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 탐지

검색결과 734건 처리시간 0.034초

이스칸데르 미사일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of Iskander)

  • 김세일;신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09-115
    • /
    • 2019
  • 북의 단거리 발사체 및 미사일은 S-300 계열 이스칸데르급으로 사거리는 270-420km, 고도는 40-50km 내에서 타격이 가능한 무기체계로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탐지레이더나 타격무기로는 대응이 매우 어렵다. 북이 서울 불바다를 운운하는 것도 이러한 단거리 로켓과 미사일에 핵이나 화학무기를 장착하여 수도권을 타격하겠다는 의도를 파악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빨리 대응무기의 전력화나 도입이 매우 시급하다. 북의 단거리 미사일 방어에 즉각 대응하기 위한 무기체계로 이스라엘에서 운용하고 있는 아이언 돔 및 아이언 빔 체계가 적합함으로 조기 도입하고 장기적으로 국내 자체적으로 단거리 미사일 방어를 위한 한국형 미사일방어와 타격체계인 Kill Chain을 지속 개발하고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 방산 업체들과 협업하여 자체 기술력 확보로 북의 무모한 도발에 상시 대비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추어야 하겠다.

최급 하강법 및 위너 방법을 Bartlett알고리즘에 적용한 무인 이동체 탐지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nmanned Vehicles Estimation using Steepest Descent, Wiener and Bartlett Algorithm)

  • 이관형;송우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54-1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Bartlett방법으로 무인체의 목표물을 정확히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Bartlett 방법은 배열안테나에 입사하는 수신신호에 이득을 일정하게 하여 원하는 신호를 추정한다. 본 연구는 정확한 무인체를 예측하기 위해서 Bartlett방법의 가중치를 위너 와 최급 하강법을 적용하여 갱신한다. 갱신된 가중치는 배열안테나에 수신되는 모든 수신신호에 최적 가중치를 적용하여 기존 Bartlett방법의 분해능을 향상시킨다.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Bartlett방법의 성능을 분석한다. 성능분석은 Bartlett 방법에 위너와 최강 하급법을 각각 적용시킨 두 방법과 기존의 Bartlett방법을 비교분석한다. 모의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Bartlett보다 분해능이 우수하였고, 최급 하강법이 위너방법보다 분해능이 향상됨을 나타내었다.

SOA 기반 서비스 사이의 오류 데이터 정제 서비스 개발 (Developing dirty data cleansing service between SOA-based services)

  • 지은미;최병주;이정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7호
    • /
    • pp.829-840
    • /
    • 2007
  • 현재까지 오류 데이터를 정제하는 기법은 여러 소스로부터 대량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품질을 관리함으로써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함이었다.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과 무한경쟁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생존하려면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 최근 시스템의 요구사항이 복잡해짐에 따라 대규모의 분산 시스템을 통합 구축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구조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로 확산되고 있으며, 여기에서도 각 서비스간의 데이터 정제기법을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교환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벤트를 통해 서비스 간에 전송되는 XML데이터의 품질 관리를 수행하여, 이미 통합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오류를 탐지하여 정제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작용하는 서비스간의 데이터 정제에 초점을 두고 SOA를 기반으로 하는 오류 데이터 정제 서비스를 개발한다.

일반화 대칭 변환을 이용한 축소 영상에서의 얼굴특징추출 (Facial Feature Extraction in Reduced Image using Generalized Symmetry Transform)

  • 팽영혜;정성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569-576
    • /
    • 2000
  • 일반화 대칭 변환(Generalized Symmetry Transform : GST)은 디칭성을 이용하여 영상의 사전 정보 없이 얼굴 특징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눈, 코, 입 등의 특징보다 마스크의 크기가 커야 하므로 많은 처리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얼굴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해 통계적 처리가 수반되는 중심선 계산으로 인해 처리 과정이 복잡하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째, 처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원 영상 대신 영상의 정보를 충분히 가지는 축소 영상을 사용하였다. 둘째, 중심선 계산을 위해 복잡한 통계적 처리 대신 추출된 첨두치의 위치를 이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살펴보기 위해, 정면, 회전, 안경, 수염이 있는 영상 등 200개의 영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은 85%의 특징 탐지율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약 53배 이상감소된 처리시간을 나타내었다.

  • PDF

생존체계 위협조우 상황인지를 위한 복합/다중 위협 상황 Emulation 연구 (Study on Multiple & Complex threat situation emulation for ASE System)

  • 이문석;이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6-520
    • /
    • 2010
  • 무기체계의 현대화 및 복잡화에 따라 현대전 상황에서의 플랫폼 및 운용자에 대한 생존성 확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현대 전장의 복합 및 다중 위협 상황 무기체계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수의 무기체계 플랫폼에서 생존체계를 함께 탑재하게 된다. 생존체계는 무기체계 플랫폼을 위협하는 위협들을 탐지/식별하며 효율적인 대응을 통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상황인지를 가능하게 하고 플랫폼의 생존 능력을 향상시킨다. 생존체계가 보유하여야 할 중요 성능 인자는 복합 및 다중 위협에 대한 처리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위협 상황 Emulation을 통하여 생존체계가 확보하여야 할 생존 능력을 검증하여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레이다, 레이저, 미사일 단일 위협 상황을 조합한 복합 위협 상황을 다룸으로 하여 생존체계가 플랫폼 탑재 이전에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차량 감시영상에서 그림자 제거를 통한 효율적인 차종의 학습 및 분류 (Efficient Learning and Classification for Vehicle Type using Moving Cast Shadow Elimination in Vehicle Surveillance Video)

  • 신욱선;이창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5B권1호
    • /
    • pp.1-8
    • /
    • 2008
  • 일반적으로 감시영상에서 움직이는 물체들은 배경빼기 혹은 프레임 차를 이용하여 추출된다. 하지만 객체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그림자는 심각한 탐지의 오류를 야기시킬 수 있다. 특히, 도로 상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분석할 때, 차량에 의해서 생성되는 그림자로 인하여 차량의 모양을 왜곡시켜 부정확한 결과를 만든다. 때문에 그림자의 제거는 감시 영상 내에서의 정확한 객체 추출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도로감시영상 내에서 움직이는 차량의 차종판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움직이는 객체 내에 만들어지는 그림자를 제거한다. 제거된 객체의 영역은 소실점을 이용하여 3차원 객체로 피팅(Fitting)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감독 학습하여 원하는 차종 판별결과를 얻는데 사용한다. 실험은 3가지 기계학습 방법{IBL, C4.5, NN(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그림자의 제거가 차종의 판별성능에 미치는 결과의 평가한다.

도로동공 탐지를 위한 지표투과레이더의 적정 주파수 선정에 관한 연구 (Determining the Optimal Frequency of Ground Penetrating Radar for Detecting Voids in Pavements)

  • 김연태;김부일;김제원;박희문;윤진성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7-42
    • /
    • 2016
  •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al frequency of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testing for detecting the voids under the pavement. METHODS :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frequency of GPR testing for void detection, a full-scale test section was constructed to simulate the actual size of voids under the pavement. Voids of various sizes were created by inserting styrofoam at varying depths under the pavement. Subsequently, 250-, 500-, and 800-MHz ground-coupled GPR testing was conducted in the test section and the resulting GPR signals were recorded. The change in the amplitude of these signals was evaluated by varying the GPR frequency, void size, and void depth. The optimum frequency was determined from the amplitude of the signals. RESULTS: The capacity of GPR to detect voids under the pavement was evaluated by using three different ground-coupled GPR frequencies. In the case of the B-scan GPR data, a parabolic shape occurred in the vicinity of the voids. The maximum GPR amplitude in the A-scan data was used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void-detection capacity. CONCLUSIONS: The 250-MHz GPR testing enabled the detection of 10 out of 12 simulated voids, whereas the 500-MHz testing allowed the detection of only five. Furthermore, the amplitude of GPR detection associated with 250-MHz test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500-MHz testing. This indicates that 250-MHz GPR testing is well-suited for the detection of voids located at depths ranging from 0.5~2.0 m. Testing at frequencies lower than 250 MHz is recommended for void detection at depths greater than 2 m.

웨이블릿 변환 노이즈 제거에 의한 AE 위치표정 (An Improved AE Source Location by Wavelet Transform De-noising Technique)

  • 이경주;권오양;주영찬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90-500
    • /
    • 2000
  • 사용하는 탄성파의 파장과 두께가 비슷하거나 보다 얇은 박판 구조에서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AE) 신호의 위치표정 정확도의 향상을 위해 새로운 신호처리 방법인 웨이블릿 변환 디노이징(wavelet transform de-noising) 기법을 도입하였다. 탐지된 AE 신호에 대하여 웨이블릿 변환과 역변환을 수행하여 상대적으로 저주파수이고 큰 진폭을 갖는 굽힘파 성분(flexural component)은 활용하고, 고주파수이고 작은 진폭의 팽창파 성분(extensional component)은 필터링하여 제거한 다음 신호를 재구성하는 디노이징 처리를 거침으로써 박판에서의 위치표정 시 발생하는 도달시간차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웨이블릿 디노이징 처리를 도입함으로써 위치표정의 정확도가 게인(gain)이나 문턱값의 설정, 판의 두께, 센서간거리, 발생원과 센서의 상대적인 위치에 무관하고 전통적인 문턱값 통과 방법에 비하여 월등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매우 큰 진폭을 가지는 굽힘파 성분을 활용하므로 실제적인 박판 구조물에서의 위치표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강자성 함정 선체 및 내부 장비에 의한 수중 정자기장 신호 예측 (Prediction for Underwater Static Magnetic Field Signature Generated by Hull and Internal Structure for Ferromagnetic Ship)

  • 양창섭;정현주;주혜선;전재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67-173
    • /
    • 2011
  • 함정에 의한 수중 정자기장 신호는 수중 방사소음 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리에 따라 급격히 감소되는 특성을 가지지만 근거리에서 정확한 표적 탐지가 가능하므로 감응 기뢰 체계에서 기폭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전자기 해석 도구를 활용하여 함정 선체, 내부 구조물 및 주요 탑재장비들에 의한 수중 정자기장 신호 특성 예측 결과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며, 추가로 대상 함정에 소자코일을 배치하여 소자 효과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양자기술기반 가스 누출 감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as Leak Detecting System Based on Quantum Technology)

  • 권오성;박민영;반창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7-62
    • /
    • 2021
  • 가스는 일반 가정 및 산업현장에서 폭 넓게 사용되는 에너지원이기도 하고, 석유화학 및 반도체 공정에서 넓게 사용되는 공정 물질이기도 하다. 그러나 사용이 쉬운 반면에 누출 시, 폭발 및 인체흡입 등으로 대규모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가정 및 산업현장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가스 시설물 안전관리 솔루션은 필수적이다. 특히 가스시설의 노후화에 따라 고도화된 가스안전 솔루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가스 시설물에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최소 에너지 단위인 광자를 조사하고, 반사된 광자의 수를 분석해 원거리에서 가스 누출 여부 및 농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의 전기/화학식 가스 센서나 적외선 기반의 가스 누출 감지기의 한계인 짧은 탐지 거리, 미세 누출 감지 불가 등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