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편함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8초

아두이노를 이용한 우편물 도착 알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il Arrival Notification System using Arduino)

  • 안성우;이경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8-441
    • /
    • 2016
  • 아파트의 우편함은 대부분 아파트 동 입구에 위치해있고 많은 우편함이 한꺼번에 모여 있기 때문에 우편물을 제때 발견하지 못하거나 분실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동주거시설에서 사용하는 다세대 우편함에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하여 편의를 증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편물 수신의 자동 인식과 도착 알림을 지원하는 우편함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아두이노를 연결하여 센서를 통해 우편함의 수납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무선인터넷을 통해서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으로 전달함으로써 우편함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안드로이드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IOT 기반 메일박스 시스템 (IOT-based Mailbox system using Android and Arduino)

  • 윤혜성;국지형;심준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80-1081
    • /
    • 2015
  • 우편함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우편이 도착해도 실시간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다. 또한 잠금 여부에 따라 누구나 쉽게 우편을 수령할 수 있으므로 도난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사물 인터넷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알림이 뜨는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편의성과 보안 가능성을 높인 우편함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우편함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자동화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ICT 기반 비대면 스마트 우편함 교부기 (The Non-face-to-face Smart Mailbox System Based on ICT)

  • 이우;권준아;김원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227-1234
    • /
    • 2019
  • 시대의 변화와 함께 우편서비스 환경과 고객의 서비스 요구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CT 기술을 활용하여 등기우편물에 대한 비효율적인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ICT 기반 스마트 우편함 시스템은 우편물을 효율적으로 배송하고,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집배원들의 우편물 배달에 대한 업무강도를 경감시켜고, 현장 집배원들의 근로환경의 개선에도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두이노를 이용한 Smart Mailbox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Mailbox using Arduino.)

  • 이민호;이장호;김하영;전상현;장재호;양동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7-26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Arduino)와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Smart Mailbox를 구현하였다. Smart Mailbox는 일반 우편함에 알람시스템을 접목하였다. 우편물이 도착했을 경우 우편함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가 우편물을 인식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스마트폰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이 중단되었을 경우 아두이노에 초음파 센서 데이터를 저장한다. 블루투스 통신이 다시 연결이 되었을 때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우편번호 바코드가 인쇄된 플랫우편물의 자동처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Flat Mail)

  • 송재관;박문성;황재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139-1143
    • /
    • 2000
  • 세계 각국의 우정사업 기관들은 우편번호에 대한 우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실시하고 있는 "우편번호 바코드 인쇄 제도"는 우편물을 저렴하고 신속.정확히 처리함으로써 우편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제도이다. 이 제도는 우편을 이용하는 우편번호가 자신의 우편물에 우편번호에 해당하는 흑백의 바코드를 인쇄해서 접수하게 되면 서비스 제공자는 인증절차를 거쳐 합격한 업체에 대해 소정의 요금을 할인해 주는 제도이다. 우리나라도 1998년부터 이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1999년도에 개국한 6개의 우편집중국에 대해서도 개국과 함께 이 제도를 시행할 예정으로 있다. 기존에는 소형통상 우편물에 대해서만 이 제도를 적용하였으나 대형통상 우편물인 플랫우편물에 대해서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우편번호 바코드 인쇄 제도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플랫우편물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다루었다.

  • PDF

인터네트상의 멀티미디어 전자우편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ultimedia Mail System in Internet)

  • 나성주;한선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6호
    • /
    • pp.866-878
    • /
    • 1995
  • 요즈음 하드웨어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멀티미디어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 되고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전달 서비스에서도 멀티미디어를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FC822를 수정 확정하여 기존의 전자우편 망인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를 통하 여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MIME (Multipurpose Intedent Mail Extensions)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전자우편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하나의 전자우편안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며, 오디오, 이미지, 그래픽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전자우편을 통한 자료교환에서 기존의 텍스트와 같이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전자우편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전송, 처리를 사용자가 손쉽게 할 수 있는 전자우편 시스템을 설계, 구현 하였다. 이에 보다 나은 멀티미디어 전자우편 시스템의 개발에 근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우편물 처리원가 절감을 위한 고객 바코드 지원 시스템 (Customer Barcode Support System for the Cost Saving of Mail Items)

  • 황재각;박문성;송재관;우동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2563-2573
    • /
    • 1999
  • 현재 우편집중국에서는 우편불 자동처리를 위하여 광학문자판독기예 의하여 우편물의 우편번호 인식하고, 인식된 우편번 호에 의하여 형광바코드를 인쇄한다 그리고 이 형광바코드를 판독하여 우편물을 자동구분 처리하고 었다. 이 자동구분처리 과정에서 오류우편툴 중에서 대부분은 우편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우편번호와 기재와 특정 글꼴 및 흘립체로 기재된 우편변 호의 인식율 저하, 인쇄 품질의 저하에 따른 판독 불능 등이 주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객 바코드 인쇄 제도를 도입하고 정확한 우편주소에 의한 우편번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우편물 자동처리 향상을 위한 노력 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편물 주소를 이용한 우편번호 검출, 우편번호 변경시 우편번호 관리, 고객바코드 인쇄 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고객 바코드 지원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이 고객 바코드 지원 시스템을 우편 이용자들에게 배포하여 사용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우편물 자동처리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템이다.

  • PDF

만료된 도메인의 전자우편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vacy Violation Vulnerability Through E-Mail Sent to Expired Domains)

  • 김동현;홍윤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6-149
    • /
    • 2022
  •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이메일로 문서를 주고 받거나 온라인 서비스에 가입하는 등 전자우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상용 이메일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도메인을 사용하지 않고, 개인이나 교육기관의 자체 도메인을 사용하는 사례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하던 전자우편의 도메인이 만료될 경우 다른 개인이나 기관이 해당 도메인을 사용 할 수 있고, 새로운 도메인 소유자는 도메인으로 전송되는 모든 전자우편을 수발신 할 수 있어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크다. 기존 이메일 주소로 전송되는 모든 전자우편을 확인할 수 있기에 비밀번호 재설정 안내, 신용카드 명세서, 전자상거래 주문 내역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한 전자우편 역시 열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사이트 등 의존성이 유지된 채 전자우편로 사용되던 도메인이 만료될 때 야기되는 개인정보 피해를 기술하고 해결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일본의 우정사업 민영화 (Japan's Privatization Policy on Postal Service)

  • 전황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6권6호통권72호
    • /
    • pp.163-171
    • /
    • 2001
  • 2001년 4월 고이즈미 후보가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압승을 거두어 총리에 취임한 후 국민 지지를 기반으로 우정 3사업(우편, 우편저금, 간이보험)의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 2001년 1월부터 시작된 행정개편에서 우정사업을 총괄하였던 우정성이 자치성, 총무청과 함께 총무성으로 통폐합되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고이즈미 총리는 민영화를 통해 우정사업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고 주장하나, 반대론자들은 전국 서비스를 유지할 수 없다는 반박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행정개편에 따른 우정사업의 변화, 민영화에 대한 찬반논리와 향후 전망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eCRM 기능이 고객의 웹사이트 방문과 구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CRM Features on Website Visit and Purchase)

  • 민대환;박재홍;박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55-168
    • /
    • 2002
  • 본 연구는 eCRM 솔루션의 기능이 고객의 사이트 방문과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외 eCRM 솔루션을 조사한 결과, e-marketing에 속하는 캠페인 / 이벤트 마케팅, 전자우편 마케팅, 설문조사 마케팅 기능과 e-sales에 속하는 추천, 인센티브 / 할인 촉진 기능, 그리고 e-service에 속하는 전자우편 콜센터, 웹 콜센터 기능이 포함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146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캠페인 / 이벤트 마케팅, 전자우편 마케팅, 전자우편 콜센터, 웹 콜센터 기능의 경험 정도는 고객의 사이트 '방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자우편 마케팅을 제외한 캠페인 / 이벤트 마케팅, 설문조사 마케팅, 추천, 인센티브 / 할인 촉진, 전자우편 콜센터, 웹 콜센터 기능의 경험 정도는 고객의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CRM 기능들은 고객의 사이트 '방문'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구매'에는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리나라 eCRM이 고객성향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실제 구매행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구현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