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Period Sea Level Variations around Korea, Japan, and Russia

우리나라 근해의 장기적인 해수면변화

  • PANG Ig-Cha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OH Im-Sa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4.11.01

Abstract

Monthly mean sea levels from 103 tidal stations in Korea, Japan, and Russia are analyzed to study long-period sea level variations. Barometric adjustment are done for all the sea level data, using monthly air pressures at sea levels from meteorological stations near tidal stations. Seasonal variation is dominant in most of study area. It is the largest in the coasts along the Tsushima Current, and the smallest in the Russian coasts. The cross-correlations of seasonal variations are very high between the coasts along the Tsushima Current. In these marginal seas, seasonal variations seem to be related with the Tsushima Current. The phase of seasonal variations is generally getting late from south to north, and also from west to east. On the other hand, longer-period variations(longer than seasonal variation) have the largest amplitudes and the earliest phases in the coasts along the Pacific Ocean, which shows that they propagate from the Pacific Ocean. Shorter-period variations (shorter than seasonal variation) have generally lower cross correlations. Their values do not show any dictinct difference between areas, and show a common tendency that they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distance. It implies that the shorter period waves are generated all over the study areas, and propagate in all the directions with faster dissipations. The trends of sea levels in the study area are generally negative in the coasts along the Pacific Ocean and positive in the other areas during the period of 1965 to 1985. By the trends, the mean volume transport between Cheju and Sasebo can be reduced by about 1 Sv during the period. The seasonal variation of volume transport obtained by sea level difference is about 2 Sv in the Korea Strait. The values are comparable to previous reports.

해수면의 장주기변동을 알기 위하여 우리나라, 일본, 러시아의 103개 조위관측점의 월평균 해수면을 분석하였다. 기압보정에는 조위관측점 부근의 기상관측점에서 관측된 월평균 해수면기압을 사용하였다. 계절변화는 대부분의 해역에서 지배적이며, 대마해류역 해안에서 가장 크고 러시아 해안에서 가장 작다. 계절변화의 상호상관관계는 대마해류역 해안 사이에서 가장 크다. 이 부속해에서는 계절변화가 대마해류와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계절변화는 남쪽에서 북쪽 뿐만 아니라 서쪽에서 동쪽으로도 전파되고 있다. 반면에, 계절변화보다 장주기의 변화는 태평양 연안에서 가장 큰 진폭과 가장 빠른 위상을 보여, 장주기의 변화는 태평양에서 부터 전파되어 오는 것을 보여준다. 계절변화보다 짧은 주기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상관관계가 낮다. 이들의 상관관계 값들은 해역사이에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거리에 반비례하는 공통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짧은 주기의 파들이 전해역에 걸쳐 발생하여 모든 방향으로 전파되고 있으며 빨리 소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965부터 1985년 동안 이 해역에서 해수면변화의 경향은 일반적으로 태평양연안에서 음의 기울기를 다른 해역이 양의 기울기를 갖는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제주와 Sasebo사이의 평균 해수수송량은 이 기간동안 약 1 Sv의 유량이 줄어들 수 있다. 해수면 차이로부터 계산한 수송량의 계절변화는 대한해협에서 2 Sv 정도로 이미 발표된 다른 연구 보고와 비슷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