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웃음치료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삶의 만족과 정서인식 명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 Clarity For Adult Women by Laughter Therapy Program)

  • 정하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511-5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삶의 만족과 정서인식 명확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성인 여성이며 실험 참여에 동의한 여성 90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통제집단 45명, 실험집단 45명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주 1회 50분씩 15주간 총 15회기에 걸쳐 웃음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어떠한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웃음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독립표본 t-검증과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삶의 만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정서인식 명확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웃음치료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메타분석 (Convergence Study of Laughter Therapy's Effect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 Meta-Analysis)

  • 도은나;조선희;김선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47-35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웃음치료의 융합적 메타분석을 통해, 노인우울 감소 효과크기를 확인하고, 노인의 우울감소를 위한 웃음치료의 중재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된 융합적 연구이다. 10개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확인한 486개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20문헌을 최종 선정하였다. SIGN의 도구를 이용하여 문헌의 질평가를 시행하였으며 CMA 3.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노인우울에 대한 웃음치료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크기로 나타났으며 (SMD=-0.57, 95% CI: -0.70~-0.44, p<.001), 작은 크기의 이질성을 보였다($I^2=18%$). 하위그룹 분석에서 재가노인, 통합군, 4-6주 중재군, 집단중재군의 효과가 더 컸다. 본 융합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웃음치료 프로그램 구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노인요양시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와 무작위배정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다.

웃음치료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in elderly)

  • 장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501-508
    • /
    • 2014
  • 본 연구는 웃음요법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유사 실험 설계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 설계이며,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10월 1일부터 10월 22일까지이며 실험 군(n=19명)은 4주간 매주 1회씩 50분간 웃음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프로그램 전 후 GDSSF-K를 이용하여 우울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chi}^2-test$, t-test, Mann-Whitney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웃음치료 프로그램은 노인의 우울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z=-2.59, p= .017). 따라서 본 연구의 웃음치료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노인 간호 실무에서 활용 가능하며 노인의 우울관련 간호중재 전략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개 경로당 이용 노인의 웃음치료 참여 경험 (An experience in the laughter therapy by elderly of senior citizen's center)

  • 박현주;안효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05-217
    • /
    • 2016
  • 본 연구는 일개 경로당 이용 노인의 웃음치료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밴 매넌(Van Man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로당에서 웃음치료를 경험했으며 연구참여에 동의한 총 12명(남 4명, 여 8명)이며, 연구참여자와의 면담과 문학 및 예술작품 등을 참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들의 웃음치료 경험에 대한 자료 분석을 통하여 노인들이 지향하는 삶은 건강한 삶(몸의 기운을 회복함, 기분이 맑아짐), 행복한 삶(스트레스를 해소함, 잡념을 잊게 함, 일상의 활력소가 생김, 함께 웃어서 배가되는 즐거움, 추억을 되살리며 젊어짐), 희망하는 삶(고통을 잊고 긍정적 마음을 가짐, 기대하는 일이 생김)의 구조로 의미화 됨을 알 수 있었다. 건강한 삶은 신체, 심리적으로 건강행위를 추구하는 삶의 근본적인 원동력에 대한 체험이고 행복한 삶은 타인과의 관계형성과 공감을 통해 기쁨을 창조하는 삶이며 마지막으로 희망하는 삶은 다양한 상실의 고통을 극복하고 삶을 긍정적으로 통합하는 체험이다. 결론적으로 노인들에게 웃음치료는 노인들의 건강, 대인관계 및 삶을 통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웃음치료를 활용할 수 있다면 노인들의 독립심과 자존감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일회성 웃음치료가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ne time laughter therapy on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 한미라;강지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는 일회성 웃음치료가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J도 I시 소재 노인요양병원 두 곳의 업무종사자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 40명씩이었다. 대상자에게 일회성 웃음치료 적용후 전후 혈압, 맥박, 혈중 코티졸 농도를 측정하였고, 설문지를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수축기혈압, 혈중 코티졸 농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일회성 웃음치료는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스트레스의 생리적 반응에 영향을 주어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 치료와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웃음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Laughter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nxiety, Depression, and Low Self-Esteem in Mothers)

  • 김사라형선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7-207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Laughter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overcoming anxiety, depression, and improving the self-esteem of mothers. The State-Trait Anger Scale,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Self-Esteem Scale were used as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respectively.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welve mothers suffering from anxiety and depression participated in eight sessions of the program, and were then compared with twelve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treatment. The treat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esteem, and reduced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overcoming anxiety, depression, and improving self-esteem in mothers.

웃는 것도 운동 인류 최고의 명약 '웃음'

  • 이정미
    • 건강소식
    • /
    • 제32권2호통권351호
    • /
    • pp.32-33
    • /
    • 2008
  • 웃음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언어로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들까지 행복하게 한다. 더불어 건강에도 효과적이다. 여성의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더 긴 이유 중 하나도 여자가 남자보다 더 수용적이고 긍정적이며 잘 웃기 때문이라고 한다. 여러 박사들은 논문이나 세미나를 통해 많이 웃을수록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런 시점에서 웃음이 질병 치료방법의 하나로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 PDF

중년기 여성의 웃음치료가 웃음지수, Cortisol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n the Laughter Score, Cortisol and Immunoglobulin of Laughter Therapy in Middle Aged Women)

  • 차미연;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30-236
    • /
    • 2013
  •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a laughter index, cortisol and immunoglobulin of middle aged women were examined. Method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ere used. The participants (n=54) included 2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through March of 2013.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laughter therapy for 40 minutes per session, five times a week for a period of 2 weeks. The tool was used to measure pre/post-test laughter index, cortisol and immunoglobulin of middle aged wome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laughter therap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laughter index (p<.001), and immunoglobulin IgA (p<.001), IgG (p<.001), and IgM (p=.010). Also, the stress hormone, cortisol of middle aged women decreased but non-significantly (p=.158).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laughter therapy may have an influence on nursing intervention and treatment effects to improve the laughter index and immunoglobulin of middle aged women.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웃음치료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ffects of Laughter therapy program in Geriatric successful aging and Stress in Elderly)

  • 이도영;서혜영;이백철;정계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99-20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에게 10주 동안 주 2회씩 60분간의 웃음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선정기준에 따라 실험군은 S시 소재의 문화원에서 비교군과 대조군은 S시 소재의 노인정에서 각 그룹당 25명씩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ANCOVA) 하였다. 10주 동안의 웃음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은 비교군과 대조군보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노인 문제가 부각되는 현 실정에서 본 연구를 통하여 웃음치료프로그램의 과학적인 근거를 검증하고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