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시 생식 세포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광주기에 따른 비단털쥐(Mammalia: Rodentia: Cricetidae) 암컷의 발정주기 변화 (Estrus Cycles of the Female Tscherskia triton (Mammalia: Rodentia: Cricetidae) according to the Photoperiod)

  • 박준호;안근재;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5권2호
    • /
    • pp.160-168
    • /
    • 2017
  • 비단털쥐 (Tscherskia triton)는 중국 북부와 한국, 극동러시아 지역 등 국한된 지역에 분포하며, 번식, 성장과 발달 및 분포에 관한 정보는 알려져 있으나 발정주기와 생식기관에 관한 번식생물학적 연구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포획된 개체를 사육하면서 광주기에 따른 암컷 비단털쥐의 생식주기 및 생식기관의 특징을 밝혀 비단털쥐의 번식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평소 사육환경(16L : 8D)에서의 비단털쥐 발정주기는 4~5일이었고, 발정 단계는 발정전기, 발정기, 발정후기, 발정휴지기의 4단계로 구분되었다. 광주기 8L : 16D 환경에서 비단털쥐의 발정주기는 6~12일째부터 발정휴지기 상태가 계속 유지되었다. 광주기에 따른 비단털쥐 생식기관의 조직도 차이를 보였다. 16L : 8D 경우에는 발달된 난소 내에 다수의 성숙 난포와 황체가 관찰되었고, 자궁내막도 두껍고 분비샘도 잘 발달되어 있었으나 8L : 16D 조건에서는 원시난포와 제2차, 3차 난모세포가 관찰되고 얇은 자궁내막과 발달되지 않는 자궁분비샘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광주기에 따른 비단털쥐의 생식주기 변화와 난소와 자궁의 조직학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비단털쥐의 번식생물학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되는 자료이기에 생물종 다양성 유지를 위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닭에서 원시생식세포의 효율적 분리 및 외래 유전자 전이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Efficient Separation of Primordial Germ Cells and Introduction of Foreign DNA in the Chicken)

  • 정동기;한재용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1999년도 제16차 정기총회및학술발표회
    • /
    • pp.11-33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mbryonic stages for the isolation of the highest number of PGCs and to improve PGCs enrichment method. The primordial germ cells(PGCs) from different sources of chick embryos were isolated. The embryonic stage having the highest number of PGCs from each sources was selected ; 1-day-old embryos for germinal crescent (stage 6-8), 2.5-day-old embryos for blood (stage 17-18) and 5.5-day-old embryos for gonad (stage 27-28). The number of PGCs from one embryonic germinal crescent, blood and gonad was about 87$\pm$1.8, 103$\pm$4.0, and 932$\pm$10.9, respectively. The viability of PGCs after Ficoll from each sources was similar, showing approximately 70%. the PGCs enrichment method was improved using Ficoll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After this step the purity of PGCs from germinal crescent, blood, and gonad was 45$\pm$9.10%, 85$\pm$1.18%, and 86$\pm$0.19%, respectively. Also, PGCs were picked up by mouth pipette to improve the purity. This improved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PGCs from different sources will serve as a useful too to preserve the foundation stocks of poultry and to produce germline chimeras.

  • PDF

생쥐 난소내 Fas 및 Fas Ligand의 발현과 세포자연사 (Apoptosis and Expression of Fas nnd Fas Lignnd Genes in Mouse Ovary)

  • 윤정미;윤현숙;양현원;김세광;조동제;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1호
    • /
    • pp.15-22
    • /
    • 2003
  • Fas는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로서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Fas mRNA는 림프조직뿐만 아니 라 비 림프조직에서도 발현한다. 한편 대다수의 난포들은 세포자연사와 연관된 기 작을 통해 난포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난포폐쇄에 관한 기작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생쥐의 난소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의 발현 여부를 알아보고, Fas와 Fas ligand발현과 난포폐쇄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RT-PCR을 수행한 결과,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mRNA가 모두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또한, 원시 난포를 제외한 모든 발달 중인 난포의 과립세포와 난자들에서 Fas와 Fas ligand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폐쇄를 보이는 난포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한편, 난소에서 세포자연사를 확인하기 위해 TUNEL 염색을 수행한 결과, TUNEL 양성을 보이는 과립세포와 난자의 수는 건강한 정상 난포에 비해 폐쇄난포에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발현과 난포폐쇄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Fas와 Fas ligand가 생쥐 난소내 난포폐쇄 유발에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메추리의 발달 중 배자 생식선에서 분리한 원시생식세포의 이동능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Migratory Ability of Primordial Germ Cells from Embryonic Gonad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in Quail)

  • D. K. Kim;G. H. Song;J. N. Kim;D. K. Jeong;K. D. Kim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76
    • /
    • 2001
  • Avian primordial germ cells (PGCs) originate from the epiblast and appear in the germinal crescent. These PGCs enter the developing blood vessels during stage 10∼12 (H&H), circulate in the blood stream, migrate into the developing gonadal anlage and differentiate into germ cells. However, it is not clear until when the migratory ability of PGC is mainta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migratory ability is present in PGCs from the gonad at later embryonic developmental stages. In the present study, gonads were dissected from 5-, 6- and 10-day old quail embryos and treated with trypsin-EDTA. Gonadal PGCs (gPGCs) were purified by Ficoll-density-gradient-centrifugation and labeled with PKH26 fluorescent dye. The PKH26-labeled gPGCs were microinjected into the blood vessel of the recipient quail embryo. Manipulated recipients were incubated for 3 days, embedded in paraffin and sdctioned. The foreign gPGCs were detected by fluorescent and confocal laser microscopy. As a result, quail gPGCs, from 10, 6 and 5 day old embryos could migrate through the recipient blood stream at early stage and settle in the gonads. Thus, results suggest that gPGCs from upto 10-day old embryos keep properties seen in circulating PGC. Therefore, the PGCs of 10-day old embryonic gonads can be used for the tools of genetic manipulation.

  • PDF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생쥐 난소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s of Mouse Ovary by X-Ray Irradiation)

  • 윤철호;최종운;윤석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140-156
    • /
    • 2007
  • 본 연구는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난소조직의 형태학적 변화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X-선을 생쥐에 전신조사한 후, BrdU, TUNEL, p53, p21, PCNA, $inhibin-{\alpha}$ 등을 면역조직화학반응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난포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X-선을 조사한 난소조직은 방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성장 난포의 형태적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특히 과립층세포의 변성에 의한 핵은 응축과 투명대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또한 Masson's trichrome 염색과 세망섬유 염색을 통한 조직화학반응의 결과 과립층세포의 변화와 난포기저막의 변형, 그리고 세망섬유의 비정상적 배열이 확인되었다. BrdU 반응결과,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양성반응을 보이던 정상난포의 과립층세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세포예정사(apoptosis)를 확인하기 위한 TUNEL 반응에서는 정상난소의 퇴화난포에서만 양정반응을 보이던 과립층세포들이,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성장난포 및 원시난포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X-선 600 cGy 조사량에서는 난모세포의 세포예정사도 확인되었다. 세포주기 조절단백질인 p53 단백질의 난소 내 발현을 면역조직화학반응으로 관찰한 결과,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p53의 발현도 증가하였으며, X-선 600 cGy 조사된 실험군에서는 난포막세포를 포함한 난포의 거의 모든 세포에서 광범위한 발현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사분열 억제단백질인 p21 단백질의 발현은 난포의 과립층세포에서 현저하였으며,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포강 주위에서 강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생식세포의 증식을 확인하기 위한 PCNA 반응에서는 정상 대조군의 성장난포와 성숙난포 및 원시난포 등에서 모두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방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도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특히 난모세포 주위의 과립층세포가 난포막에 인접한 세포에 비해 반응도의 차이가 심한 점으로 미루어, 난모세포와 난포동에 인접한 세포들이 방사선 조사에 의해 가장 먼저 손상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난포의 $inhibin-{\alpha}$ 단백질의 발현은 난포의 성장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여, 난포동이 형성된 성숙난포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난포막 주변의 과립층세포에서 강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으나, 난포막을 구성하는 난막세포에서는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방사선 조사에 의해 $inhibin-{\alpha}$의 발현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X-선 600 cGy의 선량에서는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과립층세포의 세포사에 따른 현상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방사선 조사에 따른 난소조직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성장난포의 과립층세포에서 핵과 세포질의 미세구조 변형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난포동에서는 세포사의 부산물인 세포 잔유체들과 백혈구 및 대식세포 등이 관찰되었다. 과립층세포의 미세구조적 변형은 주로 핵의 응축에 의한 전자밀도의 증가와 핵의 분절화, 그리고 세포질의 위축 등, 전형적인 세포예정사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세포의 괴사도 일부 확인되었으나 그다지 현저하지 않았으며, apoptotic body와 함께 대식세포가 산재되어 있었다. 방사선(X-선) 조사 및 선량증가에 따라 정상 난소조직의 난포액의 불균질 물질의 생성, 난포의 기저막의 염색성출현, 세포예정사 발생, 대식세포들의 변화 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여성 자궁암을 방사선치료 시 방사선조사범위내에 포함되는 정상 난소조직에 초래 될 수 있는 방사선 생물학적 장해를 이해할 수 있다 하겠다.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의 산란행동 (Spawning Behavior of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 in Korea)

  • 박종성;윤승운;김재구;김현태;박철우;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4
    • /
    • 2021
  • 멸종위기 담수어류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산란시기인 2012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북 임실군의 섬진강 일대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래주사의 산란은 무리산란 (group spawning)하는 어류와 달리 암수 한 쌍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수중으로 대량의 생식세포를 방출하여 산란하는 원시적인 생식모드 (broadcast spawner)로 확인되었다. 자연에서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은 휴식(resting), 유혹(male chase), 자극(body beating), 평행유영(parallel swim), 암컷의 산란회피(female withdrawal), 경쟁(male competition), 산란(spawning), 산란 후 난을 보호하는 행동은 보이지 않아(not guard) 총 8가지 행동을 보인 반면 수조 내에서는 휴식, 유혹, 자극, 평행유영, 산란, 산란 후 난을 보호하지 않은 6가지 행동이 관찰되었다. 특히 산란전 행동은 수조 내에서 보다 자연상태에서 더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와 같은 행동적 차이는 작고 좁은 수조에서의 행동적 제약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체세포 융합에 의한 닭의 유전인자구명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Gene Locus by the Somatic Cell Hybridization in Chicken)

  • 정익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1989
  • 유전물질의 총합체인 염색체의 분리와 분석을 정확히 하여 유전인자의 위치를 밝히고 또한 유전자조작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명하여 닭의 능력개양을 꾀하기 위해서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백혈구 배양을 통하며 염색체를 분리하고 Giemsa banding을 통한 염색체 분석에서 1번 염색체의 경우 20층에 달하는 banding pattern을 발견할 수 있는 정확한 분석으로 1∼9번, 성염색체의 정상 banding pattern을 밝힐 수 있었고 C-banding의 결과 모든 염색체에서 유전자 작용이 없는 constitutive heterochromatin의 위치를 밝힐 수 있었다. 2. 유전자 조작 기술 중 중요한 단계인 genetic vector로서 닭의 원시생식세포(Primodial germ cell, PGC)를 이용하기 위하여 genetic marker로서 3배체의 염색체를 가친 PGC를 정상 host embryo에 이식시켜서 성장중인 host embryo의 성선에서 donor PGC의 genetic marker(3n)가 발견됨으로써 PGC를 이용한 가금의 유전자 조작이 가능함을 밝혔다.

  • PDF

기수산 2배체 재첩, Corbicula japonica(Bivalvia: Corbiculidae)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 (Spermatogenesis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ermatozoa of Brackish Water Diploid Clam, Corbicula japonica (Bivalvia: Corbiculidae))

  • 전제천;김봉석;정의영;김진희;박갑만;박성우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2호
    • /
    • pp.115-122
    • /
    • 2009
  • 기수산 2배체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의 미세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세포학적 조사 결과, 기수산 2배체인 일본재첩의 정자 길이는 약 55${\mu}m$이다. 정자 두부(길이 약 12${\mu}m$)는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약간 구부러져 있다. 정핵 길이는 7.90 ${\mu}m$, 첨체 길이는 약 2.70 ${\mu}m$이다. 정자의 핵과 첨체의 형태는 각각 긴 화살 모양과 길다란 원추 모양을 나타낸다. 본 종(체외수정, 자웅이체, 난생종)의 정자 두부는 이미 몇몇 저자들에 의해서 보고된 3배체 재첩류(체내수정, 자웅동체, 난태생종)의 정자 두부에서 나타나는, 원시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변형된 2개의 편모가 있는 정자를 가지는 담수산 3배체인 자웅동체 조개류와 달리 한 개의 편모를 갖는 정자를 본 종은 생산한다. 2배체 일본재첩은 중심체를 둘러싸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어, 짧은 중편을 가지는 다른 이매패류의 것들과 유사하다. 정자 미부 편모의 약소님은 중앙에 1쌍의 미세소관과 주변에 9쌍의 미세소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자 미부의 악소님은 9+2구조를 가지며, 횡절단된 한 개의 편모를 갖는 정자에서 특히, 체외수정 어류들에서 나타는 날개 모야으이 악소님 lateral fin들이 관찰되었다.

  • PDF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자치어의 갑상선 분화 및 갑상선호르몬의 변화 (Differentiation of Thyroid Gland and Changes of Thyroid Hormone Concentration during Early Development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정의영;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39-45
    • /
    • 2001
  • 조피볼락 갑상선 여포의 원시세포는 모체내 부화자어의 구강 아래쪽에 존재하는 때의 원형 여포 안에 존재하였다. 갑상선 여포는 구강 연골조직 아래쪽 제 1, 2,3 도입새동맥 부근에 흩어져 존재하고, 출산 직후에는 1${\sim}$3개 정도로 분화되어 있었다. 갑상선 여포의 수는 출산 직후(전장 6.3 mm)에 개체당 1.6${\pm}$0.8개였으며, 치어기로 전환하는 30일째에는 17.0${\pm}$2.1개, 50일째(전장 13.2 mm)에는 32.5${\pm}$6.9개로 그 수가 매우 많아졌다. 갑상선 여포의 직경은 출산 직후에 18.1${\pm}$0.6 ${\mu}$m였던 것이 출산후 30일째 30.5${\pm}$2.2 ${\mu}$m, 50일째 41.5${\pm}$1.7 ${\mu}$m로 그 크기가 증대되었다. 갑상선 여포세포의 높이는 출산직후 4.1${\pm}$0.2 ${\mu}$m, 20일째 5.7${\pm}$0.2 ${\mu}$m, 50일째 6.0${\pm}$0.2 ${\mu}$m로 성장하였다. 자치어의 전어체 내 갑상선호르몬을 분석한 결과, 난황을 가진 출산 직후에 호르몬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난황이 완전 흡수되는 5일째에는 그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다가, 20일${\sim}$30일에 급격히 상승하여 50일째 최고치를 나타냈다. L-thyroxine (T$_4$)에 대한 3,5,3'-triiodo-L-thyronine (T$_3$) 농도는 출산 직후를 제외하고, 전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