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편주소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1초

우편물의 접수과정에서 수취인의 주소, 성명 및 우편번호 인식 (Character Recognition of the Receiver's Address, Name and Postal Code in Postal Reception Process)

  • 김성원;김형원;양윤모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335-33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문자 인식의 응용으로서 인쇄된 우편봉투의 주소를 인식한다. 스캐너로 입력된 우편봉투 영상으로부터 주소영역과 우편번호 영역을 분리한다. 분리된 각각의 영역에서 문자를 추출하고, 전처리로써 정규화, 특징추출 단계를 거쳐 우편번호와 주소를 각각 인식하였다. 이때, 우편번호 인식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주소와 실제로 인식한 주소의 신뢰도를 계산하여, 주소 인식 결과를 보정하는 과정을 거쳐 우편봉투의 인식을 실행하였다.

  • PDF

주소해석 및 검색을 위한 우편주소파일 설계 (Design of Postal Address File for Address Interpretation and Retrieval)

  • 장태우;김호연;임길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4-88
    • /
    • 2007
  • 우편물을 배달순서대로 정렬하는 순로구분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우편물에 표기된 주소를 인식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표준화된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는 필수적이다.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는 주소인식뿐만 아니라 우편물 정보처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사용 가능하여 우편물 처리의 자동화와 정보화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정보체계 표준을 위한 스키마 및 이에 따른 우편주소파일의 설계 방법과 설계된 스키마에 따른 주소해석 과정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소를 표준화된 형태로 변환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우편주소파일 설계과정에 포함시킴으로써 향후 순로구분 자동화를 위한 한글 주소인식 시스템과 고객 바코드 인증을 위한 주소 데이터베이스 매칭 및 주소검색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편주소파일을 설계하였다.

  • PDF

우편주소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ostal Address Information System)

  • 장태우;김호연;윤형호;김용진;남윤석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691-697
    • /
    • 2003
  • 우편주소정보는 모든 우정업무 처리의 기본이자 핵심이라고 할 수 있으나 현재 국내 우편주소 관리 체계가 정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우편주소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주소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우정업무 내부 처리 효율성을 중대시키고 고객서비스 및 우정사업의 신뢰성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편주소정녈 및 시스템과 관련된 국내외 현왕을 살펴보고 주소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및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요구사항들을 계층적으로 구분하여 시스템 구성요소와 연계되도록 했다. 또만 전체 시스템의 구성과 구조에 대만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우편주소정보시스템의 상세설계와 구현 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인쇄 및 필기 한글 우편영상에서의 수취인 주소 영역 추출 방법 (Destination Address Block Location on Machine-printed and Handwritten Korean Mail Piece Images)

  • 정선화;장승익;임길택;남윤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호
    • /
    • pp.8-1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우편영상에서 수취인 주소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편영상에 기입된 주소가 프린터나 타자기 둥에 의해서 인쇄된 주소일 수도 있고 사람에 의해서 필기된 주소일수도 있다. 즉, 인쇄체 우편영상과 필기체 우편영상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수취인 주소 영역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이진화 된 우편영상으로부터 연결요소를 추출하고 연결요소를 결합하여 문자열을 생성한다. 그 후 문자열을 군집화하고 생성된 군집 중 몇 개의 군집을 선택함으로써 수취인 주소 영역을 결정한다. 우리나라 우편봉투에 기입되는 정보의 유형별 기입 위치 패턴에 따라 우편영상을 총 9개의 균등 영역으로 분할한 후 각 영역의 중심을 초기 값으로 갖는 9개의 군집을 생성하였고 k-Means 방법을 사용하여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군집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거리함수로 우편영상의 폭 대 높이의 비율이 반영된 수정된 맨하탄 거리를 사용하였다. 제안 방법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우편물 영상 1,988개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약 93.56%의 우편영상에서 수취인 주소 영역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었다.

우편물 자도처리 촉진을 위한 우편용 고객 바코드 검증 시스템 (The Verification System of the Customer Barcode for the Advanced Automatic Processing of the Mail Items)

  • 박문성;송재관;우동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968-976
    • /
    • 1999
  • 현재 유편봉투의 상태를 점검한 후, 우편 자동처리 센터(우편집 중국)에서 거의 대부분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우편주소 및 우편번호를 판독하여 3 of 5 형광(발광) 바코드로 7자리를 인쇄하고, 바코드 구분기(Barcode Sorter)에서 우편물을 자동구분 처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처리 중에 우편주소 및 우편번호 잘못 기재, 주소 및 바코드 인쇄품질의 불량 등에 의하여 오류로 구분되어지는 우편 물량은 전체 우편물량의 31∼35%를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될 고객 바코드 인쇄제도를 지원하기 위한 우편용 3 of 5 고객 바코드 및 우편주소 검증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고객 바코드 검증시스템은 정해진 규격에 의해 고객 바코드가 정확하게 인쇄되었는지 검사하는 검증자 3 of 5 고객 바코드 검증시스템, 바코드 판독결과에 의하여 우편주소가 올바르게 작성되었는지 검사하는 우편주소 검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 PDF

한국 우편주소 표기 표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 Postal Addressing Standards)

  • 왕승진;장태우;김호연;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3호
    • /
    • pp.703-708
    • /
    • 2004
  • 현재 우리나라의 인만 서장우편 물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월말이나 연말에 집중화되는 계절성과 순환성의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우편물량의 증가와 월말 또는 연말에 집중화되는 현상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집배원의 인력 부족으로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업무 부하량 증가 등의 문제가 더욱 가시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속한 우편물 처리와 집배원의 업무 경감 등을 위해 배달우편물 순로구분 시스템, 주소정보 시스템 도입 등의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일반 소비자 또는 다량 우편물 발송업체 등의 주소 기재 방식이 일정하지 않고 표현 방법이 다양하여 자동화 기계 및 집배원 업무효율의 저하가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편물에 기입하는 주소의 표기 표준화를 통해 주소인식률과 집배원의 배달 구분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국내 우편주소 체계와 정보 구조를 살펴보고, 각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표준화 시 고려할 요소들을 표기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자동주소인식을 위해 다양한 형식의 결정을 위해 고려사항들을 제시하였다.

한국 우편주소 표기 표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 Postal Addressing Standards)

  • 왕승진;윤형호;장태우;김호연;남윤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851-854
    • /
    • 2003
  • 현재 우리나라의 일반 서장우편 물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월말이나 연말에 집중화되는 계절적, 순환적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집배원의 인력 부족으로, 우편물량의 증가와 계절적, 순환적 우편물 집중 현상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의 질적 저하 업무 부하량 증가 등의 문제가 점점 더 가시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속한 우편물 처리와 집배원의 업무 경감 등을 위해 우편물 자동 처리를 위한 순로구분 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나, 우편물에 기입되는 주소 기재 방식이 일관적이지 않고 표기 방식이 다양하여 이러한 자동처리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향후 도입될 예정인 순로구분 시스템의 자동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우편물에 기입하는 주소의 표기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 우편주소 체계와 주소 표기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자동주소인식에 적합한 주소 표기를 위한 고려사항들을 주소 표기 표준화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 PDF

전자메일 바이러스에 의한 스팸 메일 전파 차단 시스템 (A System for Blocking Spam Mail Propagation by E-mail Viruses)

  • 남강운;김준모;우진운;조성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981-1984
    • /
    • 2003
  • 최근에 유포되고 있는 악의적인 소프트웨어로 Melissa와 Love letter와 같은 전자우편 바이러스가 있는데, 이들은 단순히 전자우편을 열기 만해도 메일 주소록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자신을 유포함으로써 막대한 피해를 유발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메일 주소 변형모듈 및 복원모듈을 전자우편 송신부에 추가 도입함으로써 전자우편 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변형모듈은 송신자 행위에 의해서만 수행되어 수신자의 메일 주소를 변형하며, 복원모듈은 송신부의 서버 단에서 전자우편 전송 시마다 수행되어 역변형 과정을 거쳐 메일 주소를 복구한다. 변형모듈은 전자우편 바이러스에 의해서는 실행되지 않도록 구현되며, 전자우편 수신부에서는 추가로 하는 작업이 전혀 없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전자우편 바이러스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서, 다형성(polymorphism) 기법도 적용한다.

  • PDF

지능형 우편과 주소 품질 전략 및 서비스 (Strategies and Services for Intelligent Mail and Address Quality)

  • 장태우;김용진;김호연;남윤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9권2호통권86호
    • /
    • pp.75-81
    • /
    • 2004
  • 우정업무 자동화 및 정보화의 기본 인프라인 주소정보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미국의 우편산업 개선을 위한 8가지 전략적 방안들 중 주소정보와 관련된 지능형 우편의 구현 및 주소 품질의 향상을 위한 기술 및 서비스 전략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기반 정보에 대한 ‘주소 품질’의 향상 전략에 대해 데이터베이스 제품군과 관리 제품군, 관련 서비스군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고, 주소정보 및 자동식별 기술의 이용과 기본 인프라 정비를 통한 ‘지능형 우편’ 서비스와 관련한 기술과 활용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미국에서 제공하거나 판매하고 있는 이러한 각종 제품 및 서비스와 이를 가능케 하는 기술 및 전략을 검토하여 국내 우정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도록 한다.

스팸메일 차단을 위해 IP 주소간 거리 측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전자우편 발송서버의 권한확인 방법 (E-mail Sending-Server Authorization Method using a Distance Estimation Algorithm between IP Addresses for Filtering Spam)

  • 임호성;심재홍;최경희;정기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5호
    • /
    • pp.765-77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스팸메일을 차단하기 위해 전자우편 발송서버가 발신자가 소속된 도메인에 등록된 서버인지 또는 그 도메인에 속한 서버인지 판단하는 IP 주소간 거리 측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전자우편 발송서버 권한확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전자우편을 발송한 서버의 IP 주소와 전자우편의 발신자 도메인의 DNS에 등록된 IP 주소들과의 거리를 이용해 전자우편을 발송한 서버가 전자우편의 발신자 도메인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스팸메일을 차단한다. 일정기간 동안 수집한 전자우편에 대해 제안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IP 주소간 거리를 측정한 결과 정상메일의 경우 $88\%$, 스팸메일의 경우 $10\%$ 정도가 발신자가 소속된 도메인에 속한 전자우편 서버에서 발송되었고, 나머지는 발신자 주소를 도용하였거나 또는 제3의 장소에 존재하는 서버에서 발송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은 발신자 도메인이 전자우편 발송 권한을 부여하지 않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자우편을 모두 스팸메일로 간주하여 스팸메일을 차단하는데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표준화가 진행 중인 전자우편 발송서버 권한확인 프로토콜들이 보편화되어 사용되기 전까지 이들 프로토콜의 보완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