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형 탈모증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원형탈모증 환자의 생활 사건 스트레스, 대처방식, A형 행동 패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Life Event Stress, Coping Strategy, and Type A Behavior Pattern of Alopecia Areata Patients - Comparison with Fungal Infection Patients -)

  • 현상배;송수길;이동수;이일수;박경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2호
    • /
    • pp.165-171
    • /
    • 2000
  • 연구목적 : 스트레스가 밀접하게 관련된 원형탈모증 환자들이 경험하는 생활사건, 이와 관련된 스트레스의 양, 이에 대한 대처방식 및 환자의 성격유형을 알아보아 이들 요소가 질병의 발병과 악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비교 분석하여 스트레스와 원형탈모증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은 피부과 외래를 방문한 원형탈모증 환자 43명과 대조군으로 피부진균감염증 환자 36명으로 하였다. 평가 도구로는 생활사건척도(Scale of Life Events), 대처방식척도(Coping Style Checklist)와 Eysenck A-유형성격검사로 세 가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령을 보정한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적용하였다. 결과 : 원형탈모증군에서 생활 사건 수와 생활 사건의 총합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대처 방식과 Eysenck A-유형성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생활 사건에 대한 스트레스 양은 원형탈모증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이는 스트레스가 원형탈모증 발생에 기여한다는 기존의 연구들과 일치하는 소견이다. 후 스트레스와 원형탈모증과 보다 직접적인 연관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여 궁극적으로 임상적으로 응용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원형 탈모증과 안드로겐성 탈모증 여성의 정신적 특성에 관한 연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opecia Areata and Androgenetic Alopecia in Women)

  • 박두병;진성남;민경준;노병인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1호
    • /
    • pp.16-23
    • /
    • 2005
  • 연구목적 : 장기적인 탈모증의 심리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탈모증을 겪는 여성 환자에서의 불안, 우울, 감정 표현불능증, 성격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더불어 유전적 생물학적 원인이 크게 작용하는 안드로겐성 탈모증과 정신적 스트레스의 병인론적 역할에 대한 논란이 있는 원형 탈모증간에 심리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여성 탈모증 환자를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 치료를 받고 있는 원형탈모증 환자군(52명)과 안드로겐성 탈모증 환자군(33명), 그리고 정상대조군(54명)에서 다면적 인성검사(MMPI), 벡 우울척도(BDI), 상태불안척도(STAI-S), 특성불안척도(STAI-T),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척도(TAS-20K)를 시행하여 각 군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MMPI 결과는 F척도, Hs척도, D척도, Pd척도, Pa척도, Sc척도, Si척도에서 탈모증 환자군이 정상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Hy척도, Pt척도는 안드로겐성 탈모증 환자군에서 가장 높았다. BDI 점수, 상태불안척도, 특성불안척도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원형 탈모증과 안드로겐성 탈모증에서 점수가 높았으며, 특히 BDI 점수에서는 심한 우울증(23점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가 원형 탈모증 환자에서 94.2%(49명), 안드로겐 탈모증 환자의 97.0% (32명)로 나타났다. TAS-20K의 경우 총점에서는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Factor 3에서 안드로겐성 탈모증이 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STAI-S 및 STAI-T에서도 환자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여성 만성 탈모증 환자에서 우울감이 두드러지고 불안 수준이 높으며 감정표현불능증의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결과는 탈모의 병인론에 관련된 논란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의 탈모증에서 거의 모든 환자가 가지는 우울감에 대해서 적극적인 정신과적 개입이 필요하며, 환자의 성격적 측면과 심리적 대처기 전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 PDF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의 최신 이해와 치료 (Advance Understanding and New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 강경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345-1354
    • /
    • 2016
  • 원형탈모증은 흔하게 발병하고 두피와 전신에 모발의 탈락을 일으키는 모낭조직 특이 자가면역질환이다. 모낭은 자체적으로 면역체계와 내분비 환경을 가지고 각 모발주기 단계에 따라 다른 면역 상태를 나타내는 특이한 기관이다. 성장기 모낭의 면역특권의 파괴는 모낭상피 MHC class I 발현과 자가반응성 CD8+T세포에 대한 자가항원 발현을 유도하는 자가면역의 공격을 일으키고 원형탈모증을 유발한다. 임상적 실험적 연구에 의하면, 심리적 스트레스도 모낭 면역/호르몬 체계에 영향을 미쳐 원형탈모증의 유도에 관여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원형탈모증의 핵심적인 병리기전은 면역특권 수호자(ACTH, ${\alpha}-MSH$$TGF-{\beta}$ 등), 자연살해세포그룹 2D-양성(NKG2D+) 세포(NK 세포와 CD8+T 세포 등)와 스트레스 호르몬(CRH와 substance P)과 관련되어 있다. 효과적인 치료법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앞으로 치료목표 중의 하나는 스트레스를 포함한 모낭 면역특권을 개선하는 것일 것이다. 최근 연구는 건선, 아토피피부염,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다른 자가면역질환에서 사용되는 JAK억제제와 면역조절제, Tregs, 혈소판풍부혈장요법, 스타틴과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제가 원형탈모증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본 논문은 모낭주위 내분비/면역과 관련된 발병기전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원형탈모증의 새로운 치료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My Health Care II - 내 두피는 안전한가 누구에게나 발병할 수 있는 원형탈모증

  • 임채영
    • 월간당뇨
    • /
    • 통권220호
    • /
    • pp.70-73
    • /
    • 2008
  • 현대 사회는 '스트레스의 사회'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직장인들은 직장에서, 학생들은 학교에서, 심지어 어린 아이들에서도 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질병이 발생하고 있다. 육체적 스트레스에서 심리적, 정신적 스트레스까지 각종 스트레스의 원인들로부터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는 것이 지금 현대인의 일상이다. 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질병들 중에서도 직장인들은 물론, 여성을 비롯해 학생들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원형탈모증이다. 최근에는 각종 공해와 유해물질이 많아지면서 남녀 모두에게서 탈모 인구가 증가되었다. 사회는 점점더 복잡해지고 인스턴트식품의 섭취와 환경호르몬이 증가되면서 머리카락도 견디기 힘든 시대가 된 것이다. 일반적인 탈모와는 달리 원형탈모는 일시적인 탈모현상으로 비교적 쉽게 치료가 가능한 탈모증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수롭게 넘겼다가는 탈모로 인한 스트레스까지 겪어야 할지도 모를 일이니 이번 기회를 통해 원형탈모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 PDF

원형탈모증 환자의 정서상태와 성격특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Alopecia Aerata)

  • 이경규;백기청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2호
    • /
    • pp.158-167
    • /
    • 1997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lopecia aerata patient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are similar with those of neurotic patient. Methods : 20 alopecia aerata patients, 20 neurotic patients, and 20 normal healthy controls were studie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Korean standardized edition of Catell's 16 Personality factors Questionnaire(16PF) were used for assessment. Results: 1) Total score of BDI was higher in neurosis group than alopecia aerata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p<0.05). Inspire of statistical non-significance, total score of in alopecia aerata group was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2) Total scores of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in alopecia aerata and neu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p<0.001). 3) In first-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normal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lopecia aerata group and neurosis group in B-factor(intelligence) and C-factor(ego-strength)(p<0.05). Alopecia aerata group and neu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O-factor(guilt-proneness) and $Q_4-factor(tension,\;anxiety)$(p<0.001). 4) In second-stratum source traits of 16PF, alopecia aerata group and neu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ANX-factor(anxiety)(p<0.05).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characterstics of patients with alopecia aerata are a distinguishable different to compare with normal control, and are very similar with those of neurotic patients. The authors propose that psychiatric management in patient with alopecia aerata will be more benificial.

  • PDF

가감선방패독탕(加減仙防敗毒湯) 투약을 통한 탈모증 치험 1례 - 임파선염을 동반한 다발성 원형탈모증 치료를 중심으로 (A Case Report of Alopecia Treated by Gagamsunbangpaedok-tang (Jiājiǎnxiānfángbàidú-tāng) - Focused on Multi-patched Alopecia Areata with Lymphadenopathy)

  • 조아라;홍승욱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0-139
    • /
    • 2014
  • Objectives : This is a clinical report on a 27-year-old patient with Multi-patched Alopecia Areata(AA) assumed to be occurred by chronic lymphadenopathy, and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treatment.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by herb medication and acupuncture. The improvement of the patient was judged by magnifying glass, camera and VAS scale. Results & Conclusions : The AA patches were shown the regrowth of hair. And the pain from lymphadenopathy was disappeared. Oriental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Gagamsunbangpaedok-tang $(Ji\bar{a}ji\check{a}nxi\bar{a}nf\acute{a}ngb\grave{a}id\acute{u}-t\bar{a}ng)$ was effective to regrow hair on AA patches and reduce the symptom of lymphadenopathy as well.

탈발(脫髮)에 관한 한의학(韓醫學)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Bibliographical Study of Oriental Medical Records on Alopecia)

  • 이영종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6권1호통권29호
    • /
    • pp.141-159
    • /
    • 1995
  • The causes and treatment of alopecia are concluded based on the records found successive oriental medicine in order to persuade new treatments for alopecia as following : 1. In the context of modern medical science male-dominated alopecia was referred as dok-rak(禿落), cho-dok(早禿), chon-dok(全禿), pal-ju-tal-bal, chu-bal-sun and pal-sun(髮癬) alternatively, while alopecia areata was refereed as yu-pung(油風), pan-dok(斑禿), kwi-ji-du and kwi-che-du(鬼剃頭). 2. The causes of alopecia is related with condition of Gi(vital energy) and Hyul(blood) in the twelve channels, such as weakening of vital energy in the conduits, condition of internal organs as heat in the lung, weak kidney or liver vitality, and eating habits such as severe ingestion of bitter taste or sweet taste food. Other distinct reasons are penetration of wind and dryness into a head due to weakening Gi and Hyul inside human body, flaring up of the asthenic fire due to excessive eatings, hard labour or psychological sufferings deficiency of blood, deficiency of vital essence of kidney, phlegm caused by dampness and heat, and stagnated blood. 3. According to demonstration of alopecia, the causes of alopecia areata are listed as internal wind due to heat of blood, deficiency of liver and kidney, blookage of channels and collaterals by stagnated blood, and causes of male-dominated alopecia are listed as wind dryness caused by heat of blood, dampness and heat, and heat, wind and dryness due to deficiency of blood.

  • PDF

약침을 이용한 원형탈모증 치험1예 (One case treated alopecia areata with herbal acupuncture)

  • 윤정훈;김경헌;장수진;신민섭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5-110
    • /
    • 2001
  • The etiology of alopecia areata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but autoimmune theory i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increased association of alopecia areata with a number of autoimmune disorders and by the increased prevalence of organ-specific autoantibodies in alopecia areata. Alopecia areata was called 'Yupung(油風)', 'Quijidu(귀지두)', 'Ballak(髮落)' etc. We experienced a patient who had been alopecia areata for ten years. He had been treated alopecia areata with herbal acupunture( mixed CF and JsD). almost entire scalp had been replaced with new termal hairs.

  • PDF

한방모발관리 제품을 이용한 광범위한 원형 탈모증 치험1례 (A Case of Extensive Alopecia Areata Treated with Traditional Oriental Hair Care Products)

  • 이정환;강여름;정연호;안택원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9-280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traditional Oriental hair care products on inhibition of extensive alopecia areata. Methods : We have experienced a 29-year-old woman with extensive alopecia areata to get worse quickly. The patient was treated by acupuncture and traditional oriental hair care products in 9 months. We used HRV(Heart Rate Variability), APG(Accelerated Photoplethysmograpy) and SALT(Severity of alopecia tool) scale for the assessment of alopecia areata and her physical condition. Results & Conclusions : Her hair loss and physical condition was completely improved.

  • PDF

소아 원형탈모증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Child with Alopecia Areata)

  • 황보민;정민정;서형식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7-52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 of Baekhogainsam-Tang on alopecia areata. Methods We decided the treatment principle through abdominal examinations and symptoms. We used herbal medicine (Baekhogainsam-Tang) to increase the roots of hair and hair. Results After the treatment, patients' hair condition had been improved (Hair loss patch diameter decreased from 2.5 cm to 0.5 cm). In addition, patient's physical symptoms were improved. Conclusions This case shows that herbal medicine, which focused on patient's physical symptom, is seemed to be effective in alopecia are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