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월경 전 증후군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2초

여대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Coping with Premenstrual syndrome )

  • 안나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2-475
    • /
    • 2023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C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11일에서 11월 30일까지 20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61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r=.383, p<.001), 우울(r=.43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월경전증후군 대처는 월경전증후군에서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190, p=.016).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사이의 우울 및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β=4.907, p=.002), 우울(β=6.780, p<.001)에 대한 직접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우울은 월경전증후군에(β=.383, p=<.001), 월경전증후군 대처는 월경전증후군(β=4.292, p=.030)에 각각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의 관계에서 매개작용을 검증하기 위한 간접효과에서는 우울을 경유하는 경로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95% CI, 1.282-4.140). 따라서 코로나19 등의 신종 전염병 유행 및 팬데믹 상황을 대비하여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같은 관련 스트레스를 관리하여 우울을 감소시키고 월경전증후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Health Zone_지금은 여성건강시대 - 여자라면 한 달에 한번 월경전증후군

  • 조병구
    • 건강소식
    • /
    • 제36권6호
    • /
    • pp.24-25
    • /
    • 2012
  • 월경전증후군은 여성만이 경험할 수 있는 생리 전 불편감을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각하게 느끼는 병을 말한다. 여성의 65%가 가벼운 우울감과 같은 생리 전 불편 증상을 호소하고, 20~40%는 월경 때마다 반복되는 치료가 필요한 정도의 다양한 증상으로 월경전증후군을 앓고 있다. 또한, 이들 중 2~9%는 사회적, 직업적으로 더욱 심각한 증상 때문에 치료를 받게 되는데 이를 월경 전 불쾌장애라고 부른다.

  • PDF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in Premenstrual Syndrome(PMS) among Nursing Students)

  • 강다해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77-286
    • /
    • 2017
  • 본 연구는 월경전증후군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2개 대학과 K시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으로 대상자 선정 기준에 적합한 자로 총 159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0월 28일부터 11월 15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스트레스(r=-.396, p<.001)와 월경태도(r=-.176, p=.027)는 월경전증후군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스트레스(${\beta}=.36$, p<.001)와 월경통(${\beta}=.22$, p=.003)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9.4%이었다. 본 연구 는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와 월경통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으로 월경기간, 월경 양, 월경 중 불편감 등의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의 효과 -일 지역 여중생을 대상으로- (Effect of Health Behavior-based PMS Interven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구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90-399
    • /
    • 2014
  •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을 실시하고, 월경지식, 월경대처, 월경증상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로 진행되었으며, 일 지역 2학년 여중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31명과 대조군 33명 총 64명을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월경지식과 월경대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월경증상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은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대다수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면서도 적절한 중재요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여중생을 위해 바람직한 건강 행위를 기반으로 한 중재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한 점은 보건의료적인 측면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여대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Stress, Ego-resilience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윤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05-415
    • /
    • 2019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월경전증후군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여대생 215명이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10월 10일부터 11월 10일까지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은 지각된 스트레스(r=.537, p<.001)와는 정적 상관관계, 자아탄력성(r=-.315, p<.001)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식사습관(${\beta}=.123$, p=.031), 월경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정도(${\beta}=.232$, p=.001), 지각된 스트레스(${\beta}=.441$, p=<.001)로 44.4%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월경증상관리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심리적 요인과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합하는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겠다.

여고생에서 월경전 증후군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및 관련요인 (Frequenc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rrelates of Premenstrual Syndrome in High School Students)

  • 장형주;정현강;고영훈;한창수;조숙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1호
    • /
    • pp.44-54
    • /
    • 2013
  • 연구목적 여고생에서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월경 관련 요인이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방 법 서울시내에 위치한 5개 여자고등학교 학생 1,688명을 대상으로, 월경전 증상, 우울, 불안 척도 및 사회인구학적, 월경 관련 문항이 포함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Premenstrual Symptom Screening Tool(PSST)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3군으로 분류하여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결 과 Moderate to Severe PMS와 PMDD의 빈도는 각각 20.1%와 6.4%였다. 월경전 증상 중 과민성(78.8%), 피로감(76.4%), 감정기복(69.8%)의 빈도가 높았으며, 학업 수행(67.1%)영역에서 기능의 장애가 두드러졌다. 우울, 불안 수준을 보정한 분석에서 생리통[odd ratio(OR)=3.68, 95% confidence interval(CI) 2.45-5.55], 월경전 증후군의 가족력(OR=1.91, 95% CI 1.35-2.71) 및 경구 피임약 복용 경험(OR=1.85, 95% CI 1.16-2.94)이 있을 경우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비교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우울, 불안 증상이 없는 대상군에서는 월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OR=15.60, 95% CI 3.61-67.42)가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여고생에서 월경전 불쾌장애를 포함한 중등도 이상의 월경전 증후군의 빈도가 25%가 넘을 정도로 상당히 높고 이로 인한 기능의 장애 역시 심하였다. 월경전 증후군은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월경 관련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계는 우울, 불안 증상의 공존이환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 PDF

청소년의 월경 태도, 학업 스트레스가 월경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olescent's Menstrual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on Menstrual Symptoms)

  • 오재우;송지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149-158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월경에 대한 태도 중 폐쇄성, 정적 수용, 신체 증상, 대처 행동, 정서적 민감성의 5항목과 학업 스트레스가 월경 증상인 월경 전 증후군과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고등학생 여학생 126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대상자의 월경 전 증후군 점수는 22.48점, 월경곤란증은 4.66점이었으며, 월경양이 많을수록 월경 전 증후군과 월경곤란증 점수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월경 전 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폐쇄성과 신체 증상, 대처 행동, 정서적 민감성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9.9%이었다. 또한 정적 수용과 신체 증상은 청소년의 월경곤란증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66.3%이었다.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에서 분노 및 감정표현불능증 (Anger and Alexithymia in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 서신영;김미영;이상혁;최태규;김근향;김은경;박선은;김용우;김서영;육근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14권2호
    • /
    • pp.108-115
    • /
    • 2006
  • 연구목적 : 월경전기 증후군은 생리 주기에 따라 가임기 여성의 75%가량이 겪는 흔한 현상으로 생리전에 증상이 시작하여 생리후에 증상이 가라앉는 증후군이다. 이 월경전기 증후군은 월경전 불쾌장애와 더불어 여성의 우울 증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른 심리적 요소와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다. 분노와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는 일반적으로 정신신체장애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월경전기증후군에서의 연관성은 거의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 등은 월경전기 증후군과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경기,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3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1달 동안 매일 자신의 생리주기에 따라 증상을 보고하도록 하는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 (DRSP)와 생리전 시기에 작성하도록 한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 Anger Scale, Toronto Alexithymia Scale 등으로 하였다. DRSP와 SPAE로 평가한 월경전기 증후군 125명과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 58명을 대상으로 분노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보다 분노억제 (t=2.0, p=0.04), 분노전체(t=3.1, p=0.00)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 보다 유의하게 감정표현불능증증 점수가 더 높았다(t=2.0, p=0.04).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와 일반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 비월경전기 증후군여성 3군으로 나누어 분노 수준과 감정표현 불능증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가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 유의하게 분노억제수준이 더 높았으며(F=4.6, p=0.01),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가 일반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F=5.1, p=0.01) 그리고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F=5.1, p=0.03) 보다 유의하게 더 분노전체 점수가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운데 연령과 임신여부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PAF 및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월경전기 증후군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 분노 억압점수 및 분노전체점수(anger total)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은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보다 감정표현불능증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상기 결과는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의 증상이 분노와 감정표현 불능증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effects of Menstrual Attitudes, Life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in Nursing Students)

  • 조미옥;양영미;백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361-37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월경태도, 일상생활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월경전증후군은 대상자의 월경에 대한 태도(r=.28, p=.004), 일상생활 스트레스(r=.31, p=.001) 그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r=.29, p=.003)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한 결과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은 운동의 규칙성과 월경통으로 나타났는데 즉,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을수록(β=-.18, p=.006), 월경통이 심할수록(β=.51, p=.000) PMS를 더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8.0%이었다.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 College Female Students)

  • 정금숙;오현미;최인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025-3036
    • /
    • 2014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월경전증후군을 겪는 여대생에게 예방과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의 여대생 330명에 대한 자료를 2012년 4월 2일부터 4월 6일까지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여대생의 스트레스 전체 평균 평점은 $2.50{\pm}.74$, 월경에 대한 태도 평균 평점은 $3.07{\pm}.02$, 월경전증후군의 전체 평점 평균은 $2.67{\pm}.60$이었다.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36, p<.001), 월경에 대한 태도와 월경전증후군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4, p<.001).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평점, 흡연, 월경통이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27%이었다. 가장 주요한 영향 요인은 월경에 대한 태도(${\beta}$=.28, p<.001)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스트레스 평점(${\beta}$=.27, p<.001), 흡연(${\beta}$=.20, p<.001), 월경통(${\beta}$=.15, p<.001)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심리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새로운 간호 중재 방법을 모색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인 접근을 통한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