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항자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velopment of Safe Navigation Contents for Aging Seafarer in Tug-barge Transportation (고령 예부선 운항자를 위한 안전운항 교육 콘텐츠의 개발)

  • Kim, Hong-Tae;Chang, Hea-Jung;Kim, Hye-J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5
    • /
    • pp.351-358
    • /
    • 2011
  • Recently, tugs and barges have become larger in size and increased in number. Also, most of tugs and barges are more than ten-years old. Total number of marine accident has been decreased, whereas that of accidental happening in tug-barge transportation has not been decreased. The statistics of marine accidents in 2010 shows that tug-barge accidents increased rapidly compared with those of 2009. The cause of accidental happening in tug-barge transportation is a quality of tug-barge operator the labour serious shortage of crew. This study is to give or suggest th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considering old age of crew and navigational environment for safe navigation in tug-barge transportation.

퍼지추론에 의한 선박운항의 만족도 분석 연구

  • Baek, Mi-Seon;Park, Geun-Hong;Yang, Hye-Jeong;Seong, 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32-134
    • /
    • 2012
  • 우리 나라에서 해상 교통 및 선박의 통항 안전성의 평가를 위하여, 선박조종시뮬레이터 실험을 통해 얻어진 선박운동의 데이터와 조종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검토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수행 방법이다. 세부적인 기법으로는 선박의 해상시설물에 대한 접근도, 선체의 제어도 그리고 선박 조종자의 평가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해양시설물에 대한 선박의 접근 및 선박의 제어도와 관련된 부분은 통계적으로 계산되어 그 기준이 명확한 측면이 있으나, 조종자의 의견에 의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기준이 모호한 면이 있고 또한 조종자의 평가와 선박의 제어도와 관계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제어도와 조종자의 평가를 각각 기술적 운항만족도와 심리적 운항만족도로 정의하고, 그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하여 퍼지 추론을 실시하였다. 이로부터 기술적 운항만족도와 심리적 운항만족도의 상관 관계를 정리하고, 그 관계가 높을수록 관련 평가의 신뢰성은 높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인력 관련 IMO 동향과 시사점

  • 박용선;김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26-128
    • /
    • 2022
  • 2017년부터 현재까지 국제해사기구(IMO)에 제출된 자율운항선박 관련 의제 문서 중 인력과 관련된 의제 문서들의 내용 검토를 통해 동향을 파악하여, 현 시점까지의 운항과 관련된 용어들의 정의와 및 우리나라를 비롯한 협약국가들의 운항인력과 관련된 개발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내항여객선의 운항관리제도에 대한 인식도 조사

  • No, Chang-G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79-183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내항여객선 운항관리제도의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운항관리제도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공동운항관리제도가 내항여객선의 안전관리업무에 유익정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중 운항관리비용에 대한 회사에서 부담과 운항관리자의 권한 부족에 대해서는 안전관리업무에 대한 저조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항여객선의 운항관리에 대한 운영방향에 대해서는 '현 체제(공동운항관리제도)로 운영한다' 가장 높았다. 이 연구는 최근 운항관리자 운영에 따른 운항관리 비용을 정부측에 국고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시점에 관련연구가 진행되어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Correlation of Marine Exploration-Survey Vessel Operation Factors and Grid-Type Operation Method through ES Model Analysis (환경스트레스 모델을 통한 해양탐사·조사선의 격자형 운항방식과 운항요인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Park, Hyungoo;Park, Young-soo;Kim, Dae-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6
    • /
    • pp.634-643
    • /
    • 2020
  • Because of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demand for and importance of marine space, marine exploration and survey activit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Korea actively. Because the marine survey vessels used for these activities have special operational pattern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probe vessels, research on maritime traffic risk is required.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each factor with the effect of marine exploration and survey vessel operation on maritime traffic. The status of ocean exploration and survey vessels in operation in Korea was identified, as well as the special operational conditions of some of the ocean physical probes. Generally, the number of exploration and survey vessels involved per hour, total vessel length(including exploration equipment), operation, interval distance of exploration as per plan, and marine traffic conditions(traffic volume and speed) can be classified as operating factor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stress, a maritime traffic flow simulation based on the "ES" Model was performed with each of the identified operating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stres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order of traffic volume, ship length and spe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stress is reduced when the operation course is set at an angle with the nearby maritime traffic flow. Accordingly, it can help reduce the operator's burden if the survey vessel operator understands nearby maritime traffic conditions and reflects them in the operation method when setting the operation plan.

Operator Roles of Avionics Equipment Development (항공전자 장비 개발과 운영자의 역할)

  • An, Lee-Gi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252-256
    • /
    • 2015
  • 항공기 운항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장비중에 하나가 CNS&ATM관련 탑재 항공전자 장비이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들어간 항전장비 개발에 에러 유입이 주로 요구도 분석 및 아키텍쳐 설계에서 일어난다. 항공전자 장비 개발에 운영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에러 발생 요인 감소, 고장 영향성 분석, 요구도 기반 시험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어, 장비의 개발기간 및 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 PDF

A Study of Breakwater Layout on the Basis of Marine Traffic Flow (해상교통흐름을 고려한 방파제 형상 설계에 관한 연구)

  • Jung Jae-Yong;Park Young-Soo;Ko Jae-Yo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4.11a
    • /
    • pp.57-62
    • /
    • 2004
  • A mariner feels the ship-handling difficulty when the vessel onboard passes through breakwater. Until now, there is no a layout design of breakwater to take into account the ship-handling difficulty for the mariner. 11Us paper reproduced this situation which ship-handling is difficult by using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and it applied to Environmental Stress Model as the assessment model which is a quantitative model for evaluating the difficulty of ship-handling arising from restriction in maneuvering water areas and arising from traffic conges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ayout change of breakwater has little influence for reduction of ship-handling difficulty in the areas of vessel traffic volume. (2) In the situation of same breakwater width, difference of ship speed has an effect on decrease of ship-handling difficulty. (3) Expansion of breakwater width decreases ship-handling difficulty quantitatively.

  • PDF

항해사 인지·지각 검사도구 개발

  • Kim, Jeong-Ho;Jang, E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252-253
    • /
    • 2017
  • 동일한 작업환경과 작업조건을 가정하였을 때, 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작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거의 균등하다. 그러나 현실은 다른 사람들과 달리 특정하게 사고를 많이 발생시키는 사고 빈발자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항해사 인 적성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단계로 항해사의 운항적성 중 지각 운동 영역에서의 운항적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해사의 지각 운동 영역에서의 운항적성 평가를 위해 CBT(Computer-Based Test)의 형태로 항해사의 지각 운동 영역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지각 운동적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되는 항해의 특성 상 복합적인 측정이 가능한 형태로 검사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육상제어를 위한 인간공학적 요소에 관한 기초연구

  • 장은진;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84-86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의 자율화 3단계에서는 육상에서 원격으로 선박의 운항을 제어하며 원격제어자에 의한 인적요소는 발생하게 된다. 인적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선박 운항 시 자세 특성에 따른 항해 위험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안전지원 서비스 성능 검증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신걸;송재욱;문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216-218
    • /
    • 2021
  • 자율운항선박은 다양한 첨단기능을 활용하여, 선원의 의사결정없이 운항할 수 있는 선박으로 국내에서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기술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연구에는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영지원을 위한 6종류의 서비스도 동시에 개발 중이다. 자율운항 안전 운영지원 6종 서비스의 개발 내용이 미래 선박 운항환경에 적합하도록 개발자 및 사용자 관점에서 서비스의 성능 및 기능을 검증할 수 있는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