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단위법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stimation of Flood-Damage Curve for Evaluating Flood Damage Cost in Downstream Area of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 하류의 홍수피해액 산정을 위한 침수피해곡선 산정기법)

  • Kang, Boo-Sik;Ryu, Seung-Yeop;Kim, Seong-Joon;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27-1831
    • /
    • 2010
  • 국내의 저수지 비상대처계획수립은 저수용량 100만$m^3$이상의 중 대규모의 댐 및 저수지를 대상으로 수립되고 있다. 반면, 전국 14,208개의 시 군 구 지자체관리 저수지 가운데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30만$m^3$ 미만의 중 소규모 저수지에 대해서는 피해규모의 정량화 방안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붕괴로 인하여 하류부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산정하고, 잠재적인 피해액을 예측할 수 있는 홍수피해액 산정방법을 연구하고 인명 및 재산피해를 추정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홍수피해액 산정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에 치수경제성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원단위법(1993, 건설부, 하천시설기준), 회귀분석법(2001, 건설교통부, 치수사업 경제성분석 개선방안 연구), 다차원법(2004, 건설교통부, 치수사업 경제성분석 연구 방법) 순으로 발전되어 왔다. 원단위법과 회귀분석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차원법이 제시되었지만 사용하는 자료가 방대하고 실제 가용성이 제한적인 자료를 포함하고 있어서 적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 소규모의 농업용 저수지 붕괴로 인한 홍수범람시의 피해액산정을 위하여 기존의 원단위법과 다차원법의 장점을 취하여 침수피해추정곡선법(IDEM : Inundation Damage Estimation Method)을 적용하였다. 인명손실액, 이재민피해손실액, 건물피해액, 건물내용물 피해액, 농작물 피해액, 농경지피해액, 공공시설물 피해액으로 구분하고 현재 제공되는 통계자료와 GIS 기법을 이용하여 대상 저수지인 창리저수지의 붕괴에 따른 소규모 범람구역의 침수심별 홍수피해액을 산정 후 침수심-피해액 곡선을 작성하였다. 창리저수지의 경우 저수지 붕괴시 0.4m의 침수심부터 제내지의 침수피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으며, 침수심-피해액 곡선을 이용하여 침수심별 피해규모를 예상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저수지에 적용성을 검토하여 국내 중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붕괴에 따른 홍수피해액 산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utrient Loads from Agricultural Watersheds using Unit Loading Factor and SWAT Model (원단위법과 SWAT모형을 이용한 농업유역의 영양물질 부하량 추정)

  • Kim, Sang-Min;Park, Seung-Woo;Kang, M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0a
    • /
    • pp.83-86
    • /
    • 2003
  • To estimate the nutrient loads from an agricultural watershed, SWAT model and Unit Loading Factor method which was propos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pplied for study watershed. The observed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data were compared with estimated methods for the Balhan HP#6 study watershed having an area of $3.86km^2$. The estimated nutrient loads were found to be similar values with the observed.

  • PDF

Regression models for pollution loads consider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유역특성을 고려한 오염부하량 모의 회귀식 개발)

  • Kim, Kyeung;Kang, Moon Seong;Song, Inhong;Song, JungHun;Jun,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2-192
    • /
    • 2015
  • 현재 우리나라는 점오염원 관리로 인한 수질개선 효과가 한계에 다다르고 있으며, 비점오염원의 수계별 총 부하 기여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추가적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부하량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나 자료수가 부족하고 실측자료가 일부 존재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부족한 자료는 환경부에서 제안한 원단위법 또는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고 있으나 원단위법은 유역특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분포형 수문모형은 모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정하는 회귀식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회귀식 개발에 필요한 입력자료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 (Water Information System, WIS)에서 제공하는 수질자료,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Water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에서 제공하는 수위-유량 자료, 용인시 백암면 일대에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모니터링한 수질 및 유량자료를 이용하였다. 회귀식 도출에는 IBM SPSS Statistics 20 (SPSS, Inc, 2011)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회귀식 검토를 위해 미계측 유역을 대상으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을 모의하였으며, 결과 비교를 통해 개발된 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역에서 비점오염원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부하량 모의를 통해 유역 내 비점오염원 저감대책 마련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onpoint Removal Contribution Ratio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Loads from Sewage Treatment Area in Watershed of Nakdong River (낙동강 유역 내 하수처리구역의 비점오염원 부하량에 대한 비점저감 기여율 분석)

  • Jang, Jong Kyung;Kim, Mi Eun;Kim, Jae Moon;Jang, Young Su;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5-445
    • /
    • 2015
  • 비점오염의 특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 중이지만 수문특성과 연관성이 크다 보니 그 일관성에 대해 확실한 기법이 개발되지 않았다. 기법 개발과 효과적인 오염원 관리를 위해 SWMM 등의 모형을 활용하고 있지만 투입된 노력과 시간에 비해 그 효율성이 매우 적은 편이다. 이런 부분을 보완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비점오염량 산정방법이 아니라 낙동강유역의 도시화 특성 및 수문/기상자료와 처리장 운영자료를 활용한 차별화된 원단위법을 통해 비점 배출 부하량 산정방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배수구역 내 관거 시스템을 합류식으로 가정하였고 배수구역별 비점 발생형태는 하수처리장의 강우 유입량, 하수처리장의 우회유량(Bypass 유량), 하수처리구역의 CSO 유량 3가지로 구분 지었다. 유입 방류자료와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임계강우량을 3mm로 설정하여 3mm이상일 경우에 우회유량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고 우회유량 발생시 오염부하량 산정은 건기평균유량에 유량변동부하율을 곱하여 시간최대유량으로 전환한 후 강우 지속기간 동안만 우회유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CSO 유량은 처리구역/배수구역 면적비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한 뒤 검증된 SWMM-온천천 모형의 각 소유역별 불투수면적비와 비교하여 유사한 소유역을 각 그룹의 대표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소유역의 CSO 유량과 수문현상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강우특성에 따른 CSO 오염부하량 산정을 실시하였다. 산정결과를 바탕으로 각 하수처리장별 비점저감 기여율을 산정한 결과 대구북부 처리장에서 21.56%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줬으며 거창가조 지점에서 0.11%로 가장 낮은 효율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낙동강유역 내 위치한 하수처리장의 효율성에 대해 알 수 있으며 개선되어야 할 처리장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획일화된 방법이 아닌 차별화된 원단위법을 통한 오염부하량 산정은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있어서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imating the Demand for Industrial Water and the Pricing Policy (공업용수 수요량 추정과 가격현실화 정책 효과 분석)

  • Min, Dong-Ki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4 no.2
    • /
    • pp.475-491
    • /
    • 2005
  • This study reviews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demand for industrial water that was employed in the Water Vision 2020 and it suggests an alternative econometric method. Comparing with the data cited in the Report on Industrial Census, estimates obtained by employing the concept of demand function are more exact compared to those offered by the Water Vision 2020. The amount of industrial water in 1998 was estimated at 2.8 billion tons decreasing by 2003. By employing the concept of demand func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amount of industrial water was 2.1 billion tons in 2003 while according to the Water Vision 2020 it amounted to 3.3 billion tons in 2001. Thus, it appears that the amount of industrial water in the Water Vision 2020 has been overestimated.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industrial water demand can be controlled by means of certain pricing policies. Finally, we argue that the demand for industrial water should be estimated by taking account of economic variables such as water price and output.

  • PDF

Freight Transport Demand and Economic Benefit Analysis for Automated Freight Transport System: Focused on GILC in Busan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 도입을 위한 화물운송수요 및 사업편익분석 - 부산 국제산업물류도시를 중심으로-)

  • SHIN, Seungjin;ROH, Hong-Seung;HUR, Sung Ho;KIM, Donghyu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3 no.3
    • /
    • pp.17-34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reight transport demand and benefit for the introduction of an automated freight transport system focusing on the Global Industry and Logistics City (GILC) in Busan. In pursuit of this aim, four alternatives were calculated - using the freight volume estimating methods and included, the number of businesses, the number of employees set up, future estimated cargo volume, and switched volume from other transport modes into the GILC. Economic benefits were analyzed against social benefits and costs accordingly. The result of the freight transport demand forecast found, the cargo volume of "Alternative 2-1" to be the most advantageous, applying the number of employee unit method and proportion of employees in Gangseo-gu, Busan.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analysis of direct benefit items (reduction of transport time, traffic accidents and environmental costs), this study also considered additional benefit items (congestion costs savings, and road maintenance costs in terms of opportunity cost). It also considered advanced value for money research in guidance on rail appraisal of U.K, Federal Transport Infrastructure Plan 2003 of Germany, and RailDec of the United States. The study aims to further contribute to estimating minimum cargo transport demands and asses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introduction of new intermodal automated freight transport systems in the future.

Estimation of Pollutants Loads using Unit Load Method in Hong-Bo Watershed (원단위법을 이용한 홍보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 Kim, Sun-Joo;Lee, Suk-Ho;Heo, B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1.10a
    • /
    • pp.492-49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ion of pollutants loads using unit load method in Hong-bo watershed. In general, because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have been conducted with point source pollutant in our country, pollutants caused by precipitation have not been managed well so far. Especially the pollutants tends to concentrate in the reservoir of reclaimed land. Therefore, the reservoir of reclaimed land is need to continuous monitoring and update of an accurate data. also, It is need to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 are divide into nine sub-catchments and made an estimate of pollutants loads using unit load method in Hong-bo basin. The sample of data was during the 10 years.

  • PDF

Estimation of Pollutant Loadings from Agricultural Small Watershed Using the Unit Loading Factor and Water Quality Monitoring (수질 모니터링과 원단위법을 이용한 농업소유역의 오염부하량 추정)

  • 김상민;강문성;박승우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5 no.3
    • /
    • pp.94-102
    • /
    • 2003
  • A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were established in the Balkan-reservoir watershed, which has 29.79 $km^2$ in siz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ing from an agricultural small watershed. Soil type, land use, hydrologic soil group, population and livestock were also surveyed to make clear the pollutant sources and to calculate the pollutant loadings by the unit loading factor method which wa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rom the 5-year hydrologic monitoring results, sub-watersheds located in the upstream of the reservoirs showed higher average runoff ratio. The calculated daily pollutant loadings by the unit loading factor method from HP#2 sub-watershed in the downstream of Balkan reservoir, were much greater than observed.

Optimal Estimation of Water Use for Runoff Simulation in the Large-Scale Basin (대유역 유출모의를 위한 적정 용수량 산정)

  • Ryoo, Kyong-Sik;Hwang, Man-Ha;Yoo, Y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47-1751
    • /
    • 2007
  • 통상적인 용수량 산정방법은 원단위법과 같은 간접적인 추정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산정방법은 유역의 용수수요량 측면만을 고려하여 산정된 것이기 때문에 사실적으로 유역내에서 이용되는 용수량과는 많은 차이를 발생한다. 특히 농업용수 이용량은 증발산량과 같은 기상상황과 침투량과 같은 유역상황을 비롯하여 농업수리시설물의 공급현황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존 산정결과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유역의 실사용량을 추정하기 위해 기존의 산정방법을 보다 사실적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개선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Effects on Adoption of a Safety e-Reporting System (안전신고 제도(안전신문고) 도입에 따른 효과 분석)

  • Lee, Jun;Cho, Sangmyeong;Park, Eunmi;Lee, Sanghw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2 no.4
    • /
    • pp.27-41
    • /
    • 2019
  •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ty e-reporting system,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analysis of safety e-reporting data reported between September 2014 and July 2019, and selected items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reporting. Using these items, the effects of adopting the reporting system for the four major parking violations was analyzed, alongside an analysis of effects in terms of traffic accidents using the unit model. When we count the securement of the tax revenue through measures such as charging fines as the beneficial factor per case, the estimation of the benefit is around 62,000 KRW per case. Summing the two factors up, the total value of citizen's reports pertaining to the big four parking violations is about 275,000 KRW per case. Most of the reports made through the Safety e-Report system are about traffic and facilities. When we calculate the total annual benefit with the representative reporting value defined with traffic and facilities, the system received a total of 1,164,439 cases from 2014 to 2019, while citizens reported 52,721 cases for the big four parking violations from April to July 2019. As the value of a safety report is around the net benefit for last five years is around 27,340,000,000 KR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