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거리진동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Prediction of Ground Vibration by Near Field Blasting (발파에 의한 근거리 지중진동의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 Lee, Hyo;Kang, Chu-Won;Ko, Jin-Seok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9 no.2
    • /
    • pp.32-42
    • /
    • 2011
  • For blasting vibration analysis, there are mostly two methods, firstly, far field vibration analysis to estimate limit of building damage, secondly, near field subterranean vibration analysis to estimate rock damage and subterranean structure facilities. The former has been mainly used in our country and aboard, the latter is mostly analysed by using Homberg's model. In this model, basic input data are acquired in far field surface vibration. But in the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being conducted in this area over the past few decade, it is required that Homberg's model is modified. For the purpose of this, measurements of near field vibration were first conducted in our country. But it was only proposed the measurement method and the method of analysis or prediction was not suggested. Accordingly, in this paper, measurements of near field subterranean vibration were conducted and the method of analysis or prediction of near field subterranean vibration would be suggested.

A example study on monitoring near field vibration in the rock mass adjacent blast hole (발파공 주변의 인접거리 진동계측 사례연구)

  • Lee, Hyo;Won, Yeon-Ho;Kim, Jin-Soo;Ju, Young-Og
    • Proceedings of the KS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153-166
    • /
    • 2006
  • 종래의 발파진동의 분석은 주로 대상 지장물에 대한 피해한계를 정립시키고자 하는 관점에서 발파공에서 비교적 원거리의 진동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어져 왔으나, 최근의 추이는 발파공 주변 암반의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그 분석영역의 범위가 근거리 진동특성 연구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터널 발파작업시 여굴의 발생, 암반사면의 안정성 검토 등의 목적으로 암반의 손상영역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암반손상의 평가를 위한 손상권 예측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대부분이 발파진동속도에 근거하고 있으며, 평가를 위한 진동의 예측은 기존에는 원거리 진동특성을 이용하여 근거리 진동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그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였으나, 최근의 추세는 계측기의 발달로 수m 이내의 진동특성의 계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국외에서는 수차례의 실험결과가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실험장비의 선택 및 측정방법의 어려움 등의 연유로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발파공 근접진동(near field vibration) 계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추후 지속적인 근거리 진동측정 방법 및 평가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어떻게 계측할 것인가 하는 계측방법 및 그 계측결과의 분석방법에 대해 문제점 파악 및 향후 보완점에 대해 비중을 두어 수행하였다.

  • PDF

Prediction of Radiated Sound Field by Using Boundary Element Method Based on the Pressure Measurements (음장측정치를 사용한 경계요소법에 의한 진동체 방사음장 예측)

  • 김봉기;김진연;이정권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2
    • /
    • pp.28-36
    • /
    • 1993
  • 임의의 형상을 갖는 진동체에 의한 방사 음장해석은 경계요소법에 의하여 이미 많은 해석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진동체의 형상이 매우 복잡한 경우에는 겉표면의 요소수가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각 요소에서의 경계조건을 모두 알아내어야 하므로, 저주파에 국한된 해석일지라도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경계요소법을 사용하되, 복잡한 형상의 진동체를 둘러싸는 가상적인 표면을 매우 간단하게 설정한 후 그 표면상의 경계조건인 음압을 측정한다. 임의의 형상에 대한 파수 영역에서의 감쇠파의여파작업을 위하여 특이값 분리를 사용하였다. 특이값 분리에 의하여 음압분포를 측정위치에서 설정된 일반 좌표계에서의 고유모드로 분해한다. 각 고유모드의 원거리 음장의 기여도에 해당하는 각 특이벡터에 대한 특이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유한개의 고유모드만을 포함시킴으로써 원거리 음장을 예측한다. 몇 개의 예제를 통하여 해석적 방법의 기존의 경계요소법에 의한 결과를 본 연구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여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 PDF

Remote Sound Extraction Using Laser Doppler Interferometer (레이저 도플러 간섭계를 이용한 원거리 소리 추출)

  • Hwang, Jeong-hwa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2 no.3
    • /
    • pp.108-113
    • /
    • 2021
  • We propose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 a method of remote sound extraction using laser Doppler interferometry. The output frequency of a laser Doppler interferometer changes to be the same as the frequency of the acoustic wave from than object vibrated by the sound due to the Doppler effect. Based on this phenomenon, we measure the vibrational frequency of a remote target affected by a sound wave in real time, via laser Doppler interferometry. We track the peak frequency of the interferometer's output via appropriate signal processing, which confirm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 detected wave are the same as that of the original sound source. We also confirm that the same method can retrieve the sound waves not only from remote sources of single tones, but from those of any sound.

Case Study on Vibration Monitoring of Area Adjacent to Blast Hole (발파공 주변의 인접거리 진동계측 사례 연구)

  • Lee, Hyo;Won, Yeon-Ho;Kim, Jin-Soo;Ju, Young-Og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4 no.2
    • /
    • pp.83-91
    • /
    • 2006
  • Over the past few decades, blasting vibration has been mainly analys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far field vibration in the area comparatively far from blast hole in the respect of proving limit of building damage. However, over the last few years, many works have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damage within the rock adjacent to a blast hole, especially for the Purpose of over break in tunnel blasting and rock slope stability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estimate rock damage, but method of using blast vibration has been mostly used to estimate rock damage. Formerly, to estimate rock damage, method of expecting near field vibr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far field vibration had mainly used but nowadays,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measure near field vibr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A few repels relating to this have been studied aboard, but very little work has been conducted in our country because of difficulty of monitoring and choice of monitoring system. Accordingly, in this Paper, measurements of near field vibration were conducted and wave forms were analyzed and some problems were investigated in measuring system.

Efficient Acoustic Echo Cancellation System for Distant-Talk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원거리 음성 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에코제거 시스템)

  • Kim, Ki-Beom;Kim, Sang-Yoon;Lee, Woo-Jung;Kwon, Min-Seok;Ko, Byeo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150-15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원거리 음성인식을 위한 서브밴드 필터링 기반의 빠르고 효율적인 에코제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에코제거 시스템은 우선 채널간 유사도 (correlation) 가 높을 경우 적응필터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patial decorrelation 을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tree 형태를 가지는 IIR filterbank 기반의 subband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적은 차수로도 효과적인 analysis, synthesis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서브 밴드간 spectral aliasing은 notch filter를 적용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적응 필터로는 improved proportionate normalized least-mean-square (IP-NLMS) 알고리즘을 사용해 수렴속도 및 에코제거 성능에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decision-directed estimation 기반의 residual echo suppressor를 적용해 잔여 에코를 제거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각 단계를 구성하게 된 이론적인 배경을 소개하고, 실제 에코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ERLE, 원거리 음성 인식률, computational complexity를 통해 제안하는 에코제거 시스템의 효과를 입증하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Ground Vibration induced by Curved Above-ground Railway Lines (열차 곡선부 노선 인근의 진동환경 예측 연구)

  • Huh,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1a
    • /
    • pp.146-153
    • /
    • 2003
  • 본 논문은 열차 곡선부 노선에서 발생하는 진동크기의 예측을 위한 것으로, 곡선부를 주행하는 틸팅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크기를 수치해석적으로 예측한 결과이다. 곡선부를 주행하는 틸팅차량에 의한 진동의 특징으로, 진동의 방향성분을 들 수 있다. 진동의 방향성분은 직선 구간에서는 수직성분이 월등히 우세하나, 곡선구간에서는 수평성분이 크게 증가한다. 틸팅차량의 경우, 일반열차에 비해 곡선 구간에서의 높은 속도로 인해 수평성분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틸팅차량의 주행에 의한 인근 지역에서의 진동환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직성분 뿐 아니라 수평성분의 정확한 파악도 필요하다. 이러한 진동의 방향성분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 영역에 파라 달라져, 이의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Prediction of Ground Vibration nearby the Curved Railway Track (열차 곡선부 노선 인근의 진동환경 예측 연구)

  • Huh, Young;Um, Ki-Young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3.10b
    • /
    • pp.423-428
    • /
    • 2003
  • 본 논문은 열차 곡선부 노선에서 발생하는 진동크기의 예측을 위한 것으로, 곡선부를 주행하는 틸팅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크기를 수치해석적으로 예측한 결과이다. 곡선부를 주행하는 틸팅차량에 의한 진동의 특징으로, 진동의 방향성분을 들 수 있다. 진동의 방향성분은 직선 구간에서는 수직성분이 월등히 우세하나, 곡선구간에서는 수평성분이 크게 증가한다. 틸팅차량의 경우, 일반열차에 비해 곡선구간에서의 높은 속도로 인해 수평성분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틸팅차량의 주행에 의한 인근 지역에서의 진동환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직성분 뿐 아니라 수평성분의 정확한 파악도 필요하다. 이러한 진동의 방향성분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 영역에 따라 달라져, 이의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of a portable vibration data collection system using high precision acceleration sensors (고정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진동 데이터 수집 시스템 개발)

  • Kim, Suhee;Sohn, Surgwon;Song, Wongil;Lee, Hyunjun;Woo, Kyungmin;Sohn, Hongsung;An, Gy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252-255
    • /
    • 2014
  •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전통적인 진동 측정 시스템의 구축이 곤란할 경우나, 고가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상황에 대비하여,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진동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 휴대용 무선 측정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능들을 업그레이드하면 철로 주변의 진동 환경 평가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근/원거리 진동 데이터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