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주민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7초

'지배하는 이성'과 '배려하는 이성'이라는 개념 쌍을 통해 본 영화 <피아노> (Analysis of Jane Campion's <The Piano> by the Double Concept, the Ruling Reason vs. the Caring Reason)

  • 김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37-146
    • /
    • 2011
  • 제인 캠피온의 <피아노>에서 에이다의 남편인 스튜어트는 근대인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에 대한 무한한 정복욕과 소유욕을 드러낸다. 그러나 베인즈는 뉴질랜드 원주민과의 인간적 유대를 지니고 있으며, 자기땅에 대한 소유욕과 정복욕을 갖고 있지 않다. 스튜어트가 자기 아내의 욕망을 무시하고 자기의 욕망에 따라서만 행동한다는 점에서 근대인의 지배하는 이성을 대변해준다면, 베인즈는 에이다의 피아노에 대한 열망을 충족시켜 주고 그녀의 내면세계를 함께 공유하기 위해 그녀의 피아노와 자기의 땅을 교환하자는 거래를 제시한다. 이처럼 베인즈는 에이다의 목적에 맞게 그녀를 배려하고, 동시에 자기의 욕망 또한 배려한다는 점에서 배려하는 이성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대만 태아족(泰雅族)의 경면문양(黥面紋樣)과 전통복식 (Atayal Facial Tattoo Patterns and Traditional Costumes in Taiwan)

  • 최유화;박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9-102
    • /
    • 2010
  • Atayal studi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indigenous tribe in Taiwan, which is receiving considerable publicity gradually. Atayal has a quite unique traditional dress and custom as facial tattoo.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conventional culture of body adornment of the Atayal including the clothing which is less preserved and practicing by them at the present day, and the origin and the proces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ose are just a littl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study. Through this study, we can get know about indigenous tribe's cultural background, such as their life, custom, religion, and the influences on traditional costum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I examined the Atayal's traditional costumes and clothing through related books, magazine, research papers, internet sites, and etc. I also examined the common ground between facial tattoo patterns and their clothing using reference books and official web-site. Traditional clothing materials, basic forms of dress, and the pattern and technique of facial tattoo were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deepen the appreci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Atayal. In way, I hope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Korean fashion industry which intends to enter Taiwan market.

  • PDF

미국 원주민 문학과 보편성 문제-실코의 『의식』을 중심으로 (Native American Literature and the Question of Universality Focusing on Silko's Ceremony)

  • 김지영
    • 영미문화
    • /
    • 제14권2호
    • /
    • pp.97-125
    • /
    • 2014
  • This paper delves into the question of universality in Native American Literature focusing on Leslie Marmon Silko's Ceremony, exploring some different definitions of universality and looking at the work in the light of these definitions. In this paper I proposed four possible definitions or faces of universality applicable to the narrative of the oppressed people. Firstly, the colonizers indoctrinate their colonized persons with the colonialists' beliefs through the process of assimilation purposefully imposed in the name of universality. In Ceremony Rocky and Emo are the victims of assimilation including militarization. Secondly, the colonized people hold on to their traditional values in face of colonizers' universalism. In Ceremony Tayo shows an attachment to tribal stories in opposition to whites' lies. Thirdly, the colonized can get together by sharing experiences of violence, occupation, and loss of their land and language, forming a bond of "commonality" among them. In Ceremony the story of a medicine man, Betonie, suggests oneness of victims against the evil power of destroyers represented by nuclear bombs. Fourthly and lastly, the universal consists in the subject's trial and practice attempting to achieve universalism against the existing order, not in the stipulation defining what is universal. In the story Tayo endeavors to retrieve his cattle by transgressing whites' property and makes a hole in the established dichotomy of whites and Indians. In sum, Ceremony as a minor literature shows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universality, culminating in Tayo's refusal to assimilate himself to whites' lies.

마틴 구티에레즈의 패션미디어 작품에 나타난 정체성 표현 -주디스 버틀러와 아테나 아타나시오우의 박탈(Dispossession) 개념을 중심으로- (Expression of Identity in Martin Gutierrez's Fashion Media Works -Focused on Judith Butler and Athena Athanasiou's Concept of Dispossession-)

  • 이명선;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32-243
    • /
    • 2023
  • The boundaries between fashion and contemporary art are increasingly blurred showing their interchangeability. This study examines Judith Butler and Athena Athanasiou's concept of dispossession to analyze expressions of gender, racial, and class identity in Martine Gutierrez's representative work, Indigenous Woman. First, gender expressions in Indigenous Woman emphasize the possibility of performative and practical gender as an image that rejects norms that grant authority according to the possession of innate body parts. Second, racial identity is expressed through resistance to the ideology of whiteness and imperialism reinforced by fashion media. The author aims to overcome normative stereotypes through the media she creates, which reveals her identity as a person of color. Third, class identity is represented through stereotypes that limit the lives of indigenous people to primitive and natural things. The author reveals a critical awareness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cultural appropriation these stereotypes have created. This study analyzed contemporary artworks using fashion media through the concept of disposs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raising a critical awareness of the practices that diffuse minority identities in fashion media.

재개발지역의 원주민 세입자 재정착률 제고방안 (An Analysis of the improving of resettlement for original tenant in redevelopment district)

  • 남영우;성상준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57-65
    • /
    • 2009
  • Housing Re-Development business i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old residential area and secure insufficient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the public, and to provide housing of fine quality for the individuals and it is taken as an opportunity for the individuals to be able to increase their property. However, it is true that the benefits from the redevelopment has not offered to the original dwellers who has lived there for a long time.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ed systems of the Rental House Redevelopment Supply Service and is to present the schema to raise resettlement rate through the investment on the rate of tenants who chose the rental house and their specific characters.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form measures about the following 3 problems, on the basis of prior theoretical studies which deals with the common factors having low rate to move in the rental house of the tenants. (1) Physical side, the problem of supply structure, which is not appropriate Housing Supply Structure, (2) Psychological side, the problem of socially excluded rental house residents (3) Economical side, low re-settlement rate of tenants caused from the unreasonableness of the estimated rental value. This study presents that the compulsory rental housing supply rate should be changed to the gross area not from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the supply of rental houses should correspond to the household size of tenants through prior demand survey. Secondly, it proposes the housing complex layout for intermixing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to allow a housing for sale and rental houses mixing in a building. And it proposes that the rental value should be calculated considering the neighboring value and in the long run, it should be calculated considering the tenants' income instead construction cost estimate. Also, it should be arrang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reate income through resident welfare center improvement and provide self-sufficiency functions leading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residential area's repairing and maintenances.

  • PDF

인도네시아의 REDD+ 전략 평가를 위한 기준 개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Evaluating Indonesia's REDD+ Strategy)

  • 배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06-612
    • /
    • 2012
  • 기후변화협약 제16차 당사국총회에서 결정된 칸쿤 합의문의 REDD+ 결정문과 노르웨이의 인도네시아 REDD+ 국가 전략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 요소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의 REDD+ 전략을 사전에 평가하기 위한 4가지 정성적인 기준을 개발하였다.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의 원인 규명'(평가기준 1)과 '국가 MRV 체계 수립'(평가기준 2)은 REDD+가 성공할 수 있는 토대이다.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평가기준 3)은 REDD+의 궁극적인 목적이고 지역주민 및 원주민의 권리를 보장하고 생물다양성을 보장하는 '안전장치의 보장'(평가기준 4)은 REDD+의 보완적인 목적이자 REDD+ 성공의 토대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REDD+ 평가를 위한 기준 및 지표는 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개도국의 REDD+ 국가 전략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틀을 제공한다.

갈등지수 산정에 의한 사업기간 및 비용 예측 - 공동주택 재건축사업을 중심으로 - (Estimate the Period and Cost of Projects by Estimating the Conflict Index - Concentrated on the Apartment Reconstruction Project -)

  • 이로나;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87-94
    • /
    • 2012
  • 공동주택 재건축사업은 주거환경개선 및 신규 주택공급이라는 도시 계획적 순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원주민의 재정착 실패 및 소득 재분배 실패, 부동산투기, 주택가격의 급상승, 사업주체간의 갈등, 제도 미비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사업 의도가 왜곡되고 재건축사업의 추진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건축사업 주체간의 갈등은 사소한 갈등이 확산되어 분쟁과 소송으로 이어지며, 그 결과 재건축사업이 원활히 추진되지 못하게 되어 사업기간과 비용을 증가시키거나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은 재건축사업의 역기능 중 사업주체간의 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재건축사업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갈등지수를 산정하고 갈등지수를 이용하여 재건축사업의 기간과 비용을 예측하고자 한다. 갈등지수는 재건축사업의 주체간의 갈등요인을 중심으로 신정하며, 갈등지수를 포함한 여러 가지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재건축사업의 기간과 비용을 예측한다. 또한 갈등지수의 산정과 사업기간 및 비용 예측을 통하여 사업주체간의 분쟁과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하고 성공적인 재건축사업의 추진에 기여할 수 있다.

관광개발과 경제주의 지역개발 -경주 경마장 건설사례를 중심으로- (Tourist Development and Local Development as Economism -A Case Study of Gyeongju Racecourse Construction-)

  • 노용석
    • 고문화
    • /
    • 57호
    • /
    • pp.263-278
    • /
    • 2001
  • 대부분의 나라들은 관광개발을 지역개발의 한 수단으로 여겨왔으며, 이때 지역개발은 공업개발의 중심에서 밀리 떨어진 지역의 개발이라는 의미를 가졌다. 한국도 관광개발을 지역개발의 한 수단으로 여기면서 경제개발의 일환으로 삼는데 주력하였다. 그러나 관광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문화정책에 있어서 지나친 상업주의를 가중시켰으며, 그 결과 올바른 문화정책의 성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했다. 경주 경마장 건설 사례는 이러한 관광개발의 모순이 외형적으로 드러난 대표적인 사례이다. 경주경마장 사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경마장을 건설하느냐 하지 않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경주에 경마장이라는 요소가 들어올 수 있었던 문화정책의 문제이다. 정치권은 잘못된 문화정책 규제들(문화재보호법 등)로 인해 피해를 받고 있는 경주시민들에게 근본적인 문화정책은 치유하지 않은 채 경마장이 라는 상업주의적 관광개발을 통해 보상하려 하였으며. 결국 이러한 정책은 문화보존 정책과 대립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특히 경마장 건설 예정부지의 물천리 주민들은 정부의 잘못된 문화정책 때문에 많은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겪었으며, 경마장 건설계획이 폐기된 이후 아직까지도 문화재 보호법으로 인해 피해를 입고 있다. 경주 경마장 사례는 아직도 관광개발을 단순한 경제주의 지역개발로 치부하고 있는 국가 문화정책의 실수이다. 이의 개선을 위해서, 국가는 근시안적인 문화정책을 폐기하고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문화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먼저 경주의 사례에서 볼 때, 경주의 지역개발과 관광개발을 동시에 막고 있는 문화재 보호법을 비롯한 제반 규제들을 수정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또한 이벤트 위주의 관광정책을 탈피하고, 관광지 원주민들의 입장에서도 고려필 수 있는 근본적인 문화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생태주의 환경관의 재구성을 통한 북미 원주민의 생태주의 환경관 분석과 환경교육점 시사점 (An Analysis of the Native North Americans' Environmental Views by Reorganized Ecocentrism and the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박미화;김기대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3호
    • /
    • pp.49-62
    • /
    • 2009
  •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ed to change the technocentric view of environment into the ecocentric one to overcome ecological crisis today. Thu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organize characteristics of ecocentrism, to analyze ecocentrism of Native North Americans as a realistic model, and to finally find suggestions to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the ecocentric perception on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pursues co-existence through harmony and balance based on holistic understandings. And the ecocentric perception on relationship among human beings attempts to preserve environment by overcoming rule structure among them. The ecocentric perception on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spirituality is to set life goals to achieve spirituality rather than to pursue material life. Second, Native North Americans have a holistic world view that human beings and nature are an inseparable one through the symbol of 'the Sacred Circle'. They also lived simple lives which satisfies vital needs instead of pursuing material lives in terms of the perception on relationship among human beings. When it comes to the perception on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spirituality, they feel sacredness from all things in daily life and want to have peaceful relationships with their own inside through spirituality toward 'Mother Earth'. Third, the ecocentrism of Native North Americans make suggestion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confirm again what roles of human beings are in ecosystem, and that it helps students develop ecological sensitivity by giving them many opportunities to go to field trips. Furthermore, environmental education helps them positively think about and actively choose simple life. In addition, it has to be designed to help students seek sacredness in daily life through ecological imagination. This study has values of newly organizing characteristics of each ecocentric idea by integrating it from complementary aspects, and pursuing direction of ecocentrism and its realistic possibility by analyzing the ecocentrism of Native North Americans as a model of ecological life.

  • PDF

천안시 주민들의 주택보유형태 및 주택점유형태 결합선택 분석 (An Analysis on Joint Choice of Tenure and Dwelling Type in Cheonan)

  • 박성휘;한종호;이성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37-1645
    • /
    • 2011
  • 본 연구는 다항로짓분석을 이용하여 천안시 주민들의 가구별 주택특성 및 사회경제적 변수가 주택보유형태 및 주택점유형태의 결합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자가-비아파트에 살고 있는 가구는 주로 오랜 기간 지역을 지켜온 원주민들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는 수도권 거주경험도 가지고 있으며 언제든지 수도권으로의 이전을 생각하여 자가 주택을 구입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가구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수가 주택선택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는데, 예를 들어 가구주의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거주기간이 길고, 학생 수가 많을수록, 임대주택보다는 자가주택을 선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