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위 쇄골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16초

완전 거치형 정맥도관의 완전 절단 (Complete Fracture of Totally Implantable Venous Catheter)

  • 김정태;장운하;오태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2호
    • /
    • pp.946-948
    • /
    • 2006
  • 42세 여자 환자로 유방암으로 인한 항암치료를 위해 왼쪽 쇄골하정맥으로 완전 거치형 정맥도관(totally implantable venous catheter)을 삽입하였다. 삽입 직후 단순 흉부 방사선 사진상 도관에는 특이 소견이 없었다. 환자는 3개월 후 4번째 항암치료를 위해 입원하였으나 도관을 통해 피가 역류되지도 않고 주입되지도 않았다. 단순 흉부 방사선 사진상 도관이 쇄골 밑을 지나는 부위에서 완전 절단되어 있었다. 경피적 방법으로 도관의 원위부위를 성공적으로 제거한 후 환자는 퇴원하였다.

견봉쇄골탈구와 원위쇄골골절에서 소절개를 이용한 Wolter금속판 내고정술 (Minimal incision Wolter Plate Fixation on the Displaced Lateral End Fracture of the Clavicle and the Acromioclayicular Dislocation)

  • 고상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5권1호
    • /
    • pp.23-28
    • /
    • 2002
  • Purpose Displaced lateral end fracture of clavicle and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type Ⅲ∼Ⅵ may be required surgical treatment. Material and Methods : From May 1998 to March 2001, we operated with Welter plate with minimal incision by one surgeon. Immediately, pendulum and passive exercise was initiated after surgery. The shoulder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UCLA score. Average follow up was on 28(12∼45) months. Results : All 11 patients were regained satisfactory function. Average UCLA score was 31.9(29~35) at last follow up. Conclusion . The merit of Welter plate fixation with minimal incision is simple technique, reduced surgical time, smaller scar than large plate, strong fixation, early exercise, reduced implant failure. The disadvantage is expensive, skin irritatatation by long hook. But Welter plate fixation with minimal incision is a good method of internal fixation and excellent clinical result in surgical treatment of type H displaced lateral end fracture of the clavicle and type Ⅲ∼Ⅵ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서 Hook 금속판을 이용한 전향적 연구 (Hook Plate Fixation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A Prospective Study)

  • 김경천;신현대;차수민;전유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6-12
    • /
    • 2011
  • 목적: 불안정 원위 골절에 대해 전향적으로 잠김 압박 Hook 금속판을 사용하여 최소 2년의 추시를 통해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전향적으로 Hook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받은 20예 중 17예를 추시하였다. 술 후 2주, 6주, 3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에 방사선학적 추시를 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술 후 12개월, 24개월에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골 유합기간은 14.5주, 금속판 제거 시기는 20.2주였다. 1년 및 2년 추시상 평균 VAS 통증 점수는 0.7, 0.8, UCLA 점수는 33.5, 33.3, ASES 점수는 92.8, 92.5, Constant-Murley 점수는 81.5, 77.0, KSS 점수는 92.5, 94.3, 견관절 운동 범위는 굴곡 $173.3^{\circ}$, $173.7^{\circ}$, 외회전 $56.0^{\circ}$, $54.5^{\circ}$ 내회전 $62.3^{\circ}$, $63.5^{\circ}$, 외전 $172.0^{\circ}$, $172.6^{\circ}$, 신전 $43.3^{\circ}$, $42.9^{\circ}$였다. 임상적 결과 및 관절 운동 범위 모두 1년 및 2년 추시상 통계학적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p>0.05). 1예의 지연 유합 이외에는 다른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Hook 금속판을 이용하여 내고정 후 2년 추시 상 우수한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대동맥궁에서 기시하는 양측 추골동맥의 이상기시: 증례 보고 (Anomalous Origins of the Bilateral Vertebral Arteries Arising from the Aortic Arch: A Case Report)

  • 박창현;이병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743-748
    • /
    • 2021
  • 추골동맥의 기시부 변이의 다양성은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양측 추골동맥이 직접 대동맥궁으로부터 기시하는 변이는 매우 드물다. 이번 증례는 갑작스럽게 발생한 우측 편마비를 주소로 내원한 60세의 남자 환자에서 우연히 발견된 드문 양측 추골동맥 기시부의 변이를 보여준다. CT 혈관조영술에서 우측 추골동맥은 대동맥궁의 좌측 쇄골하정맥의 원위부에서 기시하였고, 좌측 추골동맥은 대동맥궁의 좌측 총경동맥과 쇄골하정맥의 사이에서 기시하였다. 이 변이와 연관이 있을 수 있는 발생학적인 기전도 고찰하였다. 추골동맥 기시부의 드문 변이의 가능성은 추골동맥이 일반적인 위치에서 보이지 않을 때 고려되어야 한다. 이 변이를 이해하는 것은 혈관 내 치료나 수술 중에 예기치 않은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중요하다.

원위 쇄골 골절 2a 형에서의 경피적 환상 강선 고정술 -1례 보고- (Percutaneus Cerclage Wiring in Distal Clavicle Fracture Type 2a - One Case Report -)

  • 김재화;이순철;조덕연;윤형구;이윤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124-129
    • /
    • 2006
  • Distal clavicular fracture frequently requires operative treatment due to high rate of non-union. The operative technique includes the tension band wiring, K- wire fixation, and cerclage wiring etc. Each method has disadvantages somewhat like pin migration or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and so on. For the distal clavicular fracture type 2a, because of its oblique fracture line, the cerclage wiring is suitable. We performed the cerclage wiring percutaneously under minimal incision without injury to periosteum for the patient who had the distal clavicular fracture type 2a, and the result was favorable.

궁부문합 선행법에 의한 대동맥 전궁치환술의 단기 임상 성적 (The Short Term Results of the Total Aortic Arch Replacement with Arch First Technique)

  • 우종수;김시호;방정희;이길수;최필조;조광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1호
    • /
    • pp.903-910
    • /
    • 2004
  • 배경: 대동맥궁부치환술은 경우에 따라 필요한 수기이지만 사망률이 높은 어려운 수술 중 하나이다. 쇄골하동맥관류를 통한 저체온 순환정지하에 궁부문합선행법이 안전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어 이에 대한 단기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급성대동맥 박리증 11명, 만성박리성대동맥궁류 3명, 및 동맥경화성 대동맥궁류 4명을 궁부문합선행법에 의한 전궁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이들의 성비는 남자 10명, 여자 8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9.3$\pm$12.9세이었다. 결과L 평균 입원일은 20.2$\pm$7.4일이었고 저심박출증으로 조기사망이 한 명, 수술과 무관한 뇌출혈로 술 후 24일째 한 명이 사망하였다. 나머지는 평균 180$\pm$156.3일째 특별한 문제없이 외래 경과 추적 중이다. 결론: 쇄골하동맥관류법에 의한 궁부치환선행법은 대동맥궁치환에 우수한 방법으로 수술 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이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궁부와 원위하행대동맥 병변을 확실하게 교정하여 이차 수술로 인한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불안정한 Neer II형 원위쇄골 골절의 치료에서 Hook 금속판의 이용 (The Use of Hook Plate on the Management of Unstable Neer II Lateral End Fracture of The Clavicle)

  • 고상훈;조성도;박문수;류석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2호
    • /
    • pp.131-137
    • /
    • 2003
  • Purpose: Unstable Neer type II lateral end fracture of clavicle may be required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Hook plate in the management of unstable Neer type II fractures. We preliminary reported the results of Unstable Neer type II lateral end fracture of clavicle using by Hook plate. Material and Methods: From May 1998 to May 2002, we operated 6 cases unstable Neer type II lateral end fracture of clavicle with Hook plate by one surgeon. We checked radiologic evaluation and disappearance of pain per 1 week, and evaluated improvement of range of motion per 2 week. And we followed up at each interval 3 months,6 months, 12 months and after that per 6months interval, at that each time we checked stress radiogram of shoulder and functional evaluation. The shoulder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Modified Shoulder Rating Scale (MSRC) for Distal Clavicle Fracture and UCLA score. Average follow up was on 37.2 (12∼57) months. Results: All 6 patients were regained satisfactory function. Average MSRC for distal clavicle fracture was 17.3 (15∼20) and average UCLA score was 33.2 (31∼35) at last follow up. Conclusion: There are many advantage of the use of Hook plate on management of unstable Neer II distal clavicle fracture in spite of several disadvantage. There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our country. So we obtained good to excellent clinical result in surgical treatment of 6 cases on type II displaced lateral end fracture of the clavicle. But we think that more cases will be review and longer follow up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흉쇄관절에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The Surgical Treatment of Pyogenic and Tubercular Infection in the Sternoclavicular Joint - Case Report -)

  • 김영율;권종범;이연수;김상일;지종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99-105
    • /
    • 2010
  • 목적: 흉쇄관절에는 드물게 발생하는 화농성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에서 조기에 흉쇄 관절의 완전한 절제와 철저한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여 그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에서 2008년 9월까지 본원에서 흉쇄관절에서 발생한 2예의 화농성 관절염과 1예의 결핵성 관절염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 세 예를 대상으로 진단 및 그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1년 이상 추시한 단순 방사선 소견 및 혈액 검사상 염증의 소견은 호전되었으며, MRI소견상 원위 쇄골단과 흉골에 골부종과 함께 흉쇄 관절에 경도의 활액막염이나 액체 저류 소견 등이 관찰되었으나, 임상 증상은 호전되었으며 1년 이상 추시하여 더 이상의 재발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흉쇄관절에서 화농성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은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진단 시 이미 흉쇄관절 주위의 골로 파급되어 골수염의 소견이 관찰되므로 조기에 흉쇄 관절의 골수염에 대한 완전한 변연 절제술과 철저한 소파술을 조기에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불완전 절제된 위암의 방사선 치료 (Radiotherapy in Incompletely Resected Gastric Cancers)

  • 김종훈;최은경;조정길;김병식;오성태;김동관;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17-25
    • /
    • 1998
  • 목적 : 위암치료에 있어 완전절제수술후 임상적 국소재발이 $30-4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의 시행은 아직 그 역할이 분명치 않다. 반면 완전절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위암에서는 원발병소 부위의 국소발소 위험성이 매우 높아 추가적인 국소치료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 등은 불완전 절제된 위암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국소재발을 줄일 수 있는지, 또한 생존율향상을 얻을 수 있는지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7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에서 위암 진단하에 근치적 절제수술을 시행하였으나 불완전 절제된 25명의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전체 25명의 환자 중 선세포암이 23명, 평활근육종이 2명이었고, 수술은 위전절제수술(Total gastrectomy) 5명, 위부분절제술(Subtotal gastrectomy) 20명이었다. 병기별로는 I B 1명, II 2명, III A 11명, III B 10명, IV 1댕이었으며 불완전 절제부위는 원위절제면(dlstal resection margin) 17명, 근위절제면(proxlmal resection margin) 5명, 간 절제면 1명 및 기타 장기 절제면 2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총 6회의 FP 항암화학요법중 회차와 동시에 시작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조사선량은 44.6Gy-59.4Gy 범위였고 중앙선량은 55.8Gy였다. 결과 : 1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가 정해진 양의 방사선 치료를 마칠 수 있었으며, 3명의 환자에서 $15\%$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고 중증도 3 이상의 혈액학적 독성은 5명에서 관찰되었다. 최소 추적관찰기간은 12개월이었다. 전체 25명중 12명에서 재발이 있었으며 조사야내 국소재발은 7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은 문합부위재발 3명, 인접조직 3명, 임파절 1명이었다. 반면 원격전이는 10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은 복막전이 6명, 간 전이 2명, 쇄골상임파절 및 대동맥 임파절등 원위임파절 전이가 3명이었다. 환자의 현 상태는 무병생존 11명, 위암과 관련 없는 사망 2명, 위암으로 인한 사망 10명, 재발상태의 생존 2명 등이다. 4년 무병생존율과 질병관련생존율(disease specific survival)은 각각 $48\%$$40\%$였으며 중앙생존값은 35개월, 중앙무병생존값은 26개월이었다. 원발병소 위치, T-stage, N-stage, Stage, 방사선량 등은 생존율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 수술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은 큰 부작용 없이 시행되었으며 치료후 실패양상은 원격전이가 가장 많았고 국소재발은 7명($28\%$)에서 발생하여 문헌상 관찰된 완전절제수술후 국소재발수치과 비슷하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관찰 기간이 짧고 환자 수가 적어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불완전 절제수술 후 원발병소 부위에 잔류암세포가 존재하는 상태인 점을 고려할 때, 불완전 절제된 위암에서 방사선치료가 국소재발을 억제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