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예식물

검색결과 779건 처리시간 0.025초

Several Cultivation Conditions for Effective Seedlings of Amsonia ellipotica (Thumb.) Roem. & Schult. (정향풀의 효과적인 육묘를 위한 몇 가지 재배조건)

  • Lee, Sang In;Yeon, Soo Ho;Jeong, Mi Jin;Cho, Ju Seong;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6-36
    • /
    • 2019
  • 정향풀[Amsonia ellipotica (Thumb.) Roem. & Schult.]은 5월에 백색의 취산꽃차례로 개화하여 관상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나, 전국에 자생지가 10곳 미만이며 한국적색목록에 위기종(EN)으로 평가되어 체계적인 번식 및 재배법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유전자원보전 및 신 관상소재로 개발 가능한 정향풀의 효과적인 육묘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는 유용식물증식센터에서 분양받은 종자를 사용하였으며, 파종용기(72, 105 및 128구 트레이), 파종립수(셀 당 1, 2 및 4립), 토양종류(원예상토 단용 및 중화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3:1 또는 4:1로 혼용), Hyponex[미분(6.5-6-19)] 추비농도(0, 250, 500 및 $1000mg{\cdot}L^{-1}$) 및 차광정도(0, 55 및 75%)를 달리하여 2019년 4월 20일부터 8주 동안 육묘하였다. 연구의 공통사항으로 종자를 $500mg{\cdot}L^{-1}$ $GA_3$에24시간 침지한 다음 원예상토를 충진한 105구 트레이에 셀 당 1립씩 파종하였으며, 이후 2, 4주차에 $500mg{\cdot}L^{-1}$ Hyponex를 엽면시비하였다. 연구의 결과, 파종용기는 셀 당 용적량이 많을수록 초장, 경직경, 엽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파종립수에 따른 생육은 1립 파종 시 가장 우수하였으나, 2립 파종한 묘의 개체 당 생체중이 비교적 양호함에 따라 트레이 상 풍성한 볼륨감을 나타내었다. 추비처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묘의 생육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1000mg{\cdot}L^{-1}$ 처리구에서 초장, 경직경, 엽수 및 생체중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편 차광처리 시 차광정도에 관계없이 경직경, 엽수, 마디수 및 지상부 생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정향풀은 용적량이 큰 72구 트레이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셀 당 2립씩 파종하여 차광하지 않은 양지에서 Hyponex $1000mg{\cdot}L^{-1}$로 추비하는 것이 관상목적으로 육묘하기 위한 효과적인 재배법으로 판단된다.

  • PDF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Mass Propagation of Onoclea sensibilis var. interrupta Maxim. (야산고비의 대량증식을 위한 적정 배양조건)

  • Park, Kyungtae;Jang, Bo Kook;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56
    • /
    • 2019
  • 본 연구는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되는 국내 자생식물인 야산고비(Onoclea sensibilis var. interrupta Maxim.)를 기내에서 대량증식하기 위한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무가온 온실에서 수집한 포자를 기내에서 발아시켜 전엽체를 획득하였으며, 계대배양하며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전엽체의 대량증식을 위해 전엽체 0.3g을 메스로 균일하게 다진 후 증류수 1ml와 함께 배지에 고루 펼쳐서 배양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증식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4, 1/2, 1, 2배로 조절한 MS배지를 조성하여 8주간 배양하였다. 이후, 증식이 우수한 배지를 선정하여 sucrose와 질소급원의 농도를 조절하였으며, 활성탄을 첨가하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배지종류 실험의 결과, 생체중이 1MS에서 10.2g으로 초기 접종량에 비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에서도 정상적인 전엽체의 형태인 심장형으로 발달하였다. 증식이 우수하였던 1MS배지에 sucrose의 농도를 조절하여 배양한 결과에서는 1%의 처리구에서 가장 증식률이 좋았으며, 질소급원의 경우 30mM의 농도로 조절한 처리구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배지 내 활성탄의 첨가는 처리구당 증가된 전엽체의 생체중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포자체 대량 형성을 위한 적정 배양토의 혼합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의 혼합비율을 5종류로 달리하여 조성하여 사각분($7.5{\times}7.5{\times}7.5cm$)에 충진하였다. 조성한 배양토에 기내에서 배양한 전엽체 1g을 증류수와 함께 블렌더를 이용하여 10초간 분쇄하여 토양표면에 고루 분주하였다. 이후 12주간 재배한 결과, 모든 토양조합에서 포자체가 형성되었다. 그중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합한 토양에서 포트 당 405.0개로 가장 많은 포자체가 형성되었으며, 전체적인 생육 또한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야산 고비의 전엽체 대량증식에 적합한 배지는 경제성과 생육수준을 고려하여 1%의 sucrose와 질소급원의 농도를 30mM로 조절한 1MS 배지가 적합하며, 포자체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원예상토, 마사토를 2:1(v:v)로 혼합한 토양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in Vitro Shoot Regeneration from Leaves of Cassava (Manihot esculenta Crantz)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and Callus Induction (카사바 잎 절편 유래 체세포배 배양시 배지조성이 기내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 Young Hee Kwon;Joung Kwan Lee;Hee Kyu Kim;Kyung Ok Kim;Ju Hyoung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9
    • /
    • 2020
  • The Cassava(Manihot esculenta Crantz) is a tropical root crop, originally from Amazonia, that provides the staple food of an estimated 800 million people worldwide. It belongs to the family Euphorbiaceae which also includes rubber (Hevea brasiliensis) and castor bean (Ricinus communis). Among tropical crops, rice, sugarcane, maize and cassava are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calories for human consumption. Problems in the propagation of cassava are virus diseases and low rates of seed germination. So we tried to optimize protocols for mass production of somatic embryo amenable to large-scale vegetative propagation of Cassava. After in vitro eight-week culture of leaves of Cassava, the medium which contained the 2,4-D, BAP and IBA showed the highest callus induction rate, embryogenesis callus formation rate and somatic embryo formation in Cassava culture. In the medium with GA3 and myo-inositol, shoots were most vigorously regenerated from somatic embryos of Cassava. Our experiments confirmed that in vitro growth and multiplication of plantlets could depend on its reaction to the different medium composition, and this micropropagation techniques could be a useful system for healthy and vigorous plant production.

  • PDF

Coloring Quality of Prunus mume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 Plant Genetic Resource of ex situ Conservation in Yesan - (매실나무와 살구나무 열매의 착색 특성 - 예산지역 이식의 현지외보전 식물자원 -)

  • Kang, Hee Kyoung;Yi, Ja Yeon;Kang, Hye Rin;Oh, Chan Sik;Song, Hong S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48
    • /
    • 2019
  • 본 연구는 대한민국 매실나무 (207점)와 살구나무 (7점) 열매의 특성평가를 위하여 개체별 과피 및 과육의 착색정도를 조사하였다. 매실나무 열매의 착색상태는 아주 약함이 65점 (31.4%)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약함 (57점, 27.5%), 아주 짙음 (56점, 27.1%), 중간 (19점, 9.2%), 짙음 (10점, 4.8%)이었다. 살구나무 열매의 착색상태는 아주 짙음이 3점(42.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아주 약함 (2점, 28.6%), 약함과 짙음 (각각 1점, 14.3%)이었다. 매실나무 열매의 착색부위는 적음이 105점 (50.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간 (65점, 31.4%), 아주 적음(32점, 15.5%), 많음 (5점, 2.4%)이었다. 살구나무 열매의 착색부위는 아주 많음이 5점 (71.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간 및 많음 (각각 1점, 14.3%)이었다. 매실나무 과육의 빛깔은 백록색이 103점 (49.8%)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연등색 (77점, 37.2%), 등색 (25점, 12.0%), 유백색 및 암등색 (각각 1점, 0.5%)이었다. 살구나무 과육의 빛깔은 등색이 4점 (57.1%)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연등색 (2점, 28.6%), 백록색 (1점, 14.3%)이었다.

  • PDF

Survey of Major Leaf Disease Occurred on Apple Tree in Korea from 1992-2010 (1992-2010년도 사과나무 잎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 발생조사)

  • Cheon, Wonsu;Do, Yun-Su;Lee, Sun-Young;Choi, Kyung-Hee;Nam, Jong-Chul;Kim, Se Jin;Lee, Dong-Hyuk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제24권4호
    • /
    • pp.249-256
    • /
    • 2018
  • Disease occurrence in apple cultivars on 13-30 apple orchards from April to October 1992-2010 was investigated at 30 days intervals in Gyeongbuk, Gyeongnam and Jeonbuk provinces of Korea. Apple cultivar 'Fuji' was found most susceptible and is being damaged by cedar apple rust, scab, gray mold, Alternaria blotch and Marssonia blotch as major leaf diseases that were observed. The percentage of occurrence of these leaf diseases varies from every year. This variation is based on different rainfall and temperature conditions, cultivation, root stock and changed system of fungicide spray during the particular year and season.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Berry-related Traits in Grape Seedlings (포도의 교배집단을 이용한 과립 형질에 대한 유전체 전장 연관 분석)

  • Ryu, Hyang Hwa;Hur, Youn Young;Im, Dong Jun;Kim, Su Jin;Park, Seo-Jun;Lee, Dong hoon;Choi, Kyeong O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19
    • /
    • 2019
  • 유전체 전장 연관분석 (GWAS)은 단일염기다형성(SNP)의 유전자형과 표현형 간의 통계적인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품종 선발용 SNP Marker 개발에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no Red와 Ruby seedless 교배실생 278 계통을 대상으로 여러 과실 특성에 따른 관련 SNP를 동정함으로써 육종 선발에 필요한 DNA marker 개발에 필요한 기초 유전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한 계통 당 5~10개의 포도알을 선택하여 과립중, 과육탄성, 과피탄성, 과육경도, 과피경도, 과립당 종자갯수, 과립당 종자무게 및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개체는 Genotyping by sequencing (GBS) 방법으로 Sequencing하여 Reference genome (Vitis vinifera PN40024 12X v2.)과 mapping 하였다. MAF (Minor allele frequency) >5%, Missing Data <30% 의 조건을 가진 SNPs 만 1차 선발하여 TASSEL과 GAPIT 프로그램으로 GWAS 분석을 하였다. Manhattan plot 결과 과립중 형질에서는 33개, 과립당 종자무게 25개와 인장강도에서는 20개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SNPs 가 선발되었고, 특이적으로 이들 모두 18번 염색체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형질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SNPs를 선발하지 못하였다. 과실의 인장강도는 수확 후 저장성과 유통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Marker 개발을 통한 품종선별이 중요하다. 향후 이러한 특성과 본 연구를 통해 동정된 SNPs 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Marker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The Change Analysis of Plant Diversity in Protected Horticulture of Agricultural Ecosystems (시설원예단지 조성이 농업생태계의 식생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Son, Jin-Kwan;Kong, Min-Jae;Kang, Dong-Hyeon;Park, Min-Jung;Yun, Sung-Wook;Lee, Si-Yo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173-182
    • /
    • 2016
  • Although the ecosystem extends numerous functions for the benefit of humankind, construction of horticultural facilities can potentially lead to the degeneration of some of these functions owing to the expansion of impervious regions and loss of habitats.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nstruction of horticultural facilities on plant biodiversity. Analysis of the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showed that horticultural facilities had significantly lower plant diversity than did rice paddies. Hence, the proposed approach involved low-impact development, arrangement of habitat space, plant preservation, restricted use of chemical fertilizer, habitat creation, and reduced preservation cost. Lifestyle analysi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favorable environments for the growth of annual plants and aquatic plants. In all, 20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belonging to 10 families were identified. Furthermore, the proportion of these naturalized plants was higher in glass greenhouses and multi-span greenhouses, suggesting the advantages of employing natural soil mulching while avoiding concrete mulchi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results, which suggested that impervious regions be converted to natural soils. Coll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construction of eco-friendly and ecological horticultural facilities; this may aid the maintenance of sustainable agricultural landscapes and large-scale development of the reclaimed 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