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평균유량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elf Organized Patter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Hydrologic Data in Juam Lake (주암호 수문자료의 자기조직화 패턴분류 및 분석)

  • Park, Sung-Chun;Jin, Young-Hoon;Roh, Kyong-Bum;Yang,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90-794
    • /
    • 2012
  •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강우가 편중되어 있고 동고서저의 산악지형으로 수자원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는 곧 하천의 유지유량확보의 어려움과도 직결된다. 이러한 수자원확보를 위해 최근 기존 저수지 둑을 높이는 사업이 전국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저수지나 댐의 수체와 같은 수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그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하천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저수지나 댐의 저류량에 기여하는 강우량, 유입량과 같은 수문학적 자료의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며 수문변수들이 나타내는 복잡한 패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나 댐의 저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수문변수들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수문자료의 각각의 특성 및 자료들 사이의 복합적인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패턴분류 분야에서 그 적용타당성이 입증된 자기조직화 지도(Self-Organizing Map: SOM)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점은 섬진강 유역내에 위치한 주암호를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패턴분석에 사용한 수문자료의 기간은 2007~2010년까지 5년간의 월평균 자료를 활용하였다. SOM의 적용 결과, 측정수문자료에 대한 전체적인 특성을 패턴분류를 통해 분류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한 패턴별 상대성을 고려한 클러스터별 특성 및 시간적 이질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측정 자료에 대한 분석 기법개발의 일환으로 향후 수자원 확보에 대한 개발 및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servoir Sizing for Irrigation to Upland Area with Sparse Data (자료 부족 지역의 밭 관개용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 규모 결정)

  • Noh, Jae-Kyoung;Lee, J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2-372
    • /
    • 2012
  • 해외 사업에서 지구에 따라 기상 자료가 부족한 지역이 많다. 여기서는 에티오피아의 밭 관개 용수 공급을 위해 일 강우 자료와 월평균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일 증발 자료를 생산하여 적정 저수지 위치와 규모를 정한 결과 다음과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구글지도와 DEM을 이용하여 6개의 댐 후보지를 선정하였고, 표고별 저수면적, 저수량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상자료 수집의 어려움으로 한국 자료를 분석하여 현지의 장기간 기상 자료를 가공, 모의하여 적용하였다. 셋째, 현지 유량측정 자료와 한국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현지의 합리적인 일 유입량 자료를 생산하였다. 넷째, 현지의 토양조건을 고려하고, 토양수분 물수지 모형을 개발하여 토양수분 부족량 공급 기준의 합리적 관개용수 필요수량을 산정하였다. 다섯째, 저수지 일 물수지 모형을 구축하여, 저수량 일별 모의에 의해 적정 댐 저수지 규모를 결정하였다. 여섯째,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실적 공사비 내역 자료를 참고하여 합리적 수준의 개략 공사비와 총 사업비를 산출하였다. 일곱째, 최적 저수지 위치와 규모로 유역면적 $739.57km^2$인 위치와 만수위 EL. 1,660 m, 총 저수량 3,529만 $m^3$인 규모를 제시하였다.

  • PDF

Long-Period Sea Level Variations around Korea, Japan, and Russia (우리나라 근해의 장기적인 해수면변화)

  • PANG Ig-Chan;OH Im-Sa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7 no.6
    • /
    • pp.733-753
    • /
    • 1994
  • Monthly mean sea levels from 103 tidal stations in Korea, Japan, and Russia are analyzed to study long-period sea level variations. Barometric adjustment are done for all the sea level data, using monthly air pressures at sea levels from meteorological stations near tidal stations. Seasonal variation is dominant in most of study area. It is the largest in the coasts along the Tsushima Current, and the smallest in the Russian coasts. The cross-correlations of seasonal variations are very high between the coasts along the Tsushima Current. In these marginal seas, seasonal variations seem to be related with the Tsushima Current. The phase of seasonal variations is generally getting late from south to north, and also from west to east. On the other hand, longer-period variations(longer than seasonal variation) have the largest amplitudes and the earliest phases in the coasts along the Pacific Ocean, which shows that they propagate from the Pacific Ocean. Shorter-period variations (shorter than seasonal variation) have generally lower cross correlations. Their values do not show any dictinct difference between areas, and show a common tendency that they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distance. It implies that the shorter period waves are generated all over the study areas, and propagate in all the directions with faster dissipations. The trends of sea levels in the study area are generally negative in the coasts along the Pacific Ocean and positive in the other areas during the period of 1965 to 1985. By the trends, the mean volume transport between Cheju and Sasebo can be reduced by about 1 Sv during the period. The seasonal variation of volume transport obtained by sea level difference is about 2 Sv in the Korea Strait. The values are comparable to previous reports.

  • PDF

On the Variations of Monthly Mean Sea Levels along the Coast of Korea (한국연안의 월평균해면의 변화에 대하여)

  • Sok-UYi
    • 한국해양학회지
    • /
    • v.2 no.1_2
    • /
    • pp.24-33
    • /
    • 1967
  • The variations of monthly mean sea levels along the coast of Korea anre studied graphic and harmonic methods with the data from 9 tides stations and compared with the variations of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changes in density of sea water measured near some of the stations. The monthly mean sea level generally rises in Summer to Autumn, and falls in Winter to Spring and its range is from 20 cm to 50 cm. The variation of monthly mean sea level is of annual type, having one maximum and one minimum. The semi-range of annual components is 10.5 cm at Pusan and increases to the north in the west coast, to 20.8 cm at Inchon. It's phase is, on the whole, similar for the entire coast with about 210 (middle of August), except at Inchon, 200 . The variation of monthly mean sea level is mainly isostatic, or caused by those of sea water density and atmospheric pressure. Especially, the steric effect is predominant on the south- east coast around Pusan. However, in shallow long bays and estuaries on the west coast, the river runoff effect as well as local wind effect is also considerable. Magnitudes of annual variations at each stations are not constant, but widely variable from year to year. On the east and south coast, especially at Ulneungdo and Pusan the variations are large, which seem to be connected with the shifting of main current axes or current patterns in the offing.

  • PDF

Simulation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Behaviors with Measured Field Slope Length and Slope in Hae-an Watershed using SWAT (해안면 유역의 실측 경사장과 경사도를 이용한 SWAT 토양유실량과 유사량 모의 평가)

  • Yoo, Dong-Sun;Heo, Sung-Gu;Jun, Man-Sig;Kim, Ki-Sung;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82-1086
    • /
    • 2008
  • 소양강댐 유역에서 몇 년간 계속되는 고탁수 문제가 좀처럼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탁수발생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농경지를 중심으로 유입되는 토양유실이 가장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고랭지 농경지에서 소득 작물에 대한 연작피해 경감, 작물의 생산성 향상과 농민들의 소득 증대와 연관되어 무분별하게 농경지에 행해진 객토와 농약 및 비료는 수질 악화의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토양유실량 추정을 위한 여러 모형들이 개발되었다. 이 중, SWAT 모형은 미국 농무성의 농업연구소에서 개발된 유역단위 모형으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토양과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에 따른 수문과 유사 및 농업화학물질의 거동에 대하여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형이다. 이 SWAT모형은 유역내 수문 및 유사 모의시, DEM을 기반으로 유역 평균경사도를 이용하여 경사도-경사장 관계식 산정 경사장을 유역내 모든 수문학적 반응단위 (HRU: Hydrologic Response Unit)의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는 SWAT 모의 유사량과 실측 자료에 있어서 큰 차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안면 지역의 모든 농경지에 대해 강원발전연구원에서 전수 조사한 실측 경사장 및 경사도 자료를 반영할 수 있도록 소유역내 모든 HRU에 면적 가중 경사도/경사장을 할당해 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준분포 모형인 SWAT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그 결과 유출량의 경우 면적 가중 실측경사장 및 경사도를 적용 유무에 따라 월 평균유량 3,951,537 m3/month, 3,953,947 m3/month로 2,410 m3/month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유사량의 경우 면적 가중 실측경사장 및 경사도 적용 하였을 경우 10,826 ton/month 이고, 기존 SWAT 예측 유사량은 월평균 3,642 ton/month으로 7,184 ton/month (66.4 % 차이)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SWAT 모형 적용시 경사장 및 경사도 산정에 따라, 유사량이 과소 또는 과대 평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Providing User Data for Water Hazrd Information Service Design (수재해 정보 서비스 설계를 위한 사용자 데이터 제공 방안)

  • Seong, Yeon-Jeong;Myeong, Yu-Ri;HWANG, Eui-Ho;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55-355
    • /
    • 2017
  • 현재 국내외적으로 가뭄, 홍수 등 물 관련 재해 발생 규모가 커지고 빈도 또한 많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연재해 및 이상현상으로 인해 체계적인 대응을 위한 수재해와 관련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재해 관련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많은 물관련 자료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자료들을 각 연구자별로 수집하여 수행하게 되는데 자료를 수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요구되는 정확도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강수량, 기온 등과 같은 기초데이터와 수위, 유량 등 물관련 데이터 등 연구 수행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 활용 및 체계 구축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재해 관련 정보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연계 구축 항목으로 위성, 레이더 등 광역 관측 장비를 이용한 관측데이터와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의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제공할 항목은 홍수, 가뭄 등 자체 생산된 수재해 관련 데이터와 공개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미항공우주국(NASA) SEDAC(Socioeconomic Data and Applications Center)에서 제공해주는 약 51개의 토지이용도, 수재해, 물 등의 데이터가 있으며, 미국해양대기관리처(NOAA)에서 주제도별 데이터로 가뭄정보, 기온, 월평균강수, 월 총강수량 등이 있다. 자체 수집된 데이터를 UX기반의 형식으로 제공하며, 또한, 관련기관의 물관련 데이터를 해당 홈페이지 제공 및 연동 등의 방법과 데이터 DB화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안 등으로 수재해 정보 서비스 사용자의 유연한 데이터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초데이터를 사용자의 경험을 통한 UX디자인으로 수재해 정보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역 관측 장비인 위성으로부터 생성된 강우와 증발산량, 토양수분량 등과 고정밀소형레이더 기반의 도심 내 국지호우를 예상할 수 있는 강수량 등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NASA와 NOAA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물관련 연구 및 수재해 관련 연구 등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초조사 및 데이터 제공방법을 제시하였다. 국가 물 관련 재해 데이터를 관련 사용자들이 기초조사 및 분석할 때 쉽게 접근하며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방안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관련 연구를 진행할 때 데이터 수집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필요한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Nakdong River using Statistical Analysis (통계분석을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수질변화 특성 조사)

  • Choi, Kil Yong;Im, Toe Hyo;Lee, Jae Woon;Cheon, Se 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1
    • /
    • pp.1157-1168
    • /
    • 2012
  • In this study, we assess changes in water quality trends over time based on certain control measurements in order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ause of the trend in water quality. The current water pollution in the Nakdong River was analyzed, as it suggests that the significant changes in water quality have occurred in between 2006 and 2010. Based on monthly average data, we have examined for trends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in water temperature,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Moreover, we have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of sites within the Nakdong River Basin by implementing further analyses such a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and Time Series Analysis on SPSS. Geology and topography of the watershed, controlled by various conditions such as, climate, vegetation, topography, soil, and rain medium, have been affected by the non-homogeneity. Our study suggests that such variables could possibly cause eutrophication problems in the river. One possible way to overcome this particular problem is to lay up a ship on the river by increasing the nasal flow measurement of the Nakdong River during rainy season. Moreover, the water management requires arranging the measurement of the flow in order to secure the river while the numerous construction projects need to be continuously observed. However, the water is not flowing tributary of the reason for the timing to be flowing in a natural state of river water and industrial water intake because agriculture. Therefore, ongoing research is needed in addition to configuration of all observations.

Analysis of climate change impact on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in the Mekong River (기후변화에 따른 메콩강 유역의 미래 유황변화 분석)

  • Lee, Daeeop;Lee, Giha;Song, Bonggeun;Lee, Se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1
    • /
    • pp.71-8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kong River streamflow alteration due to climate change. The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produced by bias corrections of the data from East Asia RCP 4.5 and 8.5 scenarios, given by HadGEM3-RA. Then, SWAT model was used for discharge simulation of the Kratie, the main point of the Mekong River (watershed area: $646,000km^2$, 88% of the annual average flow rate of the Mekong River). As a result of the climate change analysis, the annual precipitation of the Kratie upper-watershed increase in both scenarios compared to the baseline yearly average precipitation. The monthly precipitation increase is relatively large from June to November. In particular, precipitation fluctuated greatly in the RCP 8.5 rather than RCP 4.5. Monthly averag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re predicted to be increased in both scenarios. As well as precipitation, the temperature increase in RCP 8.5 scenarios was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than RCP 4.5.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uration curve comparison, the streamflow variation will become larger in low and high flow rate and the drought will be further intensified in the future.

Seasonal Relationship between El Nino-Southern Oscillation and Hydrologic Variables in Korea (ENSO와 한국의 수문변량들간의 계절적 관계 분석)

  • Chu, Hyun-Jae;Kim, Tae-Woong;Lee, Jong-Kyu;Lee, Jae-H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4
    • /
    • pp.299-311
    • /
    • 2007
  • Climatic abnormal phenomena involving El Nino and La Nina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in recent decades. The interannual climate variability represented by 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is sometimes investigated to account for the climatic abnormal phenomena around the world. Although many hydroclimatologists have studied the impact of ENSO on regional precipitation and streamflow,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in finding the domin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relationship is very useful in making hydrological forecasting models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is study, the seasonal relationships between ENSO and hydrologic variables were investigated in Korea. As an ENSO indicator, 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 was used. Monthly precipitation,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monthly dam inflow data were used after being transformed to the standardized normal index. Seasonal relationships between ENSO and hydrologic variabl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exceedance probability and distribution of hydrologic variables conditioned on the ENSO episod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warm ENSO episode affects increases i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and the cold ENSO episode is related with decreases i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 Korea. However, in some regions, the local relationships do not correspond with the general seasonal relationship.

Estimation of the Total Terrestrial Organic Carbon Flux of Large Rivers in Korea using the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수질측정망을 이용한 국내 대하천 하구를 통한 총유기탄소 유출량 산정과 비교)

  • Park, Hyung-Geun;Ock, Gi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5 no.4
    • /
    • pp.549-556
    • /
    • 2017
  • Rivers continuously transport terrestrial organic carbon matter to the estuary and the ocean, and they play a critical role in productivity and biodiversity in the marine ecosystem as well as the global carbon cycle. The amount of terrestrial organic carbon transporting from the rivers to ocean is an essential piece of information, not only for the marine ecosystem management but also the carbon budget within catchment. However, this phenomenon is still not well understood. Most large rivers in Korea have a well-established national monitoring system of the river flow and the TOC (Total Organic Carbon) concentration from the mountain to the river mouth, which are fundamental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the TOC flux. We estimated the flux of the total terrestrial organic carbon of five large rivers which flow out to the Yellow Sea, using the data of the national monitoring system (the monthly mean TOC concentration and the monthly runoff of river flow). We quantified the annual TOC flux of the five rivers, showing their results in the following order: the Han River ($18.0{\times}10^9gC\;yr^{-1}$)>>Geum River ($5.9{\times}10^9gC\;yr^{-1}$)>Yeongsan River ($2.6{\times}10^9gC\;yr^{-1}$)>Sumjin River ($2.0{\times}10^9gC\;yr^{-1}$)>>Tamjin River ($0.2{\times}10^9gC\;yr^{-1}$). The amount of the Han River, which is the highest in the Korean rivers, corresponds to be 4% of the annual total TOC flux of in the Yellow River, and moreover, to be 0.6% of Yangtze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