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er and Alexithymia in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에서 분노 및 감정표현불능증

  • Suh, Shin-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Kim, Mi-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Lee, Sang-Hyuk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Choi, Tae-Kyou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Kim, Keun-Hyang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Kim, Eun-Kyung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Park, Seon-Eun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Kim, Yong-Woo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Kim, Seo-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uncheonhyang University) ;
  • Yook, Keun-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서신영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김미영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이상혁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최태규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김근향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김은경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박선은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김용우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김서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육근영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2.15

Abstract

Objectives :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alexithymia and premenstrual syndrome(PM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125 women with PMS and 58 women with non-PMS assessed by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DRSP) and Shortened Premestrual Assessment Form(SPAE). Anger level was assessed by anger expression scale. The level of alexithymia was assessed by Toronto alexithymia scale. We compared the scores of anger, alexithymia between PMS group and no-PMS group. Results : The mean scores of anger in(p=0.04), anger total(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PM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and the mean scores of alexithymia(p=0.04)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PM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anger and alexithymia could be higher in women with PM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and that symptoms of PMS could be associated with anger and alexithymia. therefore, It would be better to consider the level of anger and alexithymia in treating and evaluating women with PMS.

연구목적 : 월경전기 증후군은 생리 주기에 따라 가임기 여성의 75%가량이 겪는 흔한 현상으로 생리전에 증상이 시작하여 생리후에 증상이 가라앉는 증후군이다. 이 월경전기 증후군은 월경전 불쾌장애와 더불어 여성의 우울 증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른 심리적 요소와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다. 분노와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는 일반적으로 정신신체장애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월경전기증후군에서의 연관성은 거의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 등은 월경전기 증후군과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경기,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3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1달 동안 매일 자신의 생리주기에 따라 증상을 보고하도록 하는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 (DRSP)와 생리전 시기에 작성하도록 한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 Anger Scale, Toronto Alexithymia Scale 등으로 하였다. DRSP와 SPAE로 평가한 월경전기 증후군 125명과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 58명을 대상으로 분노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보다 분노억제 (t=2.0, p=0.04), 분노전체(t=3.1, p=0.00)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 보다 유의하게 감정표현불능증증 점수가 더 높았다(t=2.0, p=0.04).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와 일반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 비월경전기 증후군여성 3군으로 나누어 분노 수준과 감정표현 불능증 수준을 비교한 결과도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가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 유의하게 분노억제수준이 더 높았으며(F=4.6, p=0.01), 월경전 불쾌장애 의심 환자가 일반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F=5.1, p=0.01) 그리고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F=5.1, p=0.03) 보다 유의하게 더 분노전체 점수가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운데 연령과 임신여부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PAF 및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월경전기 증후군여성들이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보다 분노 억압점수 및 분노전체점수(anger total)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은 비월경전기 증후군 여성들보다 감정표현불능증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상기 결과는 월경전기 증후군 여성의 증상이 분노와 감정표현 불능증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