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수행도

Search Result 1,80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riving Simulation for the Analysis of Driver Information -Processing Characteristics (운전자 정보처리 특성 분석을 위한 운전 시뮬레이션)

  • 이재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41-25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운전자 행동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운전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이 보이는 기본적인 운전 수행 능력 및 이러한 운전 수행 능력과 관련이 가장 깊은 것으로 기존의 연구들이 밝혀왔던 기본적인 지각적/인지적/운동적 수행 능력을 측정하여 운전자 수행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운전자의 운전 수행 및 운전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신/운동 수행 능력은 정보 처리적 관점에서 측정되고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들이 보이는 기본적인 정보처리 능력의 패턴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운전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의 속도 유지와 차선 유지에 대한 측정치와 더불어 운전과 관련한 인간 수행 중에서 단순 반응 능력, 선택 반응 능력, 속도 추정 능력, 청각적 주의나 시각적 주의의 분산 능력 등이 운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운전 중에 실시간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운전자들의 실제 운전 수행 및 이와 관련된 정보 처리 활동에 대한 표준화된 준거를 제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Skills on Driving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Stroke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에 미치는 영향)

  • Kwak, Ho-Soung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9 no.1
    • /
    • pp.45-55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on driving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visual training for improving driving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The evaluations, using MVPT(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MT A&B(Trail Making Test A & B), UFOV(Useful Field Of View test), and a driving simulator, were carried out with patients in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in a rehabilitation hospital from October 2014 to November 2014. Results : Driving performance was related to the ability of various visual perceptions of patients with stroke, and the highest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UFOV subtest 2, TMT B, and MVPT.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d a sensitivity of 100.0%, specificity of 80.0%, and predicted the results of the driving simulator with 89.5% accuracy.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visual-perception skills influence driving performance an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visual-perception skill training for driving.

운전시 부작업이 수행도와 심리적 작업부하에 미치는 영향

  • 윤상영;이근희;김정룡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277-28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운전 중에 빈번히 나타나는 부작업을 모의 운전 실험하에서 선정하여 그때의 운전 수행 도와 운전자의 심리적 작업부하에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운전의 수행도는 브레이크 작동시의 시간의 적절성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도로교통안전협회에 설치되어있는 운전기능검사기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심리적 작업부하를 측정하기 위해 심리적 작업부하 측정 방법의 하나인 NASA- TLX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운전 상황을 설정하기 위해도로의 형태를 골목길과 일반도로로 나누었으며, 부작업의 종류는 전화 걸기, 라디오 조작, 대화로 선정하였다. 실험에는 17명의 피실험자가 참가하였고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SAS)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 운전시 전화 걸기와 라디오 조작의 경우가 다른 부작업에 비해 운전 수행도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 저하시키는 것이 조사되었다. 부작업에따라서 3 . approx. 22%의 수행도의 저하가 나타났으며, 42 .approx. 59%의 심리적 작업부하의 증가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부작업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수행도의 감소와 심리적 작업부하의 증가를 유발시키는 것이 정량적으로 입증되었다. 차후 보다 실제상황에 가가운 모의 실험과 다양한 수행도 측정지수를 사용한 연구 를 통해 운전시 부작업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검증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원전 주제어실 운전원의 절차서 수행 모델 연구

  • 박종범;허태영;강성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424-428
    • /
    • 1997
  • 원전 운전에는 그 수행에 필요한 많은 직무가 있고, 직무가 어떤 것인가에 의해 운전원에게 할당되는 직무와 기계 즉, 자동화된 설비에 할당되는 직무로 분류된다. 차세대 원전에 적용할 전자식 절차서에서는 단순, 반복적인 직무는 자동화 설비에, 인간의 판단과 같은 고도의 사고를 요구하는 직무는 운전원에게 할당하여, 인지해야 하는 정보의 수가 많고, 해당 운전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해야 하는 비정상 및 비상 운전시 운전원의 작업부담 (Work-load) 를 줄이고자 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원전에서 적용하고 있는 절차서의 수행과정을 절차서 수행에 필요한 직무가 어떤 것들이며, 운전원의 어떤 행위에 의해 수행되는지의 관점에서 이들을 정성적으로 분석, 전자식 절차서 시스템에 적용할 절차서 수행 모델을 개발하고, 아울러 전자식 절차서 인간-기계 연계 화면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주요 운전변수들의 표시형태를 확인, 구현해 보았다.

  • PDF

The effects of cellular-phone use on driving performance under various driving speed conditions (주행속도를 달리했을 때 운전 중 휴대 전화 사용이 운전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최시환;이재식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6 no.3
    • /
    • pp.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driving simulation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ellular-phone use on driving performance when required driving speeds were systematically varied(60, 80, 100, or 120km/h) while either using cellular-phones(experimental condition; Hands-Free or Hands-Held) or not(control condition). Driving performance was measured both by longitudinal vehicle control(i.e., variabilities in driving speed and headway) and lateral vehicle control(variabilities in lane posi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ving speed variation between the two cellular-phone usage conditions was found only at relatively higher driving speed conditions(i.e., over 80km/h). (2) Only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where cellular-phone was required to be used while driving, the magnitudes of variation in driving speed, headway and lane position were gradually increased as the required driving speeds were increased(this tendency was not found in control condition). And. (3) the dependent measures of this study appeared to suggest that cellular-phone usage itself (rather than the types of cellular-phone) had significant impact on driving performance. Finally, implication and issu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iscussed.

  • PDF

The Effects of Fatigue Induced Both by Sleep Deprivation and Time-On-Task on Driving Performance (수면박탈과 운전 지속시간에 의한 피로가 운전 수행에 미치는 효과)

  • Jaesik Le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2 no.3
    • /
    • pp.69-83
    • /
    • 200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driving simulation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tigue induced both by sleep deprivation and time-on-task on driver's driving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although the drivers in almost every experimental conditions showed faster driving speed than that was required, the drivers in the sleep-deprivation and over 1-hour time-on-task condition drove slower than the target speed. Second, the drivers in the sleep-deprivation and over 1-hour time-on-task condition crossed the lane less frequently than those in the other conditions, they weaved more in the lane. Third, as the drivers became more fatigued both by sleep deprivation and continuous driving, they reported higher fatigue scores in the subjective fatigue rating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lthough the drivers might adapt a compensative driving strategies when they were fatigued, their driving performances were indeed impaired, in general.

Analysis of the Cognitive Task Characteristics of Operators in Following Simulated Emergency Operating Scenarios (모의 비상운전 시나리오 수행에 따른 운전원들의 인지적 직무특성 분석)

  • 천세우;서상문;이용희;이정운;이덕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278-285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비상운전 상황하에서 표출되는 운전원들의 직무전략 및 인지적인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운전원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운전원들의 직무특성을 분석하였다. 운전원들의 직무특성을 인지과정의 개입 정도에 따라 크게 Macro와 Micro로 구분하여 이들 직무특성을 잘 대변해 줄 수 있는 비상운전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시뮬레이터를 통해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운전원들의 비상운전절차 수행과정을 비디오로 기록, 운전원들의 행동과 대화내용을 전산 분석하여 직무특성을 도출하였다.

  • PDF

원자력발전소 운전원 수행 특성 평가

  • 김석철
    • Nuclear industry
    • /
    • v.17 no.3 s.169
    • /
    • pp.26-32
    • /
    • 1997
  • 이글은 지난 95년부터 2년 동안 영광$\cdot$고리$\cdot$울진 원전의 운전원 150명을 대상으로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조직 구성 및 절차서 특성에 따른 운전원 수행 특성에 대한 실험적 평가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이 평가 작업은 원자력발전소 사고시 운전원의 사고 대처 능력 평가 방법 개발 및 역할 갈등 등을 포함한 조직 인자를 고려할 수 있는 인간 신뢰도 분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예비 연구로 수행되었다.

  • PDF

Comparing Effects of Driving Simulator and Dynavision Training on Cognitive Ability and Driving Performance After Stroke (뇌졸중 이후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이 인지 및 운전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Choi, Seong-Youl;Lee, Jae-Shin;Kim, Su-Kyoung;Cha, Tae-Hyu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
    • v.26 no.4
    • /
    • pp.127-143
    • /
    • 201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the effects of driving simulator and Dynavision training after stroke through the test of cognitive ability and driving performance. Methods : Twenty-one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classified to the driving simulator training group (N=11) and Dynavision training group (N=10), and were carried out respectively training for 15 times. The driving performances was measured by the driving simulator test, and cognitive-perceptive abilities was measured by the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 Trail Making Test-A, Trail Making Test-B an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 Results : The driving simulator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all cognitive tests and most of driving performances. The Dynavision training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all cognitive tests except for Trail Making Test-A and some driving performan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both groups were found regarding the estimated degree of results on the on-road evaluation, the number of off road accidents and collisions. In addition, the causal influence of the two training methods on these variables was analyzed to be more than 20%. Conclusion : The driving simulator and Dynavision training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driv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driving simulator is an effective training to improve overall driving ability of stroke patient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raining effect between the two training methods was found to be more than 20%.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원전 비상운전자의 작업특성에 대한 검토

  • 이용희;천세우;서상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44-50
    • /
    • 1995
  •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시에 작업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작업특 성의 실사검토를 수행하였다. 실사는 두개의 비상운전 시나리오에 대하여 2회에 걸쳐 현직 운전원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비디오 촬영 및 재검토(debriefing)와 함께, 운전원 당사자에 대한 면담 및 운전 경험자들의 검토의견을 수집하여 운전작업의 특성을 파악하고자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방법, 주요 과제, 예비분석 결과 등 실사작업에 대한 중간보고를 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