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행 자동차

Search Result 33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sign of car driving information system with smartphone for vehicle weakly subtitles system (승용차요일제보험을 위한 스마트폰 운행정보 확인 시스템 설계)

  • Kim, Min-Young;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489-492
    • /
    • 2011
  • 자동차 운전자는 자신의 자동차 보험료를 할인 받고자 특약제도를 이용한다. 이 중 이미 외국에서 시행되어 좋은 호응을 받아 국내에서도 시행 되고 있는 승용차 요일제 보험이 있다. 승용차 요일제 보험에 가입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하는 자동차 운행정보 확인 장치는 예비가입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보험가입자(운전자)가 보험사에 운행정보확인장치의 차량운행기록을 보내기 위해 다소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험개발원에서 제시한 '자동차 운행정보 확인 장치 인증규정'을 바탕으로 보험가입자가 편리하게 차량운행기록을 보험사에게 보내기 위해 단거리 무선통신이 내장되어 있는 자동차 운행 정보 확인 장치의 하드웨어 설계와 이것을 활용한 보험사의 운행정보 수집 시스템에 바로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 단말기 모니터 프로그램의 설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Analysis of Motor Carrier Crash Risk with Driver Hours of Service (화물자동차 운전자의 운행시간에 따른 사고위험도 분석)

  • Park, Sa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1
    • /
    • pp.21-27
    • /
    • 2010
  • Management of driver hours of service (HOS) for commercial vehicle operators has been a continual safety challenge. One of the more critical issues to government and motor carriers is fatigue and fatigue-related accidents. To reduce truck drivers’fatigue-related accident risk in other countries, the government issued the HOS regulations. However, korea government does not have any HOS regulation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gives the clues that korea should have the HOS regulation to reduce truck drivers’fatigue-related accident risk. This study examines the HOS regulation over other countries and conducts relative accident risk analysis using the real data from 3 freight companies. The data set includes 231 accident involved drivers and 462 non-accident drivers. Therefore, the size of the total data set is 693 driver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early studies of safety and HOS was the need to characterize continuous driving by using the notion of "survival". Subsequent research used a data replication scheme and logistic regression to capture the survival effect. This study uses time-dependent logistic regression. The test of significance between parameters indicates that the first three hours are almost the same risk. In the 10th hour of driving, the risk was more than 2.2times that in the baseline first hour. In conclusion, as driving time goes on, the crash risk increases.

디지털운행기록 장치 데이터 보안 원칙과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데이터 식별 방안

  • TaeGuen Kim
    • Review of KIISC
    • /
    • v.33 no.4
    • /
    • pp.7-12
    • /
    • 2023
  • 디지털운행기록장치(DTG)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장치로, 여객 및 화물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장착되어 여러 실시간 운행기록을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부분 버스, 택시, 화물차 등에 사용되며, 상용 자동차의 운전자를 인증하고 과도한 운행으로 인한 사고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디지털운행기록장치 관련 지침 및 표준 사양의 보안 기술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문헌조사를 통해 발견된 디지털운행기록장치 데이터 보호 관련 기본적 보안원칙을 소개한다. 더불어,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데이터 식별 방법에 대한 실험적인 시도 사례의 결과를 함께 소개한다.

A Research on Energy Cost of Electric Vehicles and Gasoline Vehicle in On-road Use Condition (가솔린자동차와 전기자동차의 에너지비용 조사)

  • 정도양;박성용;정태은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1
    • /
    • pp.95-100
    • /
    • 1999
  • 대우자동차는 1992년 이래로 전기자동차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1996년에는 전기자동차의 Fleet 운영시험을 위해 10대의 씨에로 개조형 전기자동차를 제작하였다. 이 씨에로 전기자동차에는 고성능 연축전지, 교류유도전동기, 탑재형 충전기 및 전동조향배력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으며 고등기술연구원에서는 전기자동차의 Fleet 운영시험의 일환으로 시외 일반도로 운행조건에서 전기자동차의 에너지비용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대의 씨에로 전기자동차를 용인시와 안성군 지역의 일반도로에서 1998년 4월부터 운행하였으며 이 운행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도로 주행조건에서 씨에로 전기자동차의 에너지비용과 동급의 가솔린자동차인 씨에로 1.5DOHC A/T 차량의 에너지비용을 계산하였다. 두 대의 전기자동차중 한 대의 연비는 5.7 km/kWh이었으며, 다른 한 대의 연비는 5.8 km/kWh이었다. 이에 비해 가솔린자동차의 연비는 13.7 km/l로 년간 20,000 km를 주행한다고 가정할 때 가솔린자동차의 년간 주행비용은 전기자동차의 3.4∼18.0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험을 통해 향후 전기자동차의 개발을 위해 유용하고 가치있는 많은 데이터를 얻었다.

  • PDF

A Study on the Expansion of Low Emission Zone in Green Transport Zone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sing Origin-Destination Traffic Volume (O/D 데이터를 활용한 녹색교통지역 및 서울시 자동차 운행제한 확대 연구)

  • Jeong, Jae Eun;Shon, Eui 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3
    • /
    • pp.90-99
    • /
    • 2020
  • The "Low Emission Zone" (LEZ) system restricts entry of vehicles with high air pollutants into city centers.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improves air environment around the world. Since 2012, operating restrictions have been applied to all of Seoul's metropolitan areas and some other metropolitan areas in the state. Beginning in December 2019, entry of 5th class vehicles to the central green transport zone of Seoul has been restricted.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status of operational restrictions in this zone, and predict the amount of traffic reduction expected when numbers of target vehicles are expanded in the future, we use data for each vehicle's emission grade: by region and 'Origin-Destination Traffic Volume'. After estimating the amount of traffic entering Seoul's 25 autonomous districts, by emission class, we propose a target region that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if target areas for automobile operation restrictions expand in the future.

The propose a legislation bill to apply autonomous cars and the study for status of legal and political issues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위한 안정적 법적 기반을 위한 법정책적 연구 : 자율주행자동차 특별법 제정(안)을 중심으로)

  • Kang, Sun Joon;Kim, Min J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19-1067
    • /
    • 2017
  •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클라우드 슈밥이 언급한 '제4차 산업혁명'은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그 정점에 자율주행자동차가 이 시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자율주행자동차가 성공적으로 도입 및 정착되기까지는 아직 극복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다. 특히 '인간' 중심의 법제도를 '인공지능'이 포함된 법제도로 패러다임을 변화해야 할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 시대의 안정적 운용을 위해서는 사람중심의 입법체계에 대한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즉, 자율주행자동차를 운행하는 운행주체가 누구인지(무엇인지)와 일반도로에서 일반 자동차와 운행이 가능한지 여부, 교통사고 발생 시 민형사상 책임 문제,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보험 문제, 개인정보수집과 이용에 관한 문제, 제3자에 의한 오남용 문제 등을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 관련 국내 법률, 해외 법제 현황,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적 쟁점 등을 검토하여 입법론적 관점에서 자율주행자동차 운행 시 발생하는 제반 법적 문제 해결을 위한 별도의 법안 신설을 제안하며 그 법안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legal systems of automobil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자동차 관련 법제의 합리적 개선방안)

  • Park, Jong-Su
    •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 /
    • no.53
    • /
    • pp.269-310
    • /
    • 2017
  • This article aims at the study on Improvement of legal System which is related to automated vehicl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gal aspects of driving automation have two view points. One is to permit a automated vehicle, the other is to regulate the behavior of driver on the road. Signifying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IoT, AI, big data, cloud computing etc. Automated vehicles are the imbodiment of those new ICT technologies. The vehicle management act(VMA) rules about vehicle registration and approval of vehicle types. VMA defines a automated vehicle as a vehicle which can be self driven without handling of driver or passenger. Vehicle makers can take temporary driving permission for testing and research the driving automation. Current definition of automated vehicle of VMA is not enough for including all levels of SAE driving automation. In the VMA must be made also a new vehicle safty standard for automated vehicle. In the national assembly is curruntly pending three draft bills about legisl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Driving automation and AI technologies must be parallel developed. It is highly expected that more proceeding research of driving automation can be realized as soon as possible.

차량 정보 분석을 통한 차량 및 운전자 관리 시스템

  • Choe, Jong-U;Yun, Dae-Seop;Kim, Hyeon-Suk;Park, Jong-Hy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7
    • /
    • pp.3-9
    • /
    • 2008
  • 오늘날 자동차의 보급과 IT기술의 급작스러운 발전은 텔레매틱스라는 새로운 기술 분야를 창출시켰다.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자동차 안의 차량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차와 운전자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 본고에서는 텔레매틱스 기술을 활용한 차량 및 운전자 정보관리 시스템인 VDMS (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Systems)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VDMS 시스템은 차량 내 센서들을 통해서 차량의 위치, 차량의 상태, 차량의 운행, 차량의 진단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차량정보 추출 및 저장 시스템과 수집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운행 패턴정보와 통계정보를 제공해주는 VDMS 정보관리 및 Visualization으로 구성된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a Reliable Data Storage in a Digital Tachograph (디지털 자동차운행기록계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설계 및 구현)

  • Baek, Sung Hoon;Son, Myunghee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 no.2
    • /
    • pp.71-78
    • /
    • 2012
  • The digital tachograph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records speed and distance of a vehicle, together with the driver's activity and vehicle status at an accident. It records vehicle speed, break status, acceleration, engine RPM, longitude and latitude of GPS, accumulated distance, and so on. European Commission regulation made digital tachographs mandatory for all trucks from 2005. Republic of Korea made digital tachographs mandatory for all new business vehicles from 2011 and is widening the range of vehicles that must install digital tachographs year by year. This device is used to analyze driver's daily driving information and car accidents. Under a car accident that makes the device reliability unpredictable, it is very important to store driving information with maximum reliability for its original mission.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practical digital tachograph. This paper presents a storage scheme that consists of a first storage device with small capacity at a high reliability and a second storage device with large capacity at a low cost in order to reliably records data with a hardware at a low cost. The first storage device records data in a SLC NAND flash memory in a log-structured style. We present a reverse partial scan that overcomes the slow scan time of log-structured storages at the boot stage. The scheme reduced the scan time of the first storage device by 1/50. In addition, our design includes a scheme that fast stores data at a moment of accident by 1/20 of data transfer time of a normal method.

Design of Collective system of Automobile information in Korea (대한민국 표준 개인용 자동차 운행정보 수집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

  • Kim, Min-Young;Jang, J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9
    • /
    • pp.1923-1930
    • /
    • 2012
  • 'No-Automobile driving Day' is one of Special option of Automobile Insurance in Republic of Korea. It option is used a system for collect to automobile driving information. However, Its system gives discomfort to users of this system. A Discomfort of this system to users is the OBD device's(Personal Car Driving Check Device) installation. A frequent installation of this device provides this OBD device's breakage to the users of this system. In this paper, for a solve this problem, studied new system design to supplement the existing system using Smartphone and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