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워크넷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7초

워크케이스 마이닝을 위한 실행계열분석 알고리즘 설계 (E-Walk Series Analysis Algorithm for Workcase Mining)

  • 백수기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437-446
    • /
    • 2005
  • 워크플로우 마이닝은 워크플로우 엔진의 실행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워크플로우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워크플로우 모델 즉,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재설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워크플로우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워크케이스 마이닝을 위한 실행계열분석 알고리즘은 빌드타임에서 정의된 워크플로우 모델의 액티비티 실행순서와 런 타임에서 실제 실행된 모델의 실행순서와 비교하여 빌드 타임의 워크플로우 모델과 실행 모델과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향상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정의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빌드타임에 정의된 워크플로우 프로세스를 액티비티 의존넷을 이용하여 최소의 액티비티 집합으로 작성하고, 작성된 최소의 액티비티 집합과 실제 워크플로우 엔진에서 실행된 프로세스의 실행결과를 제안된 실행계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교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 PDF

넷필터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침입 탐지 및 차단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Intrusion Detection and Protection System using Netfilter Framework)

  • 백승엽;이건호;이극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3-41
    • /
    • 2005
  • 네트워크 및 인터넷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침해사고도 급증하고 있으며 그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보안시스템이 개발되어 왔으나 관리자가 수동적으로 침입을 차단하는 형식을 띄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침입탐지 시스템의 패킷 분석능력과 공격에 대한 실시간 대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눅스 OS에서 방화벽기능을 담당하는 넷필터를 이용해 침입탐지 및 차단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Petri Net을 이용한 차량 인증 보안 메커니즘 모델링 (A Vehicular Authentication Security Mechanism Modeling using Petri Net)

  • 송유진;이종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64-367
    • /
    • 2014
  •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ANET : Vehicular Ad-Hoc Network) 환경에서 차량들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통신들을 통하여 서로의 안전이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활발히 연구될 것이다. 그러나 안전성이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연구되어왔던 여러 부분들이 보안문제에 직면하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차량 간 통신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차량의 인증을 위한 보안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이를 패트리넷 모델링 기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차량 인증 보안 메커니즘(VASM : Vehicular Authentication Security Mechanism)은 차량 인증 기능과 함께 패트리넷으로 모델링 함으로써 차량들의 많은 변화로 복잡할 수밖에 없는 VANET에서의 보안요구들을 정의하여 수행하는데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액티비티 의존성을 이용한 워크케이스 마이닝 메커니즘 (A Workcase Mining Mechanism using Activity Dependency)

  • 김상배;김학성;백수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6호
    • /
    • pp.43-55
    • /
    • 2003
  • 워크플로우 마이닝이란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에서 생성되고 실행되어진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인스턴스의 실행경로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론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빌드타임(Build Time)에 정의된 모델의 실행경로와 런타임(Run Time)에서 실행된 워크케이스의 실행경로를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워크플로우 모델의 제시 또는 작성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개선을 위한 작업으로서 액티비티(activi쇼) 의존성을 이용한 워크케이스 마이닝에 관하여 기술하겠다. 제안된 워크케이스 마이닝을 위하여 각 액티비티의 의존성을 분석하여 중요경로(Essential Path)를 결정하는 액티비티 의존 넷 알고리즘(Activity-Dependent Net Algorithm)과 워크케이스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중요 경로와 일치여부를 결정하는 실행계열 분석 알고리즘(E-Walk Series Analysis Algorithm)을 제안한다.

  • PDF

워크플로우의 EMFG 모델링과 분석 (The EMFG Modeling and Analysis for a Workflow)

  • 허후숙;여정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7호
    • /
    • pp.1189-1196
    • /
    • 2003
  • IT 산업의 발달로 인해 조직의 자동화된 업무 흐름인 워크플로우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설계시 자주 사용되는 기본 구조와 다양한 병행 처리 구조론 개념적인 설계가 가능한 EMFG(Extended Mark Row Graph)로 먼저 표현한 후 워크플로우를 모델링한다. 모델링된 EMFG를 시뮬레이션하여 워크플로우의 완료 가능 여부를 알 수 있는 수행완료 가능성 검증 방법과 수행완료 후에 나타날 수 있는 논리적 오류 검증 방범을 제안한다. 제안한 워크플로우의 EMFG 모델링 및 분석 방법을 사용하면 시각적이고 정형적인 설계가 가능하고 직관적인 수학적 해석이 가능하다.

안전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확장성 있는 블루투스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alable Bluetooth Network for Secure Ubiquitous Environment)

  • 백장미;서대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59-170
    • /
    • 2008
  • 유비쿼터스 혁명이 시작되고 있는 시점에서 초고속 통신망을 기반으로 컴퓨터, 가전, 통신, 방송 등이 하나의 디지털 미디어로 통합되어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디지털 컨버전스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문화와 공간이 창출될 것이며, 이러한 기술의 진화는 '유비쿼터스 사회'라는 독특한 사회적 패러다임으로 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유비쿼터스와 관련하여 블루투스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실 환경에 적용성을 인정받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블루투스를 유비쿼터스 혹은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차세대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블루투스가 제공하고 있는 보안 서비스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 구성이 요구된다. 특히, 저자는 2005년 한국정보보호학회 논문지(이하 Kiisc05)에서는 독립된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이용해 확장된 블루투스 피코넷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는 확장된 형태의 피코넷만을 고려하였으며, 스케터넷으로의 확장은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제안 방식은 Kiisc05에서 제안된 방식을 스케터넷으로 확장하여 각각의 브리지에 연결 설정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 PDF

IoT 정보 수집을 위한 확률 기반의 딥러닝 클러스터링 모델 (Probability-based Deep Learning Clustering Model for the Collection of IoT Information)

  • 정윤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89-194
    • /
    • 2020
  • 최근 IoT 네트워크는 이기종의 IoT 장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다양한 클러스터링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클러스터링 기법들은 정적으로 네트워크를 분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이동이 가능한 IoT 장치에는 기존 클러스터링 기법들이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에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IoT 장치의 정보를 수집·분석하기 위한 확률적 딥러닝 기반의 동적 클러스터링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수집된 정보의 속성값의 빈도수를 확률적으로 딥러닝에 적용하여 서브넷을 구축한다. 구축된 서브넷은 시드로 추출된 연계 정보를 계층적 구조로 그룹핑할 때 사용하며, IoT 장치에 대한 동적 클러스터링의 속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모델은 기존 모델에 비해 데이터 처리 시간이 평균 13.8% 향상되었고, 서버의 오버헤드는 기존 모델보다 평균 10.5% 낮게 나타났다. 서버에서 IoT 정보를 추출할 때의 정확도는 기존모델보다 평균 8.7% 향상되었다.

멀티 에이전트 기반의 상황 인지 시뮬레이션을 위한 통합 개발 프레임워크의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Development Framework for Context-Awareness Simulation based on Multi-Agent System)

  • 김태형;최진우;우종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38-541
    • /
    • 2010
  • 상황인지 시뮬레이션이란 상황자료의 수집, 추론 및 결론 도출의 과정을 실제 환경이 아닌 가상의 시뮬레이션 환경 안에서 실험해 볼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상황인지 기술과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페트리-넷(Petri-Net)등의 기반 기술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상황인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제보다 적은 시간으로 구축된 시스템을 실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통합 개발 프레임워크 특징으로는, 첫째 상황인지를 위한 추론 기능을 가지는 에이전트와 시뮬레이션 기능들을 플러그인 및 라이브러리로 제공할 수 있고, 둘째, 통합환경 안에서 제공되는 도구들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개발 및 실험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황 아키텍처를 위한 모델 표현 계층,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을 위한 연산 계층,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랙션 계층, 그리고 시뮬레이션 계층인 4-계층구조의 통합개발환경을 연구하였다.

효율적인 보안관제 수행을 위한 다크넷 트래픽 기반 악성 URL 수집 및 분석방법 연구 (A Study on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 of Malicious URLs Based on Darknet Traffic for Advanced Security Monitoring and Response)

  • 김규일;최상수;박학수;고상준;송중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185-1195
    • /
    • 2014
  • 국내 외 해킹공격 전담 대응조직(CERTs)들은 침해사고 피해 최소화 및 사전예방을 위해 탐지패턴 기반의 보안장비 등을 활용하여 사이버공격에 대한 탐지 분석 대응(즉, 보안관제)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패턴기반의 보안관제체계는 해킹공격을 탐지 및 차단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탐지규칙에 근거하여 알려진 공격에 대해서만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 변종 공격에 대한 대응은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국내 외에서는 기존 보안관제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크넷이라는 기술을 활용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다크넷은 미사용 중인 IP주소의 집합을 의미하며, 실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다크넷으로 유입된 패킷들은 악성코드에 감염된 시스템이나 해커에 의한 공격행위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보안관제 수행을 위한 다크넷 트래픽 기반의 악성 URL 수집 및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국내 연구기관의 협력을 통해 확보한 8,192개(C클래스 32개)의 다크넷으로 유입된 전체 패킷을 수집하였으며, 정규표현식을 사용하여 패킷에 포함된 모든 URL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 위협상황에 대한 신속 정확한 관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추출한 악성 URL을 보안관제에 적용(보안장비 탐지패턴, DNS 싱크홀 등)함으로서 해킹공격에 대한 사이버위협 대응체계를 고도화하는데 목적을 둔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세계 크루즈산업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in Global Cruise Industr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장세은;이수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07-614
    • /
    • 2014
  • 세계적으로 해양산업은 크루즈산업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대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우리나라도 미래의 잠재력 있는 국가동력산업의 하나로 인식하고는 있으나 크루즈산업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는 국내외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우선 세계 크루즈산업을 연구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최근에 다양한 산업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방법을 활용하여 크루즈산업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외국 유명저널에 발표된 크루즈산업과 관련된 학술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키워드와 논문을 매개로 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복잡계의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하는 연결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 분석방법으로 시대별로 나누어 시각화하여 살펴봄으로써 세계 크루즈산업의 연구동향을 심층적으로 관찰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키워드 빈도는 Zipf의 법칙을 따르고 노드의 연결정도는 멱함수 분포를 보여주고 있어 언어네트워크에서 분석하는 키워드 네트워크와 동일함을 관찰한다. 연구방법론으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하여 사회연결망 프로그램인 넷마이너 4.0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중심성 측정방법 중 키워드 상위 20개의 빈도순위를 비교하여 빈도순위와 가장 가까운 중심성 측정방법을 선택하여 크루즈산업의 연구동향을 분석한다. 특히 크루즈산업의 연구동향이 연도 기간별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2000년 이전과 2000년 이후로 크게 대별하여 나누고 2000년 이후에는 5년 주기로 각 기간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연결 중심성이 높은 최상위의 키워드인 cruise와 tourism 노드를 중심으로 매개 중심성이 높은 것들의 키워드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여 논의한다. 연구결과에서 흥미롭게도 2010-2014의 기간에 새로운 노드로 China가 등장하여 최상위의 키워드들을 연결하고 있는 것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크루즈산업의 발전 양상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각 연도 기간별 네트워크의 다른 종류의 숫자와 크고 작은 중심축 군집 네트워크의 숫자의 증감뿐 아니라 중심축 군집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는 키워드 간의 연결 분석을 용이하게 해주어 기간별 연구동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