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동재활

Search Result 801,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Design of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data interworking interface for Rehabilitation exercise Big data platform (재활 운동 빅데이터 플랫폼을 위한 재활 운동 기기 데이터 연동 인터페이스의 설계)

  • Choi, Wonhyuk;Kang, Il-Kwon;Kim, Ja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165-167
    • /
    • 2022
  • 본 논문은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재활 서비스를 연계하여 재활 단계별 개인 맞춤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과 재활 서비스를 지원하는 재활 운동 기기간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재활 운동 빅데이터 플랫폼은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생성되는 재활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가공, 유통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와 수집된 데이터를 예측,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의 단계별 재활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재활 운동을 보조하는 재활 운동 기기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재활 운동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플랫폼 내외부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A Development of Stroke Rehabilitation System Using MCU&Android (MCU와 안드로이드를 이용한 뇌졸중 환자 재활운동시스템)

  • Han, Kwan-Hee;Jung, Mi-Na;Kim, So-Yeon;Wang, Chang-Won;Min, S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143-14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독립적인 재활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뇌졸중은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뇌졸중은 상지 운동을 통해 대뇌 운동피질을 활성화하여 재활 할 수 있어, 의학 분야에서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돕고 있다. 하지만 병원이 아닌 가정에서 운동을 하기에는 운동기구에 비용, 작업치료사의 부재와 같은 환경적인 측면으로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정에서 환자가 독립적인 운동을 할 수 있게 MCU와 Android Application을 이용하여 의료진이 환자의 옆에 없더라도 운동이 가능하고 가이드를 제공하는 스마트한 재활운동기기를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활운동기기는 단순히 운동만 할 수 있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Android Application에서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즐겁게 운동이 가능하여 재활의지 증가를 기대해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운동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병원에서 의료진이 환자의 운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 써 향후 뇌졸중 환자의 재활연구분야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PDF

Rehabilitation after Bankart and SLAP Repair (Bankart 병변과 SLAP 병변 수술 후 재활)

  • Kim, Y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12 no.2
    • /
    • pp.75-81
    • /
    • 2008
  • 견관절의 안정요소 중 정적 안정요소는 관절와 상완 연골 인대 복합체나 관절 일치성 등으로서 재활 과정 중 신장 운동에 관여하며, 회전근 개 근육과 각 관절 사이의 운동 조화 등으로 이루어진 동적 안정요소는 근력 강화 운동으로 재활이 이루어진다.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수술 후 재활은 복원된 조직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주위 조직과의 유착을 방지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향상하기 위해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드러운 수동 관절 운동을 먼저 실시한다. 능동적 관절운동은 수술한 조직이 치유될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환자가 통증없이 독립적인 견관절 운동이 가능할 때 실시한다. 견갑와 상완 관절뿐만 아니라 견갑 흉곽 운동과 견갑골 부착 근육에 대한 재활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수술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끝으로 본문에 상술한 모든 재활 프로그램은 환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운동 내용과 시기를 조정하여 개별화해야 효과적인 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System of Exercise Rehabilitation Underwear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 (COPD 환자를 위한 운동재활 언더웨어 시스템)

  • Ahn, Hyeongi;Jang, Jiyoung;Choi, Hyunhee;Park, By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297-298
    • /
    • 2021
  • 본 논문은 만성폐쇄성 폐 질환이 흡연, 대기오염으로 많은 질환자가 발생하여 재활운동을 필요로 하는 추세이다. 현재 측정 도구와 재활운동 도구가 분리되어 질환 진단은 한정된 시설을 이용해야만 하고 재활운동 또한 상시 진행할 수 없어 질환을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평상시 착용하는 이너형태에 재활운동 의류를 개발하여 올바른 호흡을 돕는 근육군이 동원하여 복식호흡을 유도하고 흉식호흡 시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인지하게 돕는다. 이 결과 일상 속 지속 가능한 재활운동을 바탕으로 가슴 벽의 호흡근육 활동을 감소시키고 복부 근육군을 개선하는 것으로 폐 기능을 증진시킬수 있는 언더웨어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lligent Personalized Rehabilitation Exercise Service System (지능형 개인맞춤 재활운동 서비스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Han, Mikyong;Choi, Jiyoung;Kim, Jae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421-422
    • /
    • 2021
  • 지역사회에서는 병원퇴원 후 경증장애인의 체력회복을 도와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지원하고 노인 등 취약계층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저비용 개인맞춤형 재활운동 서비스 시스템이 요구된다. 특히, 병원과의 데이터 연계를 통해 개인의 건강상태, 질병에 따라 최적화된 재활운동이 관리될 경우, 효율적인 재활 및 2차 부상방지를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활운동의 비용감소와 장애인 및 노인 등 취약계층의 운동재활 접근성(코칭/시설) 강화를 위한 O2O(Online-to-Offline) 연계 AI 기반 개인맞춤형 운동재활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한다.

Validation of Exercise Effect in Rehabilitation during Knee Extension of the Lower Limbs using Pneumatic Exercise System (공압운동기기의 하지 슬관절 운동 시 재활운동 효과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 Lee, H.J.;Kang, S.R.;Kim, K.;Jeong, G.Y.;Yu, M.;Kim, J.J.;Kwon, T.K.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5 no.1
    • /
    • pp.1-10
    • /
    • 2011
  • Our study is to verify validation of exercise effect that developing exercise and rehabilitation instrument using pneumatic actuators available rehabilitation and healthcare, while at the same time safer and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select the desired exercise. Shares subject to the usual exercise is conducted in less than a week in the knee extension and flex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there is no more than 10 of the 20 patients were female. Subject performed knee exercise 3 set a day with 12times a set using fluid type exercise instrument and pneumatic exercise instrument that build in this study. Experiment has progressed in 4-weeks with 3-days a week. Our exercise load consist of two type. One is active exercise load with developed instrument in our study and the other one is passive exercise load with fluid instrument. Exercise program based on real-time muscle activation patterns and muscle activity before and after exercise by comparing the effects of exercise for rehabilitation has been ver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muscular activity is higher in active exercise load than passive load, and improvement of muscle strength more increased too. Equipment more user-centered exercise more effectively exercise may enhance muscle strength was found. This study can adapt rehabilitation program and exercise for patient and weaker. Also our system can provide easily and convenient prescription of rehabilitation for expert related rehabilitation.

Analysis of the Need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y for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애인 요구도 분석)

  • Kang, Dongheon;Park, Jiyoung;Eun, Seon-D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675-690
    • /
    • 2021
  • Based on related studies on 'disability sports,' 'sports for all,' and 'rehabilitation sports,' this study collected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disabled, who are the actual users of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It analyzed the need for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The requiremen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contents were presented as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er's preconceptions and subjective judgments were to be excluded as much as possible. Based on studies related to "Disability sports," "Sports for all for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sports," conducted in Korea, a study that include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disabled people was selected. This study's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categories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programs, instructors, facilities, accessibility, cost/support/financial resources, and oth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esign of Avatar Rehabilitation Content Service with Limited Range of Motion (관절 가동 범위의 제한 정보를 반영한 아바타 기반 재활 운동 콘텐츠 서비스 설계)

  • Yoon, Chang-Rak;Chang, Yoon-Seop;Kim, Ja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990-992
    • /
    • 2021
  •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질환 부위의 관절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가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의 관절 가동 범위 제한을 고려하지 않은 재활 운동 콘텐츠 서비스는 오히려 환자의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는 서비스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제한적인 관절 가동 범위를 고려한 아바타 기반의 재활 운동 콘텐츠 서비스 기술을 제안한다. 이에 재활 운동의 모션 캡처 데이터로부터 아바타 재활 운동 콘텐츠로의 변환 기술과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관절 가동 범위 제한 정보를 적용한 아바타 기반 재활 운동 콘텐츠 재현 기술을 설계한다. 일련의 기술적 구성 요소를 고찰하고 설계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의 서로 다른 관절 가동 범위를 반영한 맞춤형 재활 운동 콘텐츠 서비스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재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A game-type rehabilitation system that can be helpful for exercise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the elderly or patients with mild brain disease (노인 또는 경증 뇌질환 환자들의 운동 및 인지재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게임형 재활 시스템)

  • Choi, Goon-H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2
    • /
    • pp.229-237
    • /
    • 2021
  • Among the elderly and patients with mild brain diseases (such as dementia and stroke), when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self-acting ability and cognitive ability, exercise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are often required. However, since most of the existing rehabilitation systems are separated or specialized in exercise or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e is a need for a form linking both. In this paper, we propose a game-type rehabilitation system that enables both exercise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CAN communication protocol, one of ICT technologies. This system uses the CAN BUS structure to separate and combine each individual module constituting the rehabilitation system in various forms. A prototype of the proposed system was actually produced to show that various types of rehabilitation environments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gnitive ability and motor ability of the patient (or the elderly). In addition, through several experiments using this system, it is possible to implement exercise/cognitive parallel rehabilitation applicable to various environments.

Development of a Biomechanical Motion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of Various Joints (다 관절 재활운동을 위한 생체역학적 운동구현 시스템 개발)

  • Lee Y. S.;Baek C. S.;Jang J. H.;Sim H. J.;Han C. S.;Han J. S.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5 no.6
    • /
    • pp.511-517
    • /
    • 2004
  • The existing rehabilitation systems were developed to exercise specific joints only. Therefore rehabilitating the various joints of human, various kinds of devices are need. To overcome these defects, this paper proposed the CMRS, an integrated system that performs various rehabilitation exercises. The characteristics of motion and the positions between human body and the system were investigated with the kinematics analysis of upper and lower limb of human body. We presented a proper mechanism to develop a rehabilitation device on the base of the study and studied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head part and human joints. Through the simulations, the possibility of rehabilitation system was verified. And the base frame was also developed for convenient and stable position control. Finally, the CMRS was developed as an 8 degree of freedom mechanism. It is expected that the CMRS will be applied to the rehabilitations of various j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