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통 방사체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보강 원통형 몰수체의 음향방사 해석과 FFT에 의한 진동 해석 (Acoustic Radiation Analysis of Stiffened Cylindrical shell and Vibrational Velocity by FFT)

  • 배수룡;이헌곤;홍진숙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과학연구소, 21 May 1993
    • /
    • pp.128-133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보강 원통쉘에 대하여 주위 유체의 영향을 고려하여 진동 및 음향방사를 해석하였다. 원통셀의 운동방정식은 Donnell 이론을 적용하였으 며, Contour 적분을 풀지 않고 FFT 알고리즘(Fast Fourier Transform Algorithm)을 이용하여 원통쉘의 진동을 계산하였다. 현재까지의 방사패턴에 관한 연구는 주로 원주 방향에 집중되어 왔으나, 보강 원통쉘의 방사패턴은 원추파 모형에 가까우므로 극좌표 .theta. 방향에 대한 음향방사 패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극좌표에 관한 방사패턴 에 관하여 주로 고찰하였다.

  • PDF

방사 음장을 이용한 원통형 방사체의 형상 추정 (A method for estimating the shape of a finite cylindrical radiator from its pressure field)

  • 김구환;김양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8-722
    • /
    • 2014
  • A method for estimating the cylindrical shape of a sound radiator is presented. It assumes that sound field can be measured by a linear array. A sound field, due to the radiator vibrating with uniform velocity, can be determined by its shape, size, and orientations. Measured data also can be varying from the array's position. To predict the shape of radiators from these measured data, mathematical relation between geometric parameter and measured information is needed. Assume that a radiator is cylinder, the magnitude and phase of measured pressure is related with the length and diameter of radiator, respectively. In this paper, the method for estimating length and shape of a finite cylinder by using its radiated pressure is proposed and verified through experiment.

  • PDF

유전체 클래드를 갖는 원통형 유전체 공진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Cylindrical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with a Dielectric Clad)

  • 이권익;김흥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4호
    • /
    • pp.54-5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유전체 클래드를 갖는 원통형 유전체 공진 안테나를 설계하고 해석하였다. 우선 원통형 유전체의 파동 방정식으로부터 단일 원통형 유전체 공진 안테나의 설계 제원을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유전체 클래드의 영향은 클래드의 두께와 유전율 값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 유전체 클래드의 외부 반경 대 원통형 유전체의 반경비 b/a를 1.3으로 하고 클래드의 상대 유전율 값을 내부 유전체의 1/3로 선정하였을 때, 비대역폭이 49%로 기존 안테나보다 2.3배 정도 개선되었다. 그러나 유전체 클래드의 두께와 상대 유전율 값의 변화에 따른 방사 패턴, 빔폭 및 이득 등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무선 LAN용 개구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원통형 유전체 공진 안테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perture-Coupled Microstrip Cylindrical Dielectric Resonant Antenna for Wireless LAN)

  • 이권익;김흥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25-431
    • /
    • 2001
  • 비유전율 ${\epsilon}_{r}$=36인 유전체를 이용한 무선 LAN용 개구 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원통형 유전체 공진 안테나(DRA)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우선 급전 소자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이론을 이용하여 급전 선로 길이, 선로 폭, 슬롯 길이, 슬롯 폿과 스터브 길이을 계산하였다. 방사 소자는 원통형 유전체 cavity 이론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제작된 원통형 DRA의 공진주파수는 2.449 GHz이고 VSWR, 반사 손실과 대역폭은 각각 1.009, -47dB 와 70MHz이다. 방사 패턴의 전후방비는 13dB이고 E면과 H 면의 3dB 빔폭은 각각 1$10^{\circ}$과 90$^{\circ}$이다.

  • PDF

원통 도체 위에 장착된 역 F 안테나의 방사 패턴 분석 (Analysis of Radiation Patterns of Inverted-F Antenna(IFA) on Cylindrical Conducting Body)

  • 김태현;김성완;이재득;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18-52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위성 발사체와 같은 원통 도체에 UHF 대역의 역 F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을 때 방사 패턴을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하였다. 우선 파라미터를 변화시켜가면서 장착될 역 F 안테나 자체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이 역 F 안테나가 원통 도체에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역 F 안테나의 개수, 원통의 길이, 그리고 원통의 직경 변화에 대하여 방사 패턴을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역 F 안테나를 제작하여 반사 손실을 측정하고 원통 도체에 장착하였을 때 방사 패턴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유한 배플 원통 진동체의 수중 방사 임피던스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the In-Water Radiation Impedance of the Finite Baffle Cylinder Radiator)

  • 김원호;윤종락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29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원통형 압전 진동체에 대한 수중 방사 임피던스를 유한 배플 구조에서의 측정 결과와 무한 배플 구조에서의 이론 결과를 비교하여 방사 임피던스에 대한 배플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배플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방사 임피던스의 측정치는 무한 배플에서의 이론치에 접하하며, 배플의 영항은 방사저항에서 보다 방사 리액턴스에서 더 지배적 임을 보인다. 따라서 음향 변환기의 설계시 무한 배플 구조에서의 방사 임피던스 이론 결과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배플길이에 따른 임피던스의 보상이 수행되어야 한다.

  • PDF

Gamma Scanning Test에 의한 대단위 차폐체의 결함 평가 연구 (A Evaluation of Shielding Deficiency by Means of Gamma Scanning Test)

  • 이봉재;서경원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8-236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검사 방법의 하나인 gamma scanning test에 의한 대단위 차폐체의 결함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방사선 차폐를 해석하는 유용한 방법중의 하나인 Monte Carlo 코드로 이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Gamma scanning test로 차폐체의 결함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은 원통형 차폐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방사성물질 운반용기에 대한 설계기준에 따라 기준차폐체를 설치하여 Co-60 선원과 섬광계수기로 기준치를 측정하고, 그 다음 실물의 원통형 차폐체를 측정하였다. 기준치로 원통형 차폐체의 납두께를 환산한 결과 결함두께는 최대 12mm로 평가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MCNP 코드의 계산에서는 결함두께가 실험적 결과에 비해 4.1%에 해당하는 최대 11.6mm를 나타내었으며, 두 결과가 만족할 정도로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방법은 방사성물질을 사용하는 시설에 설치되는 대단위 방사선 차폐체나 대용량의 운반용기 차폐능 검사시 현장에서 적용시킬 수 있으며 측정치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다. 앞으로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차폐체의 두께 측정결과가 화면에 직접 표시되는 측정장치의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 PDF

원통 구조에서 공간 콘볼루션을 이용한 상호 방사 임피던스 계산 (Calculation of the Mutual Radiation Impedance by the Spatial Convolution in the Cylindrical Structure)

  • 복태훈;이잉;팽동국;이종길;신구균;조치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
    • /
    • 2010
  • 공간 콘볼루션을 이용하여 원통형 구조에서 진동체 사이의 상호 방사 임피던스를 계산하였다. 본 계산 방식은 평면 배열을 공간 콘볼루션에 의해 원통 구조로 변환하고 이에 대한 상호 방사 임피던스를 계산하는 것으로서 정확한 형태의 원통형 배플을 고려하지는 못하지만 계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간 콘볼루션 방식에 의한 계산 결과를 기존의 4중 적분 방식에 의한 계산 결과와 비교하여 계산 방식에 대한 오차를 분석하였고, 또한 배열 구조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평면 배열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앞의 두 가지 형태의 비교를 통하여 본 계산 방식에 대한 오차를 확인하였고, 아울러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구간에서는 공간 콘볼루션에 의한 원통 구조라 할 지라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기적으로 큰 원통 도체 위에 장착된 역 F 안테나의 방사 패턴 분석 (Analysis of Radiation Patterns of Inverted-F Antennas on an Electrically Large Cylindrical Conducting Body)

  • 김태현;김성완;이재득;이범선;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720-73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위성 발사체와 같이 전기적으로 큰 원통 도체 위에 전기적으로 작은 역 F 안테나들이 장착된 경우에 대해 방사 패턴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모멘트 법(MOM: Method Of Moment)과 상용 툴(tool)인 HFSS(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를 이용하여 방사 패턴을 구하고 이의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원통 도체가 전기적으로 큰 경우 안테나 근방의 접지면 일부분만을 고려하여 원통 도체의 크기가 방사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다음 역 F 안테나가 원통 도체에 1개, 2개 장착된 경우에 대해 방사패턴을 모멘트 법, HFSS를 이용하여 구하고 고찰하였는데 이의 결과와 실험 결과가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실 드럼으로 부터의 특성시험용 코아 시편채취

  • 곽경길;김태국;유영걸;제환경;박준석;황석하;이승구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9년도 학술논문요약집
    • /
    • pp.173-174
    • /
    • 2009
  • "방사성폐기물 고화체의 물성시험"에 사용되는 시편을 실험실적으로 제조한 소규모 모의 고화체 시편과 고화공정에서 직접 채취한 소규모 시편, 200L 드럼으로부터 코아시편을 채취 가공하여 만든 시편과 같이 3종류가 있다. 고화공정에서 발생되는 고화체는 일반적으로 200 L 드럼에 주입되며, 고화체의 균일성 정도는 고화공정의 특성, 폐기물/고화매질 혼합비, 200 L 고화체 드럼의 냉각방식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실험실에서 제조한 시편과 공정에서 채취한 소규모 시편을 실제 고화공정을 대표할 수 없으며 또한 실제 발생된 고화체의 조성과도 동일하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200 L 실드럼에서부터 코아시편을 채취하여 만든 시편이 고화공정과도 고화체를 대표할 수 있는 시편으로 볼 수 있다. 기 발생고화체(시멘트와 파리핀 고화체 및 잡고체 폐기물)의 영구처분을 위하여 과기부 고시 05-18호 "폐기물 인도기준" 규정과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의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수기주(안)의 준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원전의 대표 드럼에 대하여 특성평가시험인 압축강도, 침출, 침수, 열 순환, 내방사성 영향시험을 수행하기위해 실 드럼으로부터 원통형 코아시편을 채취하여 이를 시험검사에 필요한 시험시편으로 가공한 후 표준 특성시험법을 이용하여 물성들을 평가하며 특성평가시험을 위한 시편으로는 L/D=2, L/D=1인 두 종류의 시편을 가공하였으며 압축, 침수, 열순환 및 방사선조사시편은 L/D=2 시편을 제조하였고 침출시험시편은 L/D=1인 시편을 채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