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주민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Meaning of Zelkova serrata as a Medium of Place Memory - Focused on the Natives of the Village and the Migrant of Keangnam Apartment in Dogok-dong - (장소기억의 매개로서 느티나무의 의미 고찰 - 역말 원주민과 도곡동 경남아파트 이주민을 중심으로 -)

  • Hamm, Yeon-Su;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3
    • /
    • pp.42-55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mories of the natives and the migrants who had been living with the 760-year-old Zelkova serrata located in the Keangnam Apartment Complex in Dogok 1-dong. Place memory is a newly illuminated concept since the 1980s, and is also used as a new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ing and recording multi-layered memories left in a place based on feelings and traces of vivid memories. The urban development of Gangnam, which began in the 1970s, quickly changed rural to apartment complexes. The natives of Yeokmal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new migrants moved in. In the process, zelkova serrata was managed in different ways from time to time, and residents also establish relationship in different ways. Natives used to take a rest in the tree or swing at Dan-o, and recognized it as a place to receive the god during the village ritual. In other words, they shared the entire process of life and death and were given various roles depending on the lives of the residents. It is also a direct experience that was experienced in detail and a place where collective memories of residents are melted. On the other hand, with the construction of Keangnam Apartment, the management of zelkova tree has become stricter, making it impossible for migrants to access. Migrants have come to enjoy zelkova serrata visually, and the annual Yeokmal Traditional Festival makes common memories in the city. In addition, many people personified trees and received mental comfort. In addition, the nature of the old big tree was highlighted in the background of the city, and the symbol of "uniqueness and speciality" was newly formed,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pride and attachment. Through the memories of the two subjects' zelkova tree, we were able to examine the memories of the tree value,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 in the city.

Weaving techniques of white huipil material from the alta verapaz area in guatemala (과테말라 Alta Verapaz 지역의 민속의상 Huipil 재료의 수직기법에 관한 연구)

  • 이경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23 no.1
    • /
    • pp.1-9
    • /
    • 1985
  • 과테말라의 알타 베라파즈 지역에서 원주민들의 민속의상의 하나인 Huipil 재료로 생산되는 반투명의 백생 무명 수직물은 독특한 직조기법과 구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 부분적인 연구는 O'neale 과 Osborne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으며, 본고에서는 이들 연구를 기초로 이 지역의 Huipil 재료의 직조과정과 기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직물구조의 분석은 Iowa 주립대학의 직물소장품중 4점의 이지역 Huipil 재료를 실측하여 이들 각각의 전체적인 구조와 기본적인 직조방법, 그리고 무늬를 형상하는 기법에 대하여 검토하엿다. 본 고찰을 통하여 이 지역에서 생산된 Huipil은 대부분 원시적인 형태의 직조기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복잡한 무늬를 짤 경우에도 보조적인 도구는 사용되지 않고 특유의 수직기법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밝혓다. 또한 Huipil의 바탕은 plain weave, gauze, 도는 brocade의 변형으로 구성되었으며 바탕과 무늬의 변화는 실의 굵기의 변화로 더욱 강조되어 독특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migrant Occupational Selection Model : The Case of Scientific-technical Jobs in the U.S. (이민의 직업선택모델 비교연구: 미국의 과학기술직 사례)

  • Lee, Sae-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9 no.2
    • /
    • pp.37-42
    • /
    • 2006
  • 기술집약적인 경제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공계 진학과 과학기술직종선택의 감소는 성장잠재력에 가장 근본적인 위협이 된다. 이를 유지하려는 여러 가지 정책이 교육학적이나 사회학적 근거에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분석하는 이론적 경험적 틀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직업선택모델은 사회학적인 접근법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경제적 동인에 대극 분석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에 나타난 가장 국제화된 미국의 과학기술직 사례를 통해 인적자본 모델을 기준으로 하여 기술직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한다. 이민의 직업선택모델의 관점에서 원주민의 경우와 비교하며, 동시에 타 직업군과 비교한다. 직업선택에서 미래소득에 대한 예측이 대체로 정확하나 실제의 선택이 다르다는 기존 논문들의 주장은 성간 차이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현격하지 않다. 민족적 차이의 효과도 인적자본효과에 비해서는 크지 않다. 과학기술직은 고급 화이트칼라 직종에 비해 결혼과 교육 언어 경험면에서 저급한 직종의 특성을 보인다. 여성의 과학기술직 기피는 남성프리미엄이 높아서는 아니지만 합리적인 차별 때문으로 볼 수 있다.

The Create Cultureal art space in the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예술공간 만들기 - 창원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중심으로 -)

  • Min, Seong-Ki;Kim, Su-Gyeong;Han, Ch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5-106
    • /
    • 2017
  • 현대의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기존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낙후된 도심 환경을 개선하여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쇠퇴한 구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에서 환경조형물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그것이 놓이는 장소 혹은 공간이 가지는 의미, 공공성 또는 공익성이라는 영역에서 예술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리사이클, 업사이클, 뉴사이클'이라는 3개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를 통해 환경조형물이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마을흔적보전이라는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담아냄으로서 도시재생이 가지고 있는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The Study of the Genocide in Guatemala (과테말라 내전 원주민 학살의 전개와 배경)

  • Noh, Yongseok
    • Cross-Cultural Studies
    • /
    • v.34
    • /
    • pp.147-172
    • /
    • 2014
  • The Guatemalan government and guerrilla forces(the Unidad Revolucionaria Nacional Guatemalteco, URNG) signed peace accord in 1996, and ended civil conflict(1960-1996). The bloodiest governments of the 36-year-lond armed conflict were those of Lucas Garc?a, R?os Montt and Mej?a V?ctores, between 1978 and 1983. The war that Guatemala underwent resulted in more than 200,000 casualties, more than 83% of them Mayan,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CEH(Comision para de Esclarecimiento Historico). 'Victoria 82' and 'Opreation Sof?a' were the strategy of military dictatorship to destory indigenous Mayan communities. This paper is to demonstrates that the Guatemalan state perpetrated a genocide against the indigenous population using racism to strengthening modern nation-state and this was because, historically and structurally, it possessed, in its intrinsic naturem the repressive, ideological and legal apparatus. To distinguish Maya from ladino is often linked to cultural and social discrimination and a system of racial ranking. Militaty dictatorship used the system of racial ranking to exterminate indigenous populations.

어촌지역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른 갈등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남해군 미조권역 중심으로-

  • 박종윤;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86-289
    • /
    • 2022
  • 농어촌지역의 인구감소로 인한 인력난 해소를 위하여 국가적으로 농·어가당 외국인 고영허용 인원을 확대하고 농가의 경우 계절 근로제도 대상 적용 작물 제한을 없애는 등 인력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와 국제결혼 증가로 인하여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 19 이전 2019년 12월 말에 체류 외국인이 252만 명으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4.9%에 해당하며, 통상 학계에서는 외국인 비율이 5%를 넘으면 다문화사회로 분류한다. 지속적인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의 증가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다문화사회로 분류된 상황에서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를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인식하고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해군 미조권역의 사례를 바탕으로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와 원주민과의 갈등관리를 위한 시설물 및 프로그램 계획, 현안갈등과 잠재적갈등 관리 방안을 제안하여 어촌지역 다문화사회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 수행의 의의가 있다.

  • PDF

Online Religious Culture in Korea: Focusing on Religious Activities and Special Cases of Religious Expression (한국의 온라인 종교문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온라인 종교활동과 종교적 표현상의 특이 사례를 중심으로 -)

  • Shim Hyoung-june;Lee Won-sub;Oh Joon-hyeok;Lee You-na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5
    • /
    • pp.187-226
    • /
    • 2023
  • In contemporary society, digital media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daily life that shapes how people interact with the world around them. This phenomenon has also influenced religious activities and practices. Studies on digital religion and religious practices among digital natives in the Western world have indicated that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s are on the decline. Instead, more accessible and flexible forms of religious activities and beliefs are emerging. Give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ether similar trends are occurring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igious activities and expressions of Korean individuals in the online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four main areas: ①the online religious activities of established religions such as Protestantism, Buddhism, and Catholicism; ②the online religious activities related to divination belief systems such as the Four Pillars of Destiny (四柱 saju) and Tarot; ③online holy sites and wish comments or chats; and ④popular religious neologisms such as jileumshin (지름神 a god with the power to justify consumption) and gatsaeng (갓[God]生 one's best life). Through this review, it can be ascertained that religious ideas and practices are restricted by the attributes of digital media. This implies that the emergence of simplistic forms of religious ideas and activities is associated with the features of digital media and the consumption of digital content.

미국남서부지역 선사시대 수혈주거지의 방향과 열효율과의 관계 검토

  • 강봉원
    • KOMUNHWA
    • /
    • no.66
    • /
    • pp.57-86
    • /
    • 2005
  • 이 논문은 미국의 남서부지역(대략, 애리조나 주, 뉴-멕시코 주, 콜로라도 주, 그리고 유타 주 등에 해당)에서 발굴 조사된 수혈주거지들의 방향을 열효율과 연계하여 연구한 것이다. 이 지역 선사시대 수혈주거지에 거주했던 사람들은 주거지 내부에 있었던 작은 노지(爐址) 이외에 다른 난방시설이 없었기 때문에 고고학자들은 이 지역 주민들이 주거지를 설계할 때 자연난방인 태양열을 이용하였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이 아이디어를 고고학 자료를 통하여 검증하기 위하여 기원 전후부터 기원 후 미국 남서부 지역에서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원주민들의 호호캄(Hohokam, 남부 애리조나 지역), 아나사지(Anasazi, 북부 애리조나, 뉴-멕시코, 남서 콜로라도와 남동 유타에 걸쳐져 있던 四隅지역), 그리고 머기욘(Mogollon, 남동 애리조나와 남서 뉴-멕시코 지역) 문화 유적지에서 발굴조사된 수혈주거지들의 깊이, 모양, 그리고 방향에 대해서 검토하여 보았다. 동시에 수혈주거지의 방향의 해석과 관련된 하부구조적 측면과 관념적 측면의 두 가지 상반되는 견해에 대해서 검토하여 보았다. 이들 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주거지들의 방향을 분석하여 보아 일관성 있게 남쪽으로 난 주거지들의 방향이 초자연적인 의미를 내포한 것 이라기보다는 적응의 전략으로서 태양열의 이용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주제어: 선사시대, 미국 남서부 지역, 고고학, 건축, 수혈주거지, 방향, 태양열, 실용성, 상징성ン?⨀⣳?⨀㋳?⨀?⨀

  • PDF

Content Developmemt of Ceramic Jewelry (도자기 장신구의 콘텐츠 개발)

  • Kim, S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9
    • /
    • pp.62-71
    • /
    • 2007
  • Man kind has been doing a human body ornament as a expression of desire for beauty from the earliest times. The ornament might assume expression for the human body earlier than clothes it has protected human body from the exterior such as dishonor, cold weather and hot weather etc. because ornament has been excavated compare than clothes. for example. The aborigine's clothes and tools seem to be more splendid ornament than natural function. The ornament has been development with variety such as bone from the animals, Feather from the primitive ages to high technology new materials in the modern society. In this research contribute that development of jewelry contents industries through the vernacular of tradition korean jewelry.

Gender Trouble in Brave New World (『멋진 신세계』에서의 젠더 트러블)

  • Ryu, Da-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7
    • /
    • pp.222-230
    • /
    • 2018
  • This paper examines gender trouble in the future society from Huxley's Brave New World, in which science is highly developed. In addition, I examined how gender equality was achieved in the World State in which equality and identity were emphasized, and considered the precise meaning of gender equality. Superficially, there are many gender inequality factors in the Reservation, and gender equality is achieved in the World State. However, if we look closely at the World State, we realize that they deprive individual rights under the name of social stability. Therefore, we should reconsider what real gender equality is, and we need to examine what is needed to achieve gender 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