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Nakdong River using Statistical Analysis

통계분석을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수질변화 특성 조사

  • 최길용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임태효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이재운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천세억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2.06.25
  • Accepted : 2012.08.08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In this study, we assess changes in water quality trends over time based on certain control measurements in order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ause of the trend in water quality. The current water pollution in the Nakdong River was analyzed, as it suggests that the significant changes in water quality have occurred in between 2006 and 2010. Based on monthly average data, we have examined for trends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in water temperature,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Moreover, we have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of sites within the Nakdong River Basin by implementing further analyses such a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and Time Series Analysis on SPSS. Geology and topography of the watershed, controlled by various conditions such as, climate, vegetation, topography, soil, and rain medium, have been affected by the non-homogeneity. Our study suggests that such variables could possibly cause eutrophication problems in the river. One possible way to overcome this particular problem is to lay up a ship on the river by increasing the nasal flow measurement of the Nakdong River during rainy season. Moreover, the water management requires arranging the measurement of the flow in order to secure the river while the numerous construction projects need to be continuously observed. However, the water is not flowing tributary of the reason for the timing to be flowing in a natural state of river water and industrial water intake because agriculture. Therefore, ongoing research is needed in addition to configuration of all observations.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수질 변화를 파악하고 원인에 따른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이 같은 연구를 하게 되었다. 현재 수질오염이 심각한 낙동강 수계를 대상으로 2006~2010년까지 수질변화를 분석하였다. 수계의 803개, 국가하천 13개소, 지방1급 하천은 10개소, 하천에 합류하는 하천은 31개 지점에서 측정한 수은, BOD(Biological Oxygen Demand), TN(Total Nitrogen)과 TP(Total Phosphorus) 등의 월평균 자료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통계적 분석(상관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 시계열분석)을 통한 낙동강 유역의 인근 지역의 계절별로 수질항목을 확인하였으며, 평가지표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역의 지질 및 지형의 영향이 주로 작용하는데 지역의 기후조건, 식생, 지형, 토양, 비포화대 매질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러가지의 변수를 가지고 유출했으며, 이는 방류량의 결정문제, 호소의 부영양화 문제 등이 제기될 수 있겠으며, 좋은 개선방안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따라서 낙동강의 강우기 유량을 증대하는 대책이 병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 관리 대책에는 하천유지용수 확보를 구성을 해야하며, 수로 건설사업 완료를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류에는 물이 흐르지 않는 시기가 발생하는 이유는 자연 상태에서 흘러야 하는 하천수 및 공업용수와 농업용수로 취수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모든 것을 관찰 및 구성을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로 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두고 연구조사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2010, 2009, 2008).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낙동강수계 유량측정사업 최종보고서.
  2. 김미숙 (2002). "낙동강 부영양화와 수질환경요인의 통계적 분석." 한국조류학회지, 한국조류학회, pp. 105-115
  3. Lettenmaier, D.P. (1988). "Multivariate Nonparametric Tests for Trend in Water Quality."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4, No. 3, pp. 505-512. https://doi.org/10.1111/j.1752-1688.1988.tb00900.x

Cited by

  1. Trend Analysis of Monthly Water Quality Data in Nakdong River Based on Seasonal Mann-Kendall Test vol.57, pp.6, 2015, https://doi.org/10.5389/KSAE.2015.57.6.153
  2. Spatiotemporal and Longitudinal Variability of Hydro-meteorology, Basic Water Quality and Dominant Algal Assemblages in the Eight Weir Pools of Regulated River (Nakdong) vol.51, pp.4, 2018, https://doi.org/10.11614/KSL.2018.51.4.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