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위 요골 골절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1초

요골 간부 골절 치료 후 지연 발견된 원위 척골의 전방 탈구 (Delayed Diagnosis of Volar Dislocation of the Distal Ulna after Treatment of the Radial Shaft Fracture)

  • 전숙하;이상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27-432
    • /
    • 2021
  • 원위 요척 관절의 전방 탈구 치료가 지연된 경우에는 수근부 통증과 전완의 회전 운동의 제한이 동반되어 결국 구제술이 필요한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24세 남자가 요골 간부 골절 수술 후 통증과 회전 운동 제한으로 내원하였다. 금속판으로 고정된 요골의 간부에서 7도의 전방 각형성이 관찰되었으며 척골 두가 전방으로 탈구되어 회외전에서 결손부가 요골의 S자 절흔 전방 경계에 걸려 탈구가 지속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부정 유합된 요골의 교정의 절골술과 척골 두 골결손 근위부의 골을 원위 결손 부위로 이동시키는 절골술을 시행하여 원위 요척 관절이 전완의 회전에 안정적으로 정복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수술 후 19개월에 전완 회전 운동 범위와 통증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원위 요골 골절의 수장측 금속판 고정술 후 발생한 신전건 활막염에 대한 초음파를 이용한 진단: 증례 보고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Extensor Tenosynovitis Caused by Dorsal Screw Prominence after Volar Plate Fix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 Case Report)

  • 임태강;김상열;강홍제;하대호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0-64
    • /
    • 2013
  •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수장부 금속판 고정술이 많이 사용되면서, 합병증으로서, 원위 요골 배측 피질골을 관통한 나사못으로 인해 신전건 활막염이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슴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나사못에 의한 배측 피질골의 관통여부를 표준 방사선 촬영만으로 정확히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저자들은 수장측 금속판 고정술 후 발생한 신전건 건활막염 및 부분 파열이 의심된 환자에 대하여 수술 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나사못에 의한 건활막염 및 활막 종괴 형성 소견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요골 원위부 골절 후 발생한 급성 장무지 신전건 파열 -1예 보고- (Acute Rupture of Extensor Pollicis Longus Tendon after Distal Radius Fracture: A Case Report)

  • 황정철;정덕환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4-27
    • /
    • 2011
  • 원위부 요골 골절의 합병증 중 하나인 장무지 신전건 파열은 지연성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요골 골절과 동시에 발생하는 급성 장무지 신전건 파열은 매우 드문 경우로, 저자들은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 보고 하고자 한다.

  • PDF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한국형 이중 연골하지지고정 전방 금속판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reating Unstable Distal Radial Fractures with a Domestically Developed Volar Locking Plate That Has the Characteristic of Double-Tiered Subchondral Support)

  • 이철형;정덕희;안충한;정의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495-502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요골 원위부 골절에 대해 국내에서 이중 연골하 지지고정 개념으로 개발된 전방 잠김 금속판의 수술 후 정복 유지 효과 및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7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요골 원위부 골절 환자 중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5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시 촬영한 단순방사선 사진을 이용해 요골 길이, 요골경사, 수장측 경사, 척골 변위, 원위 배측 피질 거리(distal dorsal cortical distance)를 측정하여 골절 정복 유지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환자 나이, 골절 분류, 금속판 위치를 기준으로 전체 환자군을 세부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각 요인이 골절 정복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원위 배측 피질 거리는 평균 5.91 mm (표준 편차, ±1.95 mm)로 측정되었으며 요골 길이(p=0.038), 척골 변위(p=0.001)는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시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전체 환자군을 각 요인에 따라 세부 그룹으로 나누어 평가했을 시 척골 변위는 나이가 65세 이상이거나 AO/OTA 분류 C3형에 해당하는 경우 혹은 금속판 위치가 Soong classification grade 0에 해당하는 경우 수술 직후에 비해 최종 추시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7, p=0.012, p=0.046). 결론: 국내에서 이중 연골하 지지고정 개념으로 생산된 전방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요골 원위부 골절 정복술을 시행하는 경우 충분한 정복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골절 정복 유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나, 환자가 고령인 경우, 관절 내 골절의 분쇄 정도가 심한 경우, 금속판이 분수령선의 근위부에 위치한 경우에 척골 변위의 증가를 보여 요골 월상골와의 정복 유지를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요골 두 및 경부 골절의 경피적 도수 정복술 (Percutaneous Mini-open Reduction for Mason II or III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

  • 이정길;고일현;김형식;최윤락;김성재;강호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30-236
    • /
    • 2010
  • 목적: Mason 분류 제 2형 및 일부의 3형 요골 두 및 경부 골절에 대하여 제한적 피부절개 및 경피적 도수 정복술 시행 후 기능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7년 2월까지 Mason 분류 제 2형 또는 3형의 요골 두 및 경부 골절로 경피적 도수 정복술을 시행받은 13명의 환자 (요골 경부 골절: 9예, 요골 두 및 경부골절: 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29세 (11세~59세)였고 남자는 8명, 여자는 5명 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년 6개월 (12개월~2년 9개월)이었다. 요골 두 및 경부의 도수 정복술은 방사선 투시기를 사용하여 골절부위를 확인 후, 골절부위 2~3 cm 원위부에서 1 cm 정도의 피부절개 후 경막 거상기를 이용하여 압박이나 감입 (impacted)형태의 요골 경부골절 및 두부의 부분 함몰된 관절면 골편의 정복을 시행하였다. 정복 후 불안정한 3예에 대해 1예에서 골절부의 경피적 핀고정술을 시행하였고, 2예에서 근위 요척골 간에 경피적 횡 핀고정을 추가 하였으며, 나머지 10예에서는 석고 부목 고정술만 시행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상 전 예에서 골유합이 관찰되었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6.2주였다. 요골두의 각형성은 수술 전 평균 33.2도 (30도~42도)에서 수술 후 평균 7.8도 (4도~15도)로 감소하였다. 수술 직후에서 최종 추시시까지의 각변형은 0.7도 (-1도~2도) 였다. 수술 후 주관절의 운동 범위는 굴곡 평균 133.1도 (120도~140도), 신전 평균 7.3도 (0도~25도), 회내전은 80도(72도~90도), 회외전은 84.3도 (78도~90도)였다. Mayo Elbow Performance Index는 평균 96.2점 (80점~100점),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elbow score는 평균 97점 (83점~100점),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는 평균 1.2점 (0점~5.8점) 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합병증으로 각각 한 예에서 일시적인 후골간 요골 신경 마비 증상과 경도의 주관절 외반 변형이 발생하였다. 결론: 경피적 도수 정복술은 관절내 독립적인 감입이 없는 Mason 분류 제 2형 및 일부의 3형 요골 두 골절 및 경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간단하고 합병증 발생이 적으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중의 한가지로 생각된다.

개에서 골절의 지연유합에 대한 rhBMP-2의 임상적 적용 2례 (Clinical Application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for Delayed Fractures in Dogs)

  • 김재경;김세은;고아라;김승현;심경미;배춘식;최석화;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12-415
    • /
    • 2012
  • 1년령의 중성화된 수컷 요크셔테리어와 7년령의 암컷 푸들이 골절의 지연유합으로 내원하였다. 요크셔테리어의 경우 오른쪽 요골과 척골의 원위부가 골절되었고, 푸들의 경우 왼쪽 경골과 비골의 원위부가 골절되었다. 두 환자에서 신체검사 및 방사선검사를 통해 골절의 유합이 지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골절부는 금속판 및 나사못으로 고정시키고 자가해면질골을 골절 틈새에 이식하였다. 또한 빠른 골유합을 위해 $20{\mu}g$의 rh-BMP 2 가 포함된 matrigel을 골절부에 주입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검사를 통해 골절부의 치유 상태를 확인하였다. 장기간의 방사선검사에서 두 마리 모두 빠른 골유합을 보였다. 첫 증례에서는 방사선사진상에서 2주째에 요골과 척골 골절 틈새에 골밀도가 증가하였다. 20주째에는 골절선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상 외관을 회복하였다. 두 번째 증례에서는 방사선사진상에서 11주째에 골절 치유가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두 증례 모두 예상한 것보다 골절의 치유가 빠르게 일어났다. 따라서 rh-BMP 2와 matrigel은 지연유합된 골절의 치유를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한방 재활치료 프로토콜 적용의 임상적 효과: 증례 보고 (The Clinical Effect of Rehabilitation Protocol for Distal Radius Fracture in Korean Medicine: A Report of 3 Cases)

  • 하원배;금지혜;고낙용;이정한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97-106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rehabilitation protocol for distal radius fracture in Korean Medicine and to report its effectiveness. Three patients who had undergone distal radius fracture were treated using the rehabilitation protocol in Korean Medicine. We estimated the outcome evaluating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of the wrist joint, numeric rating scale and quick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fter the treatment, we observed that wrist movement, numeric rating scale and quick DASH score were improved. A rehabilitation in Korean Medicin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distal radius fracture patien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e insufficient number of cas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sign a rehabilitation protocol in Korean Medicine.

교통사고로 발생한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한방복합 입원치료로 호전된 증례 보고 (The Clinical Effect of Complex Korean Medical Admission Treatment in Patients with Fractures of Distal Radius by Traffic Accident: 2 Cases Series Report)

  • 최규철;이지원;배지은;김동진;홍정수;경다현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7-193
    • /
    • 2021
  • Objectives To report two patients with distal raidus fracture after a traffic accident improved by the complex of Korean medical admission treatment.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April 2019 to October 2019. We surveyed the validity of the treatment with the range of motion (ROM), the European quality of life-5 dimension (EQ5D) and a numerical rating scale (NRS) at admission, two weeks, and discharge date of hospitalization. Results At the end of treatment, both patients had increased ROM, EQ5D and reduced NRS scores. Conclusions After the Korean medicine admission treatment, two patients showed to have been effective.

리듬게이머에서 발생한 자발적 장무지신전건파열: 증례보고 (Spontaneous Rupture of the Extensor Pollicis Longus Tendon in a Rhythm Gamer: A Case Report)

  • 양석원;윤성현;김성현;권순민;김종필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4권1호
    • /
    • pp.63-67
    • /
    • 2019
  • 장무지신전건의 자연파열은 주로 요골 원위부의 리스터 결절(Lister's tubercle) 부위에 발생한 골절, 스테로이드 주사, 그리고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병변에 의해서 제 3 신전 구획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반복적으로 손목관절의 운동을 이용하여 드럼 연주를 하는 리듬게임 후 발생한 장무지신전건의 자연파열 1예를 경험하였고, 본 증례와 같이 반복적이고 과도한 손목관절의 운동에 의해서도 장무지신전건이 파열될 수 있음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