화에 대한 연구)

  • Shin, Young Min;Hwang, Gyu Seong
    • 한국사회정책
    • /
    • v.23 no.3
    • /
    • pp.17-47
    • /
    • 2016
  • This paper aims to analysis working-time of Korea focusing on "the difference and the distribution" by a stratum. Classifying working-time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marginal part-time, part-time work, standard-time work and long-time working, it compares the relative distribution by income quintile. The outcome is as following : 20% of low-ranking income quintile are (marginal) part-time working, 60% from income quintile 2 to 4 are in long-time working and 20% of top-ranking income quintile are in the standard-time working in overall. Working-time classes can be divided up into three: short time-low income of type 1, long time-medium income of type 2 and standard time-high income of type 3. Analysing working time type, the low wage-short time, medium wage-long time and high wage-standard time by the wage per month and low wage-very long time, medium wage-long time and high wage-standard time by the wage per hours are confirmed. Also, stratification of working-time has been intensified in terms of age, jobs and work status. Policy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that the increase of minimum wage to the lowest income class and creation of employment by the reduction of working-time to the medium income class could be effective policies.

Analysi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othing Lifestyle of the New Forty Generation

  • Bok, Mi-Jung;Hong, Eun-Si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9
    • /
    • pp.151-15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fter categorizing the clothing lifestyle of 394 male office workers in their 30s and 50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ASW 18.0 using frequency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crosstabs analysis. According to findings, first of all, types of clothing lifestyle are divided into 4 groups: a type of fashion leader(22.3%), a type of price sensitive(12.2%), a type of fashion indifference(27.9%), a type of normcore fashion(37.6%). Secondly, the types of clothing lifesty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ge, marital status, job an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of socio-economic variables. Thirdly, the types of clothing lifesty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onthly average appearance care cost, suit count, monthly average clothing purchase cost, average purchase cost of one suit.

A Study on Consumer Confidenc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n Convenience Store Lunch Boxes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

  • Bok, Mi-Jung;Hong, Eun-Si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3
    • /
    • pp.157-164
    • /
    • 2022
  •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umer confidenc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fter categorizing food-related lifestyle among 488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convenience store lunch box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ASW 18.0 using frequency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crosstabs analysis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findings, first of all, types of food-related lifestyle are divided into 4 groups: a type of eating out(11.7%), a type of convenience seeking(18.3%), a type of food indifference(15%), a type of dietary interest(55%). Secondly, the types of food-related lifesty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monthly average allowance, job, monthly average number of lunch box buying, lunch box purchase time zone and average one cost of lunch box buying of socio-economic variables. Thirdly, convenience seeking and dietary interest type showed the highest in consumer confidence and dietary interest typ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actors Affecting on Saving Behaviors, Perceptions of Economic Situation and Attitudes on the Program of the Asset-based Program Participants (저소득층 자산형성사업 참여자의 저축행위와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사업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관한 연구)

  • Kim, Hyeyo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6 no.1
    • /
    • pp.35-5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he saving behaviors, perceptions of economic situation and attitudes on the program of the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 program participants in Korea. Data used for this article was the survey on the participants of 'Seoul Hope-plus Saving Account Program' implemented by Seoul Welfare Foundation for 3 years. In order to consider variances within-individual and between-individuals, Hierarchical Linear model is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 gender, education level, marriage status are significant factor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econd, the participation on th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conception on the living standard and economic status of the participants. However, total amount of savings excluding savings on 'Hope plus' has decreased. The household income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amount of savings.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factors to planning the asset-based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