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움직임 프로그램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Development of Goldberg device-based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Tool (골드버그 장치 기반 소프트웨어 융합교육 도구 개발)

  • Lee, Sihoon;Kim, Sunghoon;Son, Jungmyung;Kim, Eungyeong;Cho, Wansub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3
    • /
    • pp.547-55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oldberg device-based software(SW) convergence Education tool.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convergence with various subjects for effective SW education. In particular, physics is often used as a material for SW convergence education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computational thinking such as sequential movement, quantification of energy and simul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Goldberg device that utilizes physical knowledge, concepts and manipulat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Delphi verification and a basic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is. As a result, the developed program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program for SW convergence education.

Unmanned Patient Monitoring System Using Frame Difference Method and Decibel Threshold (프레임 차이법과 데시벨 임계치를 이용한 무인 환자 감시 시스템)

  • Lee, Kee-Woo;Lee, Hyuk-S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8 no.1
    • /
    • pp.1-5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unmanned patient monitoring system design and performance of a motion capture and sound detection. Unmanned patient monitoring system can be used in the greek koma and meaning deep sleep patient to need 24 hour surveillance. To monitoring, we used laptop, CCTV camera (or PC camera), A/D converter, microphone and detection program. The detection program based on the frame difference method and sound level meter. It had several functions such as data collecting and storing. All of this system was tested in several the simulations of emergency situations. It can be expected that an unmanned patient monitoring system can be used in emergency situation and patient care.

  • PDF

Preprocessing in a Noninvasive Sensor System (비침습적 센서 시스템에서 전처리 연산)

  • Oh, Hyun-Kyo;Keum, Hyouseob;Cho, Seung-Ho;Kim, Heong-Tae;Moon, B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83-85
    • /
    • 2013
  • 본 연구는 사용자가 센서를 의식하지 않고 편안하게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비침습적 방식의 센서를 활용하여 향후 침대 위에 있는 사람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필름 형태의 압전센서를 사용하는 센서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구축된 시스템에서 필요한 전처리 과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압전센서는 침대 매트리스 아래에 설치하였다. 사람의 움직임에 의한 압전센서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고 샘플링하여 PC로 전송하는 컨트롤러, 컨트롤러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센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컨트롤러에서의 노이즈 제거, 증폭, 샘플링 등의 전처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대한 이동 평균 필터, 불필요한 움직임이 없는 구간을 제거 후 움직임이 있는 구간 추출 등의 전처리 과정을 제시한다. 이러한 전처리 연산은 향후 침대 위 인체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행동유형을 식별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Effectivenes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Consultant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Parental Competence of Mothers with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 Chung, Kai Sook;Kyun, Ju Youn;Choi, Eun A;Kim, Ji Yeon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1 no.1
    • /
    • pp.129-15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nsultant development program enhancing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of the mothers with preschool and school-age childre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4 mothers with preschool and school-age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mother's parental competence, t-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the sub-factors of mother's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Second, mothers mentioned that they changed their parenting competence(change of parenting knowledge, beginning of reflective attitude on their parental role), self-system competence(understanding and respective attitude for the mother herself, self-awareness as a spouse, sweet glances and warm understanding as a parent), social competence(sympathetic understanding of her acquaintances, attempt a role as consultant) after this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Advanced Auto-Focus and Auto-Exposure Algorithm Detecting Object for Video Camera (피사체 인식을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자동 노출 알고리즘)

  • Lee, Kwang-Hyun;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147-150
    • /
    • 2008
  • 현재의 비디오 카메라는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화질의 비디오 영상을 얻을 수 없다. 인간의 눈은 움직이는 물체에 중점을 두고 초점을 맞추는 시각적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현재의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은 영상에 대한 인간의 눈의 시각적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조리개와 렌즈의 조절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인간의 눈의 시각적 특성에 기반을 둔 실시간 피사체 적응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영상내에서 움직임을 가진 물체를 찾아낸 뒤, 이것에 가중치를 두고 조리개와 초점제어 작업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움직이는 물체는 영상 코덱의 움직임 정보를 파악하여 찾아내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언어로 구현되었으며, 초점거리와 조리개제어가 가능한 카메라와 PC를 사용하여 영상을 분석, 검증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e high pitch FPD Image quality test system by using USB (USB를 이용한 고정세 FPD 화질 테스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o, Dae-Hyun;Kim, Gun-Hong;Le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273-274
    • /
    • 2007
  • 최근에 각광받는 영상표시 장치인 LCD와 PDP는 Progressive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하며 화질 또한 SD에서 HD로 바뀌었다. 따라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FPD 패널로 전송해야 하며 이를 위해 LVDS 전송 방법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화질 테스트 장비들은 빠른 데이터 전송을 위해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패턴들만 LVDS 신호로 바꾸어 패널로 전송하게 되며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움직이는 것도 제한적이다. 하지만 LCD 패널의 응답속도, PDP 패널의 DFC등을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패턴이 필요하며 영상의 움직임 또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패턴을 다운로드받아서 표시할 수 있는 테스트 장비를 설계하고 USB를 통해 테스트 장치 컨트롤 및 이미지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고정세 FPD의 화질을 테스트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항생제 대체물질과 무항생제 축산에 대한 전망

  • Kim, Seong-Gwon
    • Feed Journal
    • /
    • v.4 no.12 s.40
    • /
    • pp.84-92
    • /
    • 2006
  • 항생제(antibiotics)란 공생(symbiosis)의 반대 개념인 항생(antibiosis)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물, 특히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로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생명을 막는 것’을 말한다. 축산에서 성장촉진용 항생제 사용은 성장률과 사료효율 및 특정 질병을 치유시켜준다는 장점이 있어 그 동안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해 내성 문제와 체내 잔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가축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부정적인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고 하여 최근 각 국가별로 항생제의 사용을 전면 금지 또는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인 움직임 속에 전 세계는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물질 개발 대체물질을 이용한 친환경 무항생제 사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소비자에게 고품질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축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라서 본고에서는 항생제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고 최근 각광 받고 있는 항생제 대체물질에 대해 살펴보며 추후 이러한 대체 물질을 통해 친환경 무항생제 사육의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 PDF

A Study on Preventing Drowsy Driving with Kinect (Kinect를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에 대한 연구)

  • Han, Ji Sub;Nasridinov, Aziz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529-531
    • /
    • 2018
  • 본 논문은 끊이질 않는 졸음운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 내용이다. Kinect 의 움직임 감지 기반 센서를 활용하여 센서를 통하여 얻은 수치를 코드화 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졸음운전이라는 안전사고는 사전에 방지가 가능한 안전사고로서 운전자들이 졸음에 빠졌을 때 이를 스스로 인지하여 운전자에게 청각적 신호를 주어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을 지향한다. 이는 졸음운전이 잦은 장거리 운전자나 화물트럭 기사들, 습관적으로 졸음운전을 하는 운전자들에게 효과적인 시스템이다.

Recent Trends and Analysis on AR Technology - Focused on 3D Object Tracking Methods - (증강현실 기술 최근 동향 및 분석 - 3차원 객체 추적 기술을 중심으로 -)

  • Park, Hanhoon;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99-300
    • /
    • 2018
  • 최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스마트폰, HMD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성능 향상 및 위치 기반 서비스의 보편화로 인해 증강현실 기술의 유용성을 입증하는 다양한 응용 분야들이 소개되고 있다. 증강현실은 기본적으로 현실세계에 가상의 디지털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병치하여 인간의 감각과 인식을 확장시키는 실감미디어 기술이다.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나 현실세계의 상황을 파악하고 인지하기 위한 컴퓨터 비전 기술, 가상의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렌더링하기 위한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 증강현실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상호작용 기술, 사용자 중심의 증강현실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저작 기술 등 다양한 요소 기술들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전 기술 중의 하나로 객체의 3차원 움직임(포즈 변화)을 추적하기 위한 방법들의 최신 동향을 간략하게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전망해 본다.

  • PDF

Application of Euclidean Distance Similarity for Smartphone-Based Moving Context Determination (스마트폰 기반의 이동상황 판별을 위한 유클리디안 거리유사도의 응용)

  • Jang, Young-Wan;Kim, Byeong Man;Jang, Sung Bong;Shin, Yoon Si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4
    • /
    • pp.53-63
    • /
    • 2014
  • Moving context determination is an important issue to be resolved in a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recognizing and classifying a mobile user's moving context by Euclidean distance similarity. In the proposed method, basic data are gathered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accelerometer sensors, and by using the data, the system decides which moving situation the user is in. The decided situation is one of the four categories: stop, walking, run, and moved by a ca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have implemented applications using several variations of Euclidean distance similarity on the Android system, and measured the accuraci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achieves more than 90% accu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