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거리 교육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Remote Library Users : Needs of Library Services and Preferences (원거리 이용자들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Kim, Mi-H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3
    • /
    • pp.61-76
    • /
    • 2000
  • A study on the remote library users showed that remote users preferred online databases and internet as information resources because of easy access and easy of use. However, they have used books and journals, which are printed resources, as main information resources because online databases and internet cannot satisfy their information needs. Also, 86.7 percent of remote users consider library services as an important issue to choose a distance learning program, and remote users extremely motivated by their professors to use library so that there are needs to have partnership between distance learning programs and library services. Finally, remote users consider authority and accuracy and contents of obtained information as important issues for their information rather than design of the databases, so that library should secure more digitalized information for remote users needs.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e quality of information services for remote users, however, it is not thoroughgoing enough, and there should be successive researches in the future.

  • PDF

Understanding elderly's travel pattern based on individual trip trajectory using smart card data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통행궤적 기반 고령인구 통행유형 분류)

  • Lee, Ju-Yoon;Kang, Young-Ok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2 no.2
    • /
    • pp.153-169
    • /
    • 2022
  • With the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 span and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defining elderly population as a single group is difficult as the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individual have become different. Therefore,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individual travel type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vel type, based on individual public transportation trajectory data as known as smart card data. Among the four classified types, the long-distance low-frequency stay type and the short-range medium-frequency mobile type show external activity traffic characteristics for retirement leisure, while the long-distance high-frequency stay type and the long-distance high-frequency mobile group include regular commuting. Traffic variability and residence areas of stay were identified in terms of each classified travel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important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 transportation polic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elderly population in Seou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Databank System for Craftsman Information Processing (웹 기반 정보처리 기능사 문제은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용호;김희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80-582
    • /
    • 2003
  •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대한 교육적 대응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며,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격교육이다. 특히 인터넷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웹은 그 특성상 구성주의 학습 원리를 실현하는데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WBI(Web Based Instruction)는 웹을 매체로 활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학습자를 교육시키는 형태로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료를 제공하며,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에 기반한 교육적 활용의 한 모델로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자기 주도적 학습이론과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이론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웹 기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학습이론을 웹에 기반한 정보처리 기능사 필기시험에 적용함으로써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현장의 비효율성과 기존의 문제은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시험준비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비하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Academic Library Service for the Distance Learners (원격 수강자를 위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역할)

  • 김병주;김성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1.08a
    • /
    • pp.89-94
    • /
    • 2001
  • 통신체제 및 기술의 발달은 우리 교육에 관한 전통적인 여러 가지 인식체제를 바꾸어 놓고 있다. 앞으로 우리의 교육이 지향하는 이상향은 평생교육 및 학습사회의 실현이라고 할 때 시공간의 한계를 가진 대학교육 이수자들에게 대학도서관 원격봉사제공은 절실히 요구되는 시대적인 요망이다. 이러한 원격교육이 제대로 정착되려면 직장과 사회, 가정, 학교 등이 서로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형태로 지식 및 정보들을 서로 공유할 수 있어야하고 이러한 환경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원격도서관의 역할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규학위과정 중심대학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원거리수강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대학도서관 봉사의 현황을 조사하여 원격도서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한다.

  • PDF

A Study of Efficiency and Application to Web based on Education (Web기반 교육의 효율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이승렬;윤호군;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88-91
    • /
    • 2003
  • 웹기반 교육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학습자 스스로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며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웹 코스웨어는 원거리 학습자들의 학습 욕구를 가능케 했으며 기존의 텍스트, 사운드를 통한 단순한 콘텐츠에서 동영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멀티미디어 동영상 강의, 하이퍼텍스트로 구성된 인터넷 홈페이지 등 주문형 교육 서비스(EOD : Education On Demand)가 가능해 졌다. 이처럼 현재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웹기반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습에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으로 팽창하는 웹 코스웨어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질적인 우수성을 포함하는 콘텐츠 활용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XML-Based Web Courseware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Using Web Casting technique (웹캐스팅 기법을 이용한 XML 기반의 외국어학습 웹 코스웨어 구현)

  • 윤호군;김천호;김지연;김현기;강환수;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568-570
    • /
    • 2000
  •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이를 교육에 응용하려는 노력은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는 인터넷 이용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웹 상에서의 가상교육 및 원격교육에 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이를 실용화하려는 노력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논의되어 왔다. 따라서, 웹 코스웨어는 인터넷을 통한 원거리 학습자들에 대하여 학습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구현 및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를 이용하려면 사용자의 시스템이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정보교환을 위하여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학습자가 서버에서 갱신되는 학습정보를 받아 보려면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의 시스템이 서버로 접속이 이루어져야만 확인이 가능하였다. 본 논문은 이에 관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한 웹 캐스팅 기법으로 웹 코스웨어를 구현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CDF(Channel Definition Format) 형식을 이용하였다. 즉, 채널을 용하여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채널을 선택하면, 학습자가 원하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갱신되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웹 코스웨어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학습내용이 변화될 때다 일일이 확인을 하여야 하는 반면 본 논문에서는 갱신되어진 내용을 학습자에게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되도록 하였다.

  • PDF

Multi-Certification of Agent System Using XML (XML 전자서명을 이용한 다중인증 멀티 에이전트시스템)

  • J. Kim, Kui-Nam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5 no.1
    • /
    • pp.29-34
    • /
    • 2005
  • Internet becomes absolutely necessary tools due to rapid progr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al correspondence about an age of information demand is focused on a learner and remote education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WBI(Web Based Instruction) is a formation that remotly educate a learner using web, possible mutual re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submit various studying material, has a good point to overcome spatial restriction. Internal and external standardization working is accelerated and recently XML security studies are activated using XML which is next generation web standard document format. In this paper, we propose multi-Certification of agent system using XML digital signature to satisfy security requirement.

  • PDF

Reflection on the International Distance Learning betwee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한국과 일본 대학생들 사이의 원거리학습에 대한 연구)

  • Chang, Bok-Myu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5
    • /
    • pp.681-689
    • /
    • 2015
  •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tional distance learning betwee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is based on NWCCDL (Namseoul-Waseda Cross-Cultural Distance Learning) project in the spring semester, 2015. This project is the cross-cultural distance learning project between N University in Korea and W University in Japan,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is project is that this project is manipulat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ICT. This research consists with two parts: the first is to introduce the NWCCDL project; the participants' information, and the contents and procedure of the on-line chatting program, and BBS(Bulletin Board System) activities. The second is to review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for the project and the utilization of ICT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context. The analytic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s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this project and their reflection on the effectiveness of using ICT in English language classroom of Korea. The results prove that the most of the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NWCCDL Project in the spring semester, 2015 and the most of the students agree with the fact that the utilization of ICT is very effective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of Korea.

A basic study on mathematics telelearning system (수학과 원격 수업 체제 기초 연구)

  • Kang Wan;Chang Kyung Yoon;Lew Hee Chan;Paik Seok Yo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 no.1
    • /
    • pp.61-80
    • /
    • 1998
  • Whereas research on telelearning in educational technology area is lively done, that in mathematics education area is not. Related to the open education, telelearning has 4 models: the distance classroom model, the front-end system design, the knowledge construction model, and the teaching model based on data. S/W, C/W, and H/W are the components of telelearning system. For an effective mathematics telelearning system, H/W and S/W which use multimedia with complex multimode information such as text, graphics, animation, video, and audio are necessary. Examples of telelearning systems on going are MIPOS, SDS telelearning system, telelearning system of the Naechon Elementary School, and Doorae Multimedia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

  • PDF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WWW Information System for Human Bone Education and Virtual Building Design (인체 골격 교육과 가상 건물 설계를 위한 삼차원 WWW 정보 시스템의 개발)

  • Pyo, Junbom;Hahn, Donghoon;Park, Jihun;Park, Sungh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3 no.2
    • /
    • pp.45-53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고급 삼차원 정보 제공을 위하여 개발한 두 가지 WWW (World Wide Web) 정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하나는 인체 골격 교육 시스템으로, 서버와 브라우저로 구성하여 인체의 골격 구성을 WWW에서 삼차원화시켜 보여주고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직접 접근하고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개발 방법을 기술한다. 인체 골격의 방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버 구축의 계층적 (Hierarchical) 표현 기법을 설명하고,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기본 삼차원 관찰 기능 외에 인체 뼈를 절단하는 기능과 삼차원 한글, 한자, 영문 텍스트 저작기능을 설명한다. 다른 하나는 가상 건축 설계 시스템으로 이차원 도면 설계 프로그램과 서버로 구성하여 건물, 건축 형식의 이차원 도면을 작성하여 전송하면 서버에서 삼차원 건축물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 방법을 기술한다. 이차원 도면 설계 프로그램의 객체 지향 구현 기법과 클라이언트 (Client)와 서버 (Server) 간의 통신 및 인터페이스 (Interface) 릎 구현하여, 이차원 도변을 작성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전송 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한다. 인체 골격 교육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한 교육 및 의료 활용에 실제감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가상 건축 설계 시스템으로 원거리에서도 쉽게 건축 설계 결과를 평가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