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점보정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최적화알고리듬을 이용한 세기변조방사선치료의 정량적인 정도관리

  • Park, Dong-Hyun;Park, Dal;Park, Sung-Yong;Kim, Tae-Hyun;Shin, Kyung-Hwan;Kim, Dae-Yong;Cho, Kwa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35-35
    • /
    • 2003
  • 목적 : 세기변조방사선치료의 정도관리 중 선량 분포의 비교에 관한 새로운 정량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 중에서 선량의 기울기가 큰 영역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적화 알고리듬을 사용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필름을 통해 측정된 선량분포와 컴퓨터를 통해 구해진 선량분포를 각각 5mm 간격과 lmm 간격의 해상도로 컴퓨터를 이용해 2 차원 선량분포로 구현한다. 그 후 두 선량분포사이의 차이를 각 선량분 포의 원점을 일치시킨 후 구해낸다. 이때 일반적으로 두 선량분포 사이의 차이는 선량의 기울기가 큰 영역에서 상당히 크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것은 측정 장비의 원점을 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차원 상의 미세한 원점의 불일치 효과로 선량의 차이가 선량의 기울기가 큰 영역에서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이 불일치를 보정하기 위해서, 측정된 선량분포를 계산된 선량분포 위에서 lmm 간격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선량의 차이를 계산하여 이 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의 이동치는 가속기가 갖는 허용오차 이내에 있어야 하며 이 값은 2mm로 알려져 있다. 이 과정과는 독립적으로 이온 챔버를 통해 측정된 절대선량 값을 이용하여 두 선량분포 사이를 재 규격화한 뒤 차이를 구하게 되면 우리는 5mm 간격의 2 차원 절대선량 분포 비교를 실험상의 오차들 중 가장 크게 작용하는 원점 오차로 인한 오차를 제거한 뒤 수행한 것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여기서 계산된 선량분포의 해상도는 장비의 허용오차 보다 항상 작아야 한다. 결과 : 머리와 목에 환부를 갖는 여러 환자들에 대한 선량분포 비교 결과를 통해서, 측정된 선량분포와 계산된 선량분포사이의 허용오차 범위에 대한 일시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은 물론 더 많은 환자들에 대한 선량분포 비교를 통해 개선되어질 수 있다. 결론 : 측정 장비의 원점 불일치의 보정뿐만 아니라 측정 장비의 회전에 의한 오차 보정, 필름의 광학적 밀도에 관한 보정 등 여러 가지 계통적 오차들에 대한 보정들이 선량분포 확인과정의 이해와 그 기준마련에 도움이 되겠지만 우리가 다룬 원점 불일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무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선량분포 확인의 최종목표인 3 차원 선량분포 확인의 실제 적용을 위한 연구가 최적화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실험 중에 있다.

  • PDF

기술현황분석 - 지능제조설비를 위한 열변형 보상장치 및 실시간 CNC보정 기술 개발사례

  • Kim, Dong-Hun;Song, Jun-Yeop;Cha, Seok-Geun
    • 기계와재료
    • /
    • v.22 no.1
    • /
    • pp.46-53
    • /
    • 2010
  • 공작기계에서 가공정밀도를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 열변형 및 채터진동이다. 본 고에서는 이 중 장시간 가공중 기계의 열변형에 따른 문제점을 자동으로 공작기계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ler) 제어기상에서 실시간으로 보상하여 주는 장치 및 기술개발 사례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고자 한다. 기계가공에서 온도신호의 실시간 데이터 취득 및 열변형에 따른 공작기계 원점(Work Offset)의 자율보정이 가공정밀도 향상 및 가동률 향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온도 데이터의 취득부와 보상을 위한 보정값 추출을 위한 선형회귀법 및 신경회로망의 보정모델을 임베디드화한 디바이스와 CNC상에서 가공중 공작기계 원점 자동보정을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기에 관련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Full-Scale Active Mass Dampers based on a Numerical Model and Test (실물크기 능동형 제어장치의 수치모델 및 실험에 기초한 성능 평가)

  • Jeon, Min-Jun;Lee, Sang-Hyun;Woo, Sung-Sik;Mun, Dae-H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8 no.6
    • /
    • pp.635-643
    • /
    • 2015
  •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est results are given to confirm the control efficiency of the linear control algorithm used for designing the active mass dampers(AMD) which are supposed to be installed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ntrol tower. The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from test and numerical analysis is conducted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AMD showed the control performance expected by the numerical model. The effects of the gain scheduling and constant-velocity signal added to the control signal calculated by the algorithm is identified through the observation that the AMD always show behavior within the given stroke limit without any loss of the desired control performance.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accelerations of the structure and the AMD were almost close to 90 degree, which implies that the AMD absorbed the structural energy effectively.

A Study on Computation of Unified Coordinate of Cadastral Control Points over the Field with Different Surveying Origins (기타원점지역 지적측량기준점의 통일 좌표 산출 연구)

  • Yang, Chul-Soo;Jin, Jung-N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3
    • /
    • pp.3-13
    • /
    • 2008
  • The coordinate of cadastral control points located over the area of different surveying origins is computed in a single surveying origin by trilateration adjustment of GPS baseline measurements. In every different surveying origins, well-matched control points are selected and mutually coinciding coordinates are computed by free network adjustment. Then, the coordinate of the other control points over the area is computed by joining these points to the adjusted points. In practice, by using 18 points of Gari, 17 points of Gyeyang, and 33 points of Central origin in Incheon, the coordinates of total 68 points in every surveying origin are computed. Between the points of different surveying origins, it is found that there are quantitative differences in azimuth and scale factors and the approximate point coordinate of other surveying origins is calculated by correcting the scale and azimuth.

  • PDF

Evaluation and Adjustment of Lateral Displacement of Complex-shaped RC Tall Buildings Considering the Displacement by Tilt Angle of Each Floor (층경사각에 의한 횡변위를 고려한 비정형 고층건물의 횡변위 평가/보정)

  • Kim, Yungo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7 no.5
    • /
    • pp.551-558
    • /
    • 2015
  • Lateral displacement in the most complex-shaped tall buildings is caused by eccentric gravity loads which are induced by the difference in location between a center of mass and a center of stiffness. The lateral displacements obtained from analysis, using conventional procedures, are prone to overestimate the actual values because much of realignment efforts made during construction phase are ignored. In construction sequence analysis, the self-leveling of slab and the verticality of columns/walls could be considered at each construction stage. Moreover, the displacement compensation can be achieved by manual process such as re-centering - locating to global coordinates through surveying. Because the lateral displacement increases with the building height, it is necessary to set up adjustment plan through construction stage analysis in advance in order to result in displacements less than the allowable limits. Because analytical solution includes lots of assumptions, the pre-adjusting displacement should be reasonably controlled with considerations for the uncertainty due to these assumptions.

Real time GPS position data correction using the vanishing point and a monocular vision system for autonomous land navigation (무한원점과 단일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자율주행을 위한 실시간 GPS 위치 데이터 보정)

  • 정준익;노도환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6
    • /
    • pp.187-193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GPS position data correction method for autonomous land navigation using vanishing point property and a monocular vision system. Simulations are carried out over driving distances of approximately 60 km on the basis of realistic road data. On a straight road, the proposed method reduces GPS position error by at least 63% within 0.5 m. However, the average accuracy of the method is not present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it on other than a straight road in variable conditions.

Decision of G/R Ratio for the Correction of Mean-Field Bias of Radar Rainfall and Linear Regression Problem (레이더 강우의 평균보정을 위한 G/R 비의 결정과 선형 회귀 문제)

  • Yoo, Chulsang;Park, Cheolsoon;Yoon, Ju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5B
    • /
    • pp.393-403
    • /
    • 2011
  • This study theoretically reviewed the empirical G/R ratio by considering three regression and trend lines; the general linear regression curve, linear regression curve passing the origin, and the line passing the origin and the mass center of observed data. This review included the problem of choosing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at of considering the zero measurements. This review result was also applied to the Typhoon Maemi in 2003 for their evaluation. Additionally, those regression and trend lines were compared using the RMSE between the corrected radar rainfall and observed rain gauge rainfall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G/R ratio. Summarizing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electing the rain gauge rainfall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ere found better than the opposite case. Second, the effect of zero measurements vari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radar and rain gauge rainfall. Finally, the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three regression and trend lines shows that the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passing the origin with its independent variable of rain gauge rainfall would be used most appropriately for the G/R ratio, especially when the corrected radar rainfall is used for the flood analysis. The effect of zero measurements in this case was found not so significant.

The Determination of Orthometric Height based on Gravity in Korea (우리나라 수준점의 중력기반 정표고 결정)

  • Lee, Yoo-Jung;Choi, Yun-Soo;Kim, Jae-Myeong;Song, Hyun-K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81-282
    • /
    • 2010
  • 우리나라의 수직기준은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으로 이 높이를 기준으로 수준점의 표고를 결정한다. 현재 우리나라 수준점의 고시성과는 실제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는 대신 정규중력식에 의한 타원보정량을 계산하여, 높이차를 보정한 뒤 수준원점을 고정하고 최소제곱법을 수행하여 산출한 정규표고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산지가 많아 지형의 기복이 심하고 산맥을 가로지르는 수준노선이 있어 중력에 의한 영향을 무시할 수 없으나 현재 그 영향을 고려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 중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준점의 중력값을 산출한 뒤 정표고를 산출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시좌표와 비교해 보고자한다.

  • PDF

다중 전원을 이용한 듀얼 랑뮤어 프루브 시스템을 통한 플라즈마 진단

  • Kim, Hyeok;Lee, U-Hyeon;Hwang, Gi-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14-215
    • /
    • 2011
  • RF 플라즈마의 경우 일반적인 싱글 랑뮤어 프루브를 사용하여 I-V 파형을 구하는 경우에, 우리는 시평균한 값만을 구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라즈마 반응 챔버의 구조상, 양 전극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진동하는 플라즈마 포텐셜의 형태는 정확한 사인파의 형태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플라즈마 포텐셜에 따라서 진동하는 데이터를 시평균한 값에는 DC 오프셋 성분이 나타난다. 이러한 DC 오프셋값은 랑뮤어 프루브를 통한 플라즈마 포텐셜 측정시에 오차로 나타난다. 우리는 DC 오프셋에 의한 에러값을 보정하기 위해 멀티 프루브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흔하게 쓰이는 듀얼 랑뮤어 프루브의 경우를 살펴보면, 내부의 전원이 플로팅되어 있으며 전압인가를 위한 회로 또한 접지에서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즈마 포텐셜이 시간에 따라 흔들려도 전체적인 전위가 플라즈마 포텐셜과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앞에서 말한 DC 오프셋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하여는 회로의 절대적인 플로팅이 필요하지만 실제 듀얼 랑뮤어 프루브의 전원 회로를 구현시에는, 트랜스포머 등을 사용하여 회로를 절연시켜도 회로에 기생적으로 발생하는 콘덴서 성분 때문에 플로팅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양극과 음극 사이의 내부 임피던스가 다르게 나타난다. 실제로 기존의 듀얼 랑뮤어를 가지고 RF 플라즈마를 측정할 때에, 듀얼 랑뮤어 프루브의 두 팁 간에 서로 다른 전압-전류 파형이 나타나곤 한다. 이러한 두 팁간의 전압-전류 파형의 차이는 두 팁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발생 하기도 하지만, 위에서 밝힌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듀얼 랑뮤어 프루브에 의한 I-V 파형은 이론 상 원점을 대칭으로 한 기함수의 형태이어야 하는데, 실제 측정 결과를 보면 이러한 대칭 형태의 모양을 보기 힘들다. 우리는 이에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위상이 180도 차이가 나는 두 개의 삼각파 발생 전원을 각각 듀얼 랑뮤어 프루브의 양 팁에 인가하여 두 팁 간의 내부 저항과 기생 임피던스 등을 일치시킨 프루브를 디자인하였으며 이 프루브를 이용한 실험에서, 비교적 완벽하게 원점에 대하여 대칭하는 I-V 커브를 구할 수 있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회로와 이 회로로 이루어진 듀얼 랑뮤어 프루브를 사용하여 플라즈마를 진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