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워터마크

Search Result 80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sign of deep learning based hardware accelerator for digital watermarking (디지털 워터마킹을 위한 딥러닝 기반 하드웨어 가속기의 설계)

  • Lee, Jae-Eun;Seo, Young-Ho;Kim, D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544-54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영상 콘텐츠의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하여 딥 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워터마킹 시스템 및 하드웨어 가속기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워터마킹 시스템은 호스트 영상과 워터마크가 같은 해상도를 갖도록 변화시키는 전처리 네트워크, 전처리 네트워크를 거친 호스트 영상과 워터마크를 정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네트워크, 그리고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이 중 호스트 영상의 전처리 네트워크와 삽입 네트워크를 하드웨어로 설계한다.

  • PDF

Correlation-based Robust Blind Watermarking (상관도 기반의 강인한 블라인드 워터마킹)

  • Joo, Snag-Hyun;Seo, Yong-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5
    • /
    • pp.479-484
    • /
    • 2003
  • We propose a blind watermarking method that embeds a binary pseudo-random sequence (watermarks), (-1, 1), into wavelet dc components, while most watermarking techniques embed watermarks in the middle frequency range for robustness and fidelity. In our scheme, the watermarks are embedded into particular locations to be selected by a key, where some watermark embeddings are skipped to avoid severe degradation in quality. Our robustness is compared to some results registered to the ChechMark [1] that is one of the most popular benchmarking tools.

The Layered Digital Audio Watermark (디지털 오디오의 계층적 워터마크)

  • 정사라;홍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1.11b
    • /
    • pp.175-17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기술로써 계층적 워터마크를 사용하여 시간 변형을 감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검출 복잡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1계층 워터마크는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축 변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오디오 데이터의 반향을 이용하고, 2계층 워터마크는 1계층 워터마크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준으로 대역 확산 기법을 이용하여 저작권 정보 등의 요구량이 많은 부가 정보를 삽입한다. 이 때, 2계층 워터마크는 프레임의 동기 확보를 위한 동기 수열, 부가 정보 삽입을 위한 데이터 수열, 두 개를 이용한다. 검출기에서는 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따라 1계층, 2계층 전단계, 2계층 본 단계 등의 계층적 순서로 검출할 수 있으며, 각 계층은 데이터에 가해진 변형 정도를 추정하여 다음 계층의 검출단에 정보를 제공한다. 여러 가지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방식이 다양한 신호 처리에 강인함을 보였다.

  • PDF

Adaptive Image Watermark Embedding Using JND Characteristic within Multiwavelet Transform (멀티웨이브릿 변환 영역에서 JND 특성을 이용한 적응 워터마크 은닉 기술)

  • 강균호;장봉주;조영웅;권성근;문광석;권기룡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855-86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화질의 열화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강인한 워터마크의 은닉을 위하여 멀티 웨이브릿 변환영역에서 인간 시각 특성(human visual system: HVS)을 고려한 적응 워터마크 은닉 기술을 제안한다. 멀티웨이브릿은 영상을 완전 복원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경계영역에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멀티웨이브릿 함수는 근사화 차수가 2인 DHGM 멀티웨이브릿을 사용한다. 워터마크는 멀티웨이브릿 분해된 부대역들 중 저주파 영역을 제외한 중간 및 고주파 영역의 웨이브릿 계수 중에 HVS를 이용하여 얻은 문턱값에 의해 선택된 웨이브릿 계수들에만 은닉한다. 워터마크를 은닉하기 위한 지각모델은 영상 압축시 지각적 양자화기에 사용되는 정적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 모델을 이용한다. 제안한 은닉모델은 영상의 특성에 따라 은닉하는 워터마크의 수가 각각 달라졌다. 또한, 여러 실험결과 우수한 비가시성과 강인성을 확인하였다.

  • PDF

Block-wise Contents Authentication for Visible Watermark (비즈블 워터마크를 위한 블록 기반 내용 인증 방법)

  • Ahn, Se-Jung;Jung, S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881-1884
    • /
    • 2003
  • 본 논문은 시각적 워터마크의 삭제나 수정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 기반 내용 인증(Block-wise content authentication)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원본 이미지와 워터마크 이미지를 사용하여 DCT 기반의 시각적 워터마크(Visible watermark)가 삽입된 이미지로 만든다. 다음, 블록 기반 서명(Block-wise signature)을 삽입하여 JPEG 과 같은 허용 가능한 이미지 조작에서는 정보가 유지되고, 워터마크의 삭제와 같은 악의적인 이미지 조작에는 인증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이미지의 조작된 부분을 알 수 있도록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을 이용하여 조작된 부분의 위치를 파악한 수 있다. Lena를 포함한 여러 표준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은 시각적 워터마크에 대한 다양한 공격에서 조작된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그리고 Photoshop 7.0의 Quality factor 11인 JPEG-90 압축에서 약 99%의 인증이 가능하였고, 블러링(Blurring)이나 샤프닝(Sharpening)과 같은 기타 공격에서는 각각 51%, 50%로 인증이 허용되지 않았다.

  • PDF

Watermark Recognition Techniques from a Distorted Image (왜곡된 영상으로부터 워터마크 인식 기법)

  • Maeng, Il Hee;Park, JiSu;Shon, Jin 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541-1544
    • /
    • 2015
  • 최근 스마트폰으로 워터마크가 인쇄된 문서를 촬영하여 유출을 하는 범죄가 일어나고 있으며, 특별한 감시 방안이 없다. 이를 위해 정부 및 기업에서는 문서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복사기 및 팩스 장치에 워터마크 패턴 보호 기법을 탑재하여 광학적으로 불법 복제를 방지한다. 특히 기업에 출입시 스마트폰에 보안 앱들을 설치하고, 스마트폰으로 문서를 촬영할 경우 앱이 보안 문서를 인식하여 경고를 시스템에 알린다. 그러나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영상은 카메라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왜곡 현상이 발생되어 워터마크가 훼손된다. 이렇게 훼손된 영상은 기존 워터마크 패턴 인식 방법으로는 정상적으로 인식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훼손된 워터마크를 보정하고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률과 처리속도를 높인다.

Transform Domain Watermarking Using Human Visual Properties (시각 특성을 이용한 변환 영역 워터마킹)

  • 김지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510-51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변환 영역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워터마크로 사용될 랜덤 신호를 변환 블록의 중간 주파수 영역 변환계수로 설정한 후 이를 역변환한다. 그리고 역변환된 워터마크 영상에서 시각적으로 인지하치 쉬운 영역에 위치한 워터마크 신호를 삭제한 후 다시 순방향 변환하여 중간 주파수 영역의 훼손된 워터마크를 초기의 워터마크로 복원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한 후 최종적으로 생성된 변환 영역 워터마크를 입력 영상의 변환 계수에 대해 삽입한다. 따라서 워터마킹된 영상에서 워터마크의 삽입으로 인한 시각적 왜곡은 감소될 수 있다. 모의 실험은 제안된 방법으로 형성된 워터마킹된 영상이 시각적으로 우수하며 손실 부호화, 필터링 등의 다양한 영상처리에 대해 견고함을 나타낸다.

  • PDF

Zero-Watermarking Based on Chaotic Side Match Vector Quantization (무질서한 SMVQ 기반의 제로-워터마킹)

  • Kim, Hyoung-Do;Park, Cha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87-90
    • /
    • 2008
  • 디지털 워터마킹은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함으로써 불법적인 복제를 방지하고, 지적재산권 및 저작권을 보호하며,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워터마킹 기법에서는 워터마크를 삽입함으로써 데이터 왜곡과 품질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원래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는 제로-워터마킹 기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VQ(Vector Quantization) 방식의 블록 효과를 줄이고, 압축 비율과 품질을 향상시킨 SMVQ(Side Match Vector quantization) 방식에 대한 제로-워터마킹 체계인 CSMVQ(Chaotic SMVQ)를 제안한다. SMVQ 이미지 압축에서는 동일하게 두 이웃 블록의 접면 정보를 이용하기 위하여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진행되므로, 임의의 순서로 블록을 선택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기 어렵다. CSMVQ에서는 이전에 부호화된 이웃 블록들의 접면 정보의 일치성을 동적으로 고려하여 부호화를 진행한다. 그러므로 무질서한 방식으로 워터마크가 삽입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 PDF

Digital image watermarking techniques using multiresolution wavelet transform (다해상도 웨이브렛 변환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워터마킹 기법)

  • 신종홍;연현숙;김상준;지인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697-700
    • /
    • 2000
  • 워터마크의 실현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공간영역에서 처리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주파수영역에서 처리방법이다. 초기에는 공간영역에서 처리가 많이 연구되었으나 공간영역에서의 워터마크 삽입방법은 주로 least significant bit(LSB)을 조작하기 때문에 주파수영역의 방법보다 각종 신호처리에 의해 워터마크가 쉽게 없어지는 단점이 생긴다. 따라서 현재는 그런 단점들을 잘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파수 영역에서의 워터마크 삽입 방법이 많이 쓰인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영상을 위한 다해상도 이산 웨이브렛 변환을 사용한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Semi-fingerprinting System using The Digital Watermark (디지털 워터마크를 이용한 Semi-fingerprinting)

  • 이한호;이정수;김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37-43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대역확산방식을 응용한 새로운 워터마킹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semi-fingerprinting을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논문은 저작권 보호에 주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워터마크 기술을 실질적으로 필요한 fingerprinting분야에 적용함으로써, 그 동안 학문연구에 그치고 있었던 워터마크 기술을 산업적 응용에까지 확대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워터마킹 방법은 난수이동(random number shift)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 삽입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semi-fingerprinting에 적용하기 위해 일본 내에서 진행중인 cIDf의 지침에 기반 하여 워터마크를 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