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자행태

Search Result 18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nalysis of Route-Choice Behavior with In-Vehicle Car Navigation System (차량주행안내시스템을 이용에 따른 운전자 노선선택 행태분석)

  • 김정완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171-180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차량주행안내시스템(CNS)이 최단거리 통행노선을 제공하였을 때 운전자 노선선택 행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통행목적 및 운전자 특성에 따른 운전자의 노선선택 행태를 도출한 결과, 쇼핑통행과 레저통행시 CNS에서 제공하는 노선을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NS에서 최단거리 정보를 제공했을 경우는 운전자 특성에 따라 노선선택행태가 차이가 있으며 통행목적별로 노선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특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통행목적 및 운전자 특성에 따른 운전자의노선선택 행태를 도출해 운전자 특성과 통행특성에 따른 노선선택 행태를 반영한 통행배정모형을 구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rdered Probit Model Of Speed Selection Behavior (순서형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속도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 강경우;백병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3
    • /
    • pp.93-100
    • /
    • 1998
  • 지난 30여년간 운전자의 속도선택의 행태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 나, 과거 대부분의 연구는 운전자의 개별적인 특성과 제한속도에 대한 운전자의 인지 정도 를 고려하지 않고, 다만 운전자의 속도선택과 도로 및 차량간의 상호 관련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운전자, 차량 및 통행특성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속도 선택에 대 한 행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의 속도 자료와 설문자료를 조사한 수, 두 가지 자료를 범주형 자료로 구분하여 Ordered Probit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 석결과 i) 고소득의 남성운전자가 고속의 주행 행태를 보였으며,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일 수록 높은 속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i) 차량에 관해서는 배기량이 높은 차량일수 록 고속의 속도를 나타낸 반면에 안전장치가 많은 차량의 경우에는 저속의 주행속도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iii) 통행 특성 면에서는 일일통행거리가 중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iv) 운전자의 심리적 측면에서는 운전자가 인식하고 있는 제한 속도가 또한 중요변수로 분 석되었다.

  • PDF

Route Choice and Diversion Behavior Models of the Drivers Commuting to a University (대학출근운전자의 노선선택 및 전환행태 모형)

  • 김경환;김태형;서현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3
    • /
    • pp.87-100
    • /
    • 2000
  • 각 지역특성에 맞는 ATIS사업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각 지역 통행자들의 노선선택 및 전환행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학출근운전자들의 노선선택 및 전환 행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들을 모형화하였다. 본 연구 대상지의 경우, 2개의 주 출근노선이 있으며 하나는 시내통행노선(노선 1)이고 다른 하나는 시외곽 통행노선(노선 2)이다. 노선1은 노선2에 비해 연장은 짧은 반면에 통행시간은 길며 신호교차로수. 우회전수도 많다. 먼저, 운전자의 노선선택행태모형을 통해 해석된 결과를 보면 시내노선에 대한 외곽노선의 상대적 효용이 아주 높으며, 전체적으로 출근운전자들은 짧은 통행시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근소요시간이 길고 라디오정보의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시내노선을 이용할 확률이 크며, 반면에 남성과 교직원인 운전자는 외곽노선을 이용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행태조사에 기초한 노선전환행태모형을 통해 해석된 결과를 보면 연령, 출근시간, 라디오정보의 이용빈도들이 전환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상의 교통정보제공시의 운전자의 노선전환을 모형화한 노선전환의사모형에서는 대개의 정보에 대해 운전자가 노선전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에서 지체길이에 따른 전환경향을 보면 지체의 길이가 길수록 전환경향이 높아 30분정도의 지체길이에서는 반드시 변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 운전자의 경우 전반적으로 기술적인 유고(Incident)정보보다는 정량적인 지체정보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Observational Study on the Driver Behaviours at Long Tangent Sections Followed by Sharp Horizontal Curve (긴 직선-곡선 연결선형에서 운전자 주행행태에 관한 현장조사 연구)

  • Kim, Yong-Seok;Cho, Won-B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7 s.78
    • /
    • pp.139-146
    • /
    • 2004
  • Road design should be conformed to the expectancy of drivers. The alignment such as long tangent followed by the sharp horizontal curve should be avoided for the road design consistency. Currently, operating speed profile model is generally used to check the consistency of the successive road alignments. In this model, the hypothesis about the drivers' behaviour on the long tangent followed by the sharp horizontal curve is also included. This study compares the hypothesized drivers' behaviour in the existing operating speed profile model with the actual drivers' behaviour observed at the two lane rural roads. In addition to this, comparison between the acceleration for the vehicles approaching and departing horizontal curves suggested by the foreign research and the value observed at this study was made, From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hypothesis in the existing model was well representing the actual drivers' behaviour. The deceleration for vehicles approaching the horizontal curves was ranged $0.39{\sim}1.06m/s^2$ with the average of $0.66m/s^2$. The average acceleration for the vehicles departing horizontal curves was $0.22m/s^2$.

차량 및 보행자교통특성 분석-차량 및 인간(운전자, 보행자)의 특성

  • 이용재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5.06a
    • /
    • pp.53-94
    • /
    • 1995
  • 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 시설을 사용할 대상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교통 시설을 이용할 주요대상은 인간과 차량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특성분석은 교통공학의 연구분야에서 기초지식이 된다. 교통운영은 물론 교통시설의 설계와 설치에 관련하여 차량의 물리적인 특성과 한계, 사람 특히 운전자와 보행자에 대한 행태 분석은 시설 사용시의 소통측면과 안전측면에서 볼 때 필수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본 장에서 다루는 주요과제는 차량의 특성 중 정태적인 특성과 운동에 관한 기초이론, 운전자의 행태 및 보행자의 행태에 관한 일반적인 특성이다.

  • PDF

Driving Behavior Analysis of Commercial Vehicles(Buses) Using a Risky Driving Judgment Device (위험운전판단장치를 이용한 사업용자동차(버스)의 운전행태분석)

  • Oh, Ju-Taek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4 no.1
    • /
    • pp.103-109
    • /
    • 2012
  • Digital speedometer which is suppos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nalyzing human factors of drivers has a limitation for human behavior studies of drivers, because it records limited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GPS velocities. Besides, Black Box, which is currently being actively commercialized in the market, records mostly vehicles' risky patterns rather than drivers' behaviors. As a result, it also shows a limit to analyze dangerous driving patterns. This study performed a risky driving study for human fact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before and after comparisons for real time warning study using a risky driving judgment devi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Longitudinal acceleration, Lateral acceleration, and Yaw rate of vehicles.

교통망 신뢰성을 고려한 운전자 통행행태모형

  • 임용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479-486
    • /
    • 2001
  • 일시적인 행사, 도로공사 또는 교통사고로 인해 도로용량이 저하되거나 도로가 폐쇄되는 경우, 운전자들은 당초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함에 따라 스케쥴 지체를 경험하게 된다. 이는 교통망의 신뢰성이 저하됨으로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들 비 반복적인 혼잡요소들을 운전자의 경로선택행위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교통분야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신뢰성이라는 개념을 운전자 행태모형에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코자 한다.

  • PDF

Analysis on driver's visual behaviour at the curve sections of a national road for enhancing traffic safety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국도 곡선부에서의 운전자 시각행태 분석)

  • 김홍상;금기정;김명수;박영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7-16
    • /
    • 2002
  • It is very important to research drivers' visual behavior. Angle of vision is very important and accounts for more than 90% as the source of driving information. In curve sections, drivers can know the front circumstances and drive more safely and comfortably through facilities guiding their eye movements. Therefore, the standards of install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se facilities to guide drivers' gaze need to be reconsidere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drivers' eyes The national road no. 34 (Jincheon IC, Buckamri-Yiriangmun section), which is a high-accident-frequency location, is chosen for experimental pl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rivers' visual movement which is drivers' visual behavior and to check the facilities to guide their eyes. Another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facilities to guide drivers' eyes on a result basis of considering drivers' visual behavior especially for traffic safety in a high-accident-frequency curve sections.

Development of a driving behavior indicator (정숙 운전 지수 표시기 개발)

  • Kim, Sun-Ho;Yoo, Jun-Hee;Lee, Mi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328-332
    • /
    • 2010
  • 교통사고는 운전자, 차량, 주변 교통상태, 도로 및 교통시설 등의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지만, 많은 경우 운전자의 운전 행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운전자의 운전 행태를 분석하여 점수화 하여 보여줌으로써 운전 행태를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숙 운전 지수 표기기 개발에 관한 것이다. 연구에서는 MEMS 기반 3차원 가속도 센서와 3축 지자기 센서, GPS 등 모션 센서들을 이용하여 운전 안정성 / 승차감 지수를 측정, 저장하고 정량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실제 구현에는 정숙 운전 지수 계산에 필요한 모든 센서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아이폰을 이용하였으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나, 차량용 블랙 박스 등에 최소한이 센서를 부가 장착함으로써 적용이 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of Route Choice Behavior Analysis Simulator Under Various ATIS Environment (ATIS 환경하에서 운전자경로선택 분석 시뮬레이터의 개발)

  • 이청원;권병철;고승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183-191
    • /
    • 2002
  • 본 논문은 ATIS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교통정보제공에 따른 운전자의 노선선택 행태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러한 행태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설문지에 의한 SP(Stated Preference) 설문조사가 널리 수행되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설문조사방법은 ATIS와 같은 가상의 환경을 응답자에게 이해시킬 수 있는 설문지를 작성하기가 힘들고, 무엇보다 운전중에 느끼게 되는 time pressure를 현실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뢰성있는 자료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시뮬레이터는 보다 현실적인 교통상황을 계산하고 적절한 인터페이스 구성을 통해 교통상황과 분석자의 설문 의도를 응답자에게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세 가지 모듈(교통 시뮬레이션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 이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 구성된 프로토타입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제로 실시간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작은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discrete choice model을 정산하는데 사용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상당히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시뮬레이터는 교통정보전략에 따른 효과를 사전에 분석해보고, 효과적인 교통정보시스템을 설계 및 운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