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편주소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Character Recognition for Fast Handwritten Korean Address Reading (고속 필기 한글 주소 인식을 위한 낱자 인식)

  • Jeong, Seon-Hwa;Lim, Kil-Taek;Song, Jae-Gwan;Nam,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89-59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고속 필기 한글 주소 인식을 위한 낱자 인식기를 제안한다. 인식 대상은 우편번호 여섯 자리에 할당된 주소에 출현 빈도가 높은 필기 한글 469 자이다. 제안된 방법은 낱자 인식 기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인식률과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2 단계 인식 전략을 채택하였다. 인식기로는 다층퍼셉트론, 최소거리분류기, Subspace 방법을 고려한다. 다층퍼셉트론은 비교적 높은 인식률과 처리속도를 보유하지만 출력값이 확률이 아님으로써 후처리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어렵다. 최소거리분류기는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처리속도가 높고 확률을 출력하는 장점을 갖지만 인식률이 낮아 활용되기 어렵다. 또한 Subspace 방법은 인식률이 높고 확률을 출력하지만 처리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안방법에서는 처리속도가 높은 인식기 - 다층퍼셉트론, 최소거리분류기 - 를 사용하여 선인식을 수행한 후, 이 결과를 활용하여 인식 대상을 제한한 후 Subspace 방법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인식하는 전략을 도입함으로써, 높은 인식결과를 유지하면서 처리속도를 높이고 후처리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PE92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방법이 한글 469 자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인식률과 처리속도를 갖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Informatization Planning of Postal Address (우편주소 정보화 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 Chang, Tai-Woo;Jeong, Han-Il;Park, Chank-Won
    • IE interfaces
    • /
    • v.18 no.1
    • /
    • pp.104-116
    • /
    • 2005
  • In this paperm we provide a plan of construction, employment and management of the Korean postal address database and discuss the design of to-be models for it. For the purpose, we adopt and modify the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methodology to fit it into our study. We examine the managerial environ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ostal services and define the requirements as a result. The U.S. Postal Service (USPS) was chosen as the best practice for a benchmarking and gap analysis with its advanced management of address information.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ostal business processes and information systems used, we classify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of USPS by the process to which they are applied and propose a deployment plan. In order to design a to-be model, we define the operating and managing functions for the address database and specify the scenario according to the functions. By managing the address database and supporting the postal services, it could be possible to make the business competitive and satisfy the customer demands.

Balancing the Fair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ata Protection (개인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보호의 균형)

  • Kim, Beom-Su
    • CRM연구
    • /
    • v.1 no.1
    • /
    • pp.71-85
    • /
    • 2006
  •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개인정보의 대량 유통, 상품배송기관을 통한 개인정보의 유출, 명의도용, 신용정보유출 등의 정보프라이버시 침해의 사례가 많이 발표되면서, 개인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정보 프라이버시(Information Privacy)의 보호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과 시민의 관심을 반영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다양한 법률과 제도가 최근에 검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전자우편주소 등 비교적 민감하지 않은 개인정보를 기업의 마케팅이나 홍보에 이용하는 경우의 좁은 의미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개인정보 및 개인정보서비스 와 관련된 법률, 정책 및 제도를 정보의 생성과 이용의 흐름 및 경제주체를 중심으로 적절한 정보의 이용이 보장 되면서 개인의 정보프라이버시가 보호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해외의 개인정보서비스 산업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 개인정보서비스산업이 활성화되었을 때 개인의 만족증대, 실질적인 정보보호 수준의 향상, 고용창출, 기업활동의 효율화, 관련기업의 국제경쟁력 고양 등의 기대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또한, 개인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보호, 그리고 정보서비스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관련 법률의 제정 및 개정, 정보보호 제도의 개발 및 효과적 운영, 장기적 정보서비스 산업 활성화 정책 수립과 단계적 추진,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민간 재원 확보, 사회적 공감대 형성, 지속적인 연구 등을 제안한다.

  • PDF

Key Recovery Policy and System Design for Intranet (인트라넷용 키 복구 정책 및 시스템 설계)

  • 임신영;이병천;함호상;박상봉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8.12a
    • /
    • pp.151-165
    • /
    • 1998
  • 인터넷 전자상거래가 가속화 되면서 기업간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Business-To-Business 유형의 전자상거래는 인터넷 EDI 또는 글로벌 비즈니스 개념이 도입되어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중이며 상용화된 서비스가 일부 제공되고 있다.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 기업내부 인력이 외부 즉, 거래 대상 기업 또는 경쟁 관계의 기업에 자사의 영업 및 기업 비밀을 제공하는 것은 명백한 범법 행위이다. 또한 인트라넷 내부 즉, 기업 내부망에 연동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직원들이 정해진 근무시간에 다른 용도로 시스템 및 전산망 자원을 사용한다면 이 또한 회사 내부적으로 규제 대상이 되어야 한다. 특히, 일과외 시간에 공적 또는 사적인 용도 외에 사용자와는 전혀 관련 없는 전자우편 주소로 암호화된 문서를 송수신하였다면 기업 책임자는 기업의 시스템 및 전산망 자원을 업무 및 개인 용도 외적으로 사용한 의심스러운 행위에 대하여 확인할 권한이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기업간 전자상거래 수행 과정에서 기업 내부망 즉, 인트라넷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보안 정책 중 키 복구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새로운 키 복구 정책, 시나리오, 시스템 구성 및 키 복구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PDF

Technical Trend of Object -Based Storage Systems (객체기반 스토리지 시스템 기술 동향)

  • Kim, Y.K.;Kim, H.K.;Kim, Y.C.;Jin, K.S.;Lee, M.Y.;Kim, M.J.;Kim, C.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5 s.89
    • /
    • pp.41-52
    • /
    • 2004
  • 기업들은 전자우편, 전자상거래, 데이터웨어하우스, 네트워크 기반 응용 등에서 산출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기 위한 스토리지(storage) 기반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기업들이 자신의 고객들에게 경쟁력이 있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업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는 스토리지 구축에 대한투자가 전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러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본 고에서는 기존 스토리지 시스템들에서 야기되는 기술적 한계를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객체기반 스토리지 시스템의 기술을 살펴본다. 그리고, 개발된 객체기반 스토리지 시스템들의 사례 조사를 통해 기술 개발의 현 주소를 파악해 본다.

BClassifier : A Bookmark-Classification Agent Based on Naive Bayesian Learning Method (BClassifier : 나이브 베이지안 학습법에 기초한 북마크 분류 에이전트)

  • 최정민;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81-83
    • /
    • 2000
  • 최근 고성능 PC의 보급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의 가용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우리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많은 정보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는 수많은 웹 서버에 주소(URL)를 가지고 존재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정보의 사이트를 재방문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 북 마크 기능을 사용한다. 그러나, 북 마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북 마크 분류, 수정, 편집, 정렬등의 북 마크 관리가 필수적이지만 이와 같은 북 마크 관리 작업이 전반적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웹 문서 분류를 위한 기계학습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북 마크를 카테고리별로 자동으로 분류, 재정렬해주는 북 마크 자동 분류 에이전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분류 에이전트 시스템으로는 전자우편 분류 에이전트인 Maxims, 뉴스 기사 분류 에이전트인 NewT, 엔터테인먼트 선별 에이전트인 Ringo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들은 분류 대상과 분류 방법, 기능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교사학습 방법인 나이브 베이지안 학습법을 사용하여 북 마크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북 마크 자동 분류 에이전트를 설계, 구현하였다.

  • PDF

Postal Addres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GIS (GIS를 이용한 우편주소정보 관리시스템)

  • Chang, Tai-Woo;Kim, Ho-Yon;Kim, Yong-Jin;Park, Jin-Woo
    • IE interfaces
    • /
    • v.18 no.4
    • /
    • pp.361-369
    • /
    • 2005
  • Postal address information is basis for customer contact channel as well as for the postal logistics such as sorting and dispatching, and the management system has been prepared. It should manage not only address itself but also information of delivery districts and sequen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be included for intuitive and efficient manipulation. In order to construct a integrative system that could manage and utilize the standardized postal address information, we analyze various user requirements, define required GIS information, and present some results of data and process modeling. In addition, we explain several main functions with screen-shots of the implemented system. The GIS-enabled system, which is constructed after this study, is planned to be used to build and manage a database of nationwide postal addresses. It would make it possible to present other postal information systems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o provide various customer services.

A Knowledge-Based System for Address Block Location on Korean Envelope Images (우리나라 우편 봉투 영상에서의 주소 영역 추추을 위한 지식 기반 시스템)

  • 김기철;이성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B
    • /
    • v.31B no.8
    • /
    • pp.137-147
    • /
    • 1994
  • In this paper,we propose a knowledge-based system for locating Destination Address Block(DAB)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Korean envelope images. In the proposed system the preprocessing steps such as adaptive binarization connected component extraction and deskewing are carried out first for the effective structure analysis of the envelope image. Then DAB containing address name and zipcode parts of the input envelope image is extracted by an iterative procedure based on the knowledge acquired from the statistical feature analysis of the various envelope images. Most of the system for slocating address blocks on envelopes have extracted DAB by segmenting an envelope image into several candidate blocks followed by selecting one among the candidate block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segment a Korean envelope image into several blocks due to the specific writing habits that the addresses on the envelope are written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the proposed iterative procedure determines DAB by splitting or merging the connected components and verifies the determined DAB without segmentation and selection. Experiments with a great number of the live envelopes provided from Seoul Mail Center in Koorea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system is very effective for address block location on Korean envelopes.

  • PDF

A Junk Mail Checking Model using Fuzzy Relational Products (퍼지관계곱을 이용한 내용기반 정크메일 분류 모델)

  • Park, Jeong-Seon;Kim, Chang-Min;Kim, Yong-Gi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9 no.10
    • /
    • pp.726-735
    • /
    • 2002
  • E-mail service has been a general method for communication as internet is widely used instead of post mails. Many companies have invested in e-mail advertisement as e-mail service is spread. E-mail advertisemen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consider personal characters. A lot of e-mail users have been given e-mails that they did not want to receive because their e-mail addresses were opened out to companies on internet. Therefore, they need junk mail checking systems and several e-mail service providers have supported junk mail filters. However, the junk mail filters can check the junk mail with constraint because they don't check the junk degree of mails by the contents of e-mail. This paper suggests a content-based junk mail checking model using fuzzy relational products. The process of the junk mail checking model using fuzzy relational products is as following: (1) analyzes semantic relation between junk words-base and e-mails, (2) checks the junk degree of the e-mail using the semantic relation, (3) checks the mails with SVJ(Standard Value of Junk) if those are junk mail or non-junk mail.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proved by comparing the junk degree of the e-mail and the number of junk mails that was checked by e-mail users and checked by the proposed junk mail checking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