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전모드

Search Result 41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Operation Mode Test of Hybrid ESS including the Function of Emergency Power Supply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ESS의 운전모드 시험)

  • Jang, Dong Wook;Hwang, Dong Ok;Lee, Dong Ju;Paik, Seok Min;Kwon, Min-Ho;Choi, Se-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35-5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제안한다. 기존의 ESS에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ESS의 운전모드는 배터리 충전 모드, 수요관리 운전모드 1, 수요관리 운전모드 2, 비상 운전 모드 총 4가지 모드로 구성 되어 있다.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ESS의 운전모드 간 절환 시 과도 응답을 검증하기 위해 3상 50[kW]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이 시제품을 통해 운전 모드간의 절환 시 과도 응답을 검증 하였다.

  • PDF

원전 기동운전 자동화를 위한 자동제어 운전모드 개발

  • 정철환;박재창;김정수;김창희;함창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141-146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원자로의 충수 및 배기가 완료된 상태에서부터 원자로 출력 2%까지의 운전을 자동으로 운전하는 자동기동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자동제어 운전모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종합운전절차서를 분석하고 원전 시뮬레이터를 운전하여 자동화에 필요한 운전절차와 자동제어범위를 도출하였다. 자동기동 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4개의 운전모드를 정의하고 운전원의 개입이 필요한 7개의 운전유지대를 설정하였다. 각 운전모드 자동화에 필요한 자동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운전에 필요한 제어변수 및 제어대상 기기를 선정하였다.

  • PDF

전력플랜트 모델링

  • 남해곤
    • 전기의세계
    • /
    • v.38 no.3
    • /
    • pp.4-11
    • /
    • 1989
  • 전력계통 규모의 확장, 전원입자의 원격화, 원자력발전의 증가, 효율적 에너지 사용의 필요성은 파워플랜트의 운전모드의 급격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운전모드를 검토함에 있어 플랜트 모델은 필수적인 도구이며 발표된 문헌들을 중심으로 모델링 노력을 소개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원자력발전 비중이 최근에 급속히 증가하여 파워플랜트의 새로운 운전모드 채용이 불가피하여 이 분야연구에 대한 투자 및 인력의 양성은 당면과제라고 하겠다.

  • PDF

2-Phase Operation of 3-Phase PWM Converter for Improving Performance at the Light Load Condtions (경부하 성능 향상을 위한 3상 PWM 컨버터의 2상 운전모드)

  • Koo, Keun-Wan;Kwak, Cheol-Hun;Kim, Dong-Hee;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7-1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에 적용되는 3상 PWM 컨버터의 경부하 운전 성능향상을 위해 2상 모드 제어를 제안하며, 제안하는 운전모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각 운전모드에 따라 이론적으로 손실을 분석한다. 또한 제안하는 운전기법의 모드 절체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전될 수 있음을 검증한다.

  • PDF

Analysis on the Effect of Driving Condition in PEM Fuel Cell Durability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운전환경에 따른 내구성 분석)

  • Yoo, Seung-Eul;Goo, Young-Mo;Kim, Myoung-Hwan;Son, Ik-Jae;Yoon, Jong-Jin;Oh, Seung-Ch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61-164
    • /
    • 2007
  • 연료전지의 상용화 시점에 이르러 내구성에 대한 기술 확보가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현재 연료전지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1차적인 요인은 핵심부품인 촉매, 전해질막, MEA(Membrane & Electrode Assembly) 등에 의한 것이며 2차적인 요인은 운전 시스템 및 환경 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특히, 연료전지자동차는 이동용, 가정용, 발전용에 비하여 부하변동이 극심한 조건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연료전지 시스템의 내구성 확보에 많은 제어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자동차 운전조건(Driving mode)을 부하변동 기준에 의한 고전류, 중전류, 저전류의 3가지 모드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운전조건에서 일정 cycle마다 성능곡선을 측정하여 10만 cycle 이상의 반복운전을 수행하였으며 측정된 성능곡선을 empirical equation에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overvoltage 인자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운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고전류 모드의 경우 activation overvoltage 인자 중 current density loss가 증가하여 OCV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내구성은 저전류 모드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저전류 모드의 경우 고전류 모드와 상반된 결과를 보였으며 성능감소요인은 activation 및 ohmic overvoltage의 점차적인 증가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Synchronous Operation of Induction Motor by Double-Excitation (이중여자에 의한 유도전동기의 동기운전)

  • 김한성;강만원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7 no.5
    • /
    • pp.51-59
    • /
    • 1993
  • 이중여자 유도전동기의 두 3상 시스템중 하나는 직접 전원에 접속되어서 에너지 변환을 담당하고 다른 3상 시스템은 전류의 크기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에 접속되었다. 단일여자 모드에서 운전되는 기계는 유도모드만 가능하나 이중여자 모드에서 운전되는 기계는 유도모드와 동기모드 둘 다 가능하다. 동기모드에서 운전되는 이중여자 유도전동기의 효율은 유도모드나 기존의 유도전동기 보다 높으며 속도 제어용 인버터 정격은 일반적으로 기계정격보다 크지만 이중여자 시스템에서는 기계 정격의 일부로 가능하다. 동기모드에서 속도는 인버터 출력전류의 크기나 주파수를 가변함으로서 제어될 수 있으며 이중여자 유도전동기를 가변속도 시스템에 사용하면 다른 전기기계의 사용에 비해 유지보수비와 가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ach operation mode for hybrid electric propulsion ship by operation circumstances (선박 운전 환경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선박의 운전모드별 출력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Jong-Su;Jeon, Hyeon-Min;Kim, Deok-Ki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1 no.3
    • /
    • pp.245-250
    • /
    • 2017
  • Worldwide environmental regulations have been enhanced for emission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and air pollutants; accordingly, some measures were prepared. Furthermore, the need for effective and reasonable energy-saving methods is growing in accordance with that for environmental pollution minimization. In the case of marine engineering, techniques for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vessels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cluding reduction of exhaust gas emissions, development of alternative fuel, and development of a new propulsion system.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basic concepts and analyzed the speed, current, voltage, and output power characteristics of each operating mode, i.e., operating mode of battery, generator, and full power.

A study on safety evaluation by changing smoke ventilation mode in subway tunnels (지하철터널 환기변환모드에 따른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Rie, Dong-Ho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5 no.4
    • /
    • pp.389-400
    • /
    • 2003
  • In order to recommend the mechanical smoke exhaust operation mode, Subway Environmental Simulation (SES) is used to predict the airflow of the inlet and outlet tunnel for the subway station. Fire Dynamic Simulation (FDS) is used the SES's velocity boundary conditions to clarity the smoke exhaust effectiveness by the variations with mechnical ventilation system. We compared each 6 types of smoke exhaust systems for the result of smoke densit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for 1.5m height from the subway station base in order to clarify the safety evaluation for the heat and smoke exhaust on subway fire.

  • PDF

Grid-connected inverter controller design considering both seamless mode transfer and equal load sharing (매끄러운 모드 절환과 동일 부하 분담을 고려한 계통연계형 인버터 제어기 설계)

  • Song, Injong;Choi, Junsoo;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340-341
    • /
    • 2018
  • 분산발전에 있어 인버터는 병렬운전을 하게 되며 계통연계시 전류제어로, 단독운전 시에는 전압제어를 통해 제어가 이뤄진다. 단독운전 시 각 인버터들 간 동일한 부하 분담이 필요하고 계통연계에서 단독운전 또는 그 반대로 모드 변환이 있을때 과도한 상태변화가 없어야 한다. 계통연계와 단독운전에서 지역부하에 위치에 따른 고려와 모드 변환 시 과도현상을 줄이기 위해 간접전류제어방식을 사용하였고 단독운전 시 동일 부하 분담을 위해 드룹제어를 사용하였다. 각 모드 변환에 있어 매끄러운 절환을 유지하기 위해 Seamless Transfer를 기반으로 제어전략을 수립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