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주 먼지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Laser-driven Miniflyer for Description of Space Debris with High-speed (빠른 속도의 우주먼지 모사를 위한 레이저기반의 입자가속에 관한 실험적 연구)

  • Baek, Won-Kye;Yoh, Jai-I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1 no.2
    • /
    • pp.120-126
    • /
    • 2013
  • Increasing numbers of space debris around the earth now pose a major threat to satellites as their impact velocity may reach up to several km/s. We use a pulse laser to accelerate a miniflyer for mimicking the space debris. The multi-layer coat on the confined medium is known to promote a higher acceleration. However, it requires some special techniques which take somewhat long time and cost to coat. Instead, we devised a simple concept to coat by the black lacquer paint on a flyer. It shows improvement in the flyer velocity by 1.5-2 times the uncoated, and the resulting velocity reached 1.42km/s with Nd:YAG laser energy under 1.4 joules. The resulting velocity is suitable for satellite vulnerability test for debris impact in the geostationary orbit.

Analyzing Season and Place of Mars Dust Storm (화성 먼지 폭풍의 공간적 분포와 발생시기 분석 연구)

  • Seo, Haingja;Kim, Eojin;Kim, Joo Hyeon;Lee, Joo Hee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2 no.2
    • /
    • pp.99-107
    • /
    • 2013
  • Local dust storm and lifting to dust frequently occurs in Mars. But it is known to lift dust is associated with atmospheric circulation, the cause of dust lifting is not find yet. The height of dust storm is more than the Himalayas, and the large size dust storm covers half of hemisphere or hemisphere. The kind of dust storm is risk factor to land and to carry out a mission. In this paper, we carry out analysis on the season and place of dust storm, and construct a map with the place of dust storm. We expect that the season and place of dust storm are able to be predicted with being based on the results. And this paper can be utilized as preliminary for selection of landing site and time of launching and landing.

MODEL DUST ENVELOPES AROUND SILICATE CARBON STARS (규산염탄소항성의 먼지층 모형)

  • Suh Kyung-W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3 no.1
    • /
    • pp.11-18
    • /
    • 2006
  • We have modeled dust envelopes around silicate carbon stars using optical properties for a mixture of amorphous carbon and silicate dust grains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infrared observations of the stars. The 4 stars show various properties in chemistry and location of the dust shell. We expect that the objects that fit a simple detached silicate dust shell model could be in the transition phase of the stellar chemistry. For binary system objects, we find that a mixed dust chemistry model would be necessary.

적외선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별 탄생 과정 연구

  • Lee, Jeong-E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81.1-81.1
    • /
    • 2011
  • 별 탄생 과정은 코어라 불리는 고밀도의 분자운이 중력붕괴를 거쳐 중심에 원시성을 만들고 원반을 통해 코어로부터 원시성으로 물질을 유입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광자는 원반이나 envelope에 있는 먼지 티끌들에 의해 흡수되어 적외선이나 서브밀리미터 영역에서 재 방출된다. 뿐만 아니라, 가스도 outflow에 의한 충격파 등에 의해 수 백도이상까지 데워져 적외선 영역에서 방출선을 만들게 된다. 그러므로 별 탄생 연구에 있어서 적외선 관측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고감도, 고분해능의 적외선 우주 망원경들의 활약으로 별 탄생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한 층 깊어지고 있기에, 이들 적외선 우주 망원경들을 이용한 별 탄생 관련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ritical Design of MIMAN CubeSat for Aerosol Monitoring Mission (미세먼지 관측 임무를 위한 MIMAN 큐브위성 상세 설계)

  • Jin, Sungmin;Kang, Dae-Eun;Kim, Geuk-Nam;Kim, Naeun;Kim, Young-Eon;Kim, Pureum;An, Seungmin;Ryu, Han-Gyeol;Park, S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12
    • /
    • pp.1027-1035
    • /
    • 2021
  • We presents a design of 3U cubesat MIMAN (Monochrome imaging for monitoring aerosol by nano-satellite) for aerosol monitoring mission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The main objective of MIMAN mission is to take images of aerosols around Korea and to provide auxiliary data for GK 2B cloud masking. For this mission, we derived mission requirements and constraints for the MIMAN mission. We designed the mission architecture and concept of operations. To reduce risk factors in space operation, we considered the safety of the communication. In every operation modes, UHF communication is available so that the cubesat can operate based on the ground commands. So, we can handle every problem at the ground station during mission operations. Based on the mission and concept of operations, we confirmed that the system design satisfied the system requirements. We designed the system interface considering data flow of each hardware, and evaluated the safety of the system with system budget analysis.

Design and Validation of Model Inversion Flight Control Law for Fly By Wire Helicopter (FBW 헬리콥터 모델 역변환 비행제어법칙 설계 및 검증)

  • Kim, Chong-Sup;Cho, In-Je;Lee, Seung-Duck;Lee, Han-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0 no.8
    • /
    • pp.678-687
    • /
    • 2012
  • The Fly-By-Wire(FBW) flight control system is essential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flying quality of the helicopter. Advanced aerospace companies, such as Bell-Sikorsky (USA) and NHI (European Consortium), have already applied the FBW flight control system to manufacture V-22 and NH-90 helicopters, respectively. This paper addresses the development of control law design using model inversion method improve the hover and low speed handling qualities of helicopter based on BO-105 model in 'Day' and 'Degraded visual environments(DVEs)' in accordance with ADS-33E-PRF. Design parameters are optimized to satisfy the handling qualities specification using Control Designer's Unified Interface (CONDUIT) commercial control law softwa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CONDUIT and non-real time simulation in-house software, HETLAS (HElicopter Trim Linearization And Simulation) reveals that the provides an efficient mean to achieve Level 1 handling qualities.

Development of the GOCI Radiometric Calibration S/W (정지궤도 해양위성(GOCI) 복사보정 S/W 개발)

  • Cho, Seong-Ick;Ahn, Yu-Hwan;Han, Hee-Jeong;Ryu, Joo-Hy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67-171
    • /
    • 2009
  • 정지궤도에서는 세계 최초의 해양관측위성으로 개발된 정지궤도 해양위성(GOC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은 통신해양기상위성(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rological Satellite)의 탑재체로서 2009년말 발사 예정이다. 정지궤도 해양위성의 복사보정은 센서의 전기적 특성에 의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암흑전류 교정(Dark Current Correction)을 먼저 수행한 다음, 주운영지상국인 해양위성센터(KOSC, Korea Ocean Satellite Center)에서 수신된 위성의 원시자료의 Digital Number(DN)를 실제 해양원격탐사에서 이용하는 물리량인 복사휘도(Radiance, $W/m^2/{\mu}m/sr$)로 변환하는 복사보정을 수행한다. 정확도 높은 복사보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준광원의 복사휘도와 센서의 물리적 특성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정지궤도 해양위성 궤도상 복사보정(on-orbit radiometric calibration)에서는 태양이 기준광원이기 때문에, 기준 태양복사모델(Thuillier 2004 Solar Irradiance Model)에서 지구-태양간 거리 변화(1년 주기)를 보정한 태양의 방사도 (Irradiance)를 이용하고, 태양입사각에 대한 태양광 확산기의 감쇄 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센서에 입력되는 복사휘도를 계산한다. 센서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복사보정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우주방사선 및 우주먼지(space debris)로 인해 위성 운용기간 중 그 특성이 저하되는 태양광 확산기(solar Diffuser)의 특성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DAMD(Diffuser Aging Monitoring Device)를 이용한다. 정지궤도 해양위성 주관운영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의 해양위성센터에서는 정지궤도 해양위성 복사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S/W를 통신해양기상위성 자료처리시스템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하였으며, 관련 성능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 PDF

Analysis on Wireless Communications Environment at Lunar Surface for Lunar Exploration (달 탐사를 위한 달 표면에서의 무선통신 환경 분석)

  • Lee, Yong-Min;Lee, Byong-Sun;Ahn, Jae-Yo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10
    • /
    • pp.50-54
    • /
    • 2014
  • Evaluation of the possible or probable effect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which are temperature, radiation, dust as well as other possibilities in terms of meteoroids, seismicity, and no global magnetic field has been carried ou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on the lunar surface in this paper. The results considered in this paper can be utilized as a basic information on making efficient use of the desig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in Korean lunar exploration project.

Target strength of Antarctic krill and ice krill using the SDWBA model (SDWBA 모델을 이용한 남극 크릴과 아이스 크릴의 반사강도 연구)

  • Wuju, SON;Hyoung Sul, LA;Wooseok, OH;Jongmin, 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58 no.4
    • /
    • pp.352-358
    • /
    • 2022
  • We explored the frequency response of krill target strength (TS) to understand the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and ice krill (Euphausia crystallorophias) using the stochastic distorted-wave Born approximation (SDWBA)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orientation and the fatness factor could significantly impact on the frequency response of TS. Krill TS is clearly depended on acoustic properties, which could affect to estimate the biomass of two krill species. The results provide insight into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S variation to estimate the Antarctic krill and ice krill biomass, and their ecology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features in the Southern Ocean.

Records of the origin and early evolution of the solar system in rocks and minerals (암석과 광물에 저장된 태양계 탄생과 초기 진화의 기록)

  • Choi, Byeon-Ga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1
    • /
    • pp.71.2-71.2
    • /
    • 2018
  • 태양계 질량의 대부분은 플라즈마, 기체, 또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극히 일부만이 고체 즉 암석과 광물로 존재한다. 하지만, 반응 특히 혼합(mixing)이 일어나는 속도가 매우 느린 고체의 특성상 태양계의 탄생과 진화 과정의 기록은 고체태양계 물질에 더 잘 보관되어 있다. 지구를 제외한 고체 태양계 물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구로 낙하한 암석인 운석(meteorites)을 발견하거나, 우주로 나가 시료를 가져와야 한다. 아폴로 미션(Apollo mission)에 의한 월석(lunar rocks) 채취(Papike et al., 1998), 하야부사 미션(Hayabusa mission)에 의한 소행성(asteroid) 시료 채취(Nakamura et al., 2011), 스타더스트 미션(Stardust mission)에 의한 혜성 시료 채취(Zolensky et al., 2006) 등이 후자에 속한다. 능동적으로 가져온 시료는 아직까지는 그 종류와 양에서 운석에 비해 매우 부족하므로 현재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고체 태양계에 관한 대부분은 운석 연구를 통해 얻어졌다. 운석은 크게 미분화운석 즉 콘드라이트(chondrites)와 분화운석(differentiated meteorites)으로 구분한다. 분화운석 중 일부는 달운석(lunar meteorites) 또는 화성운석(martian meteorites)이며, 나머지 분화운석과 콘드라이트는 암석-지구화학적 특징과 성인적 연관성에 의해 다양한 그룹으로 세분되는데 각 그룹은 하나의, 또는 둘 이상의 매우 유사한, 소행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된다(Krot et al., 2014; 최변각 2009). 다양한 종류의 운석과 구성 광물에 포함된 기록으로는 (1) 태양계 이전 존재한 항성의 대기에서 생성된 광물, 즉 선태양계 광물(presolar grains), (2) 태양계 성운 탄생과 각 진화 단계의 정확한 시기, (3) 태양계 성운의 화학조성-동위원소 조성, 온도-압력 조건 등을 포함한 물리-화학적 특징, (4) 가스-먼지로부터 미행성, 소행성, 행성으로의 진화 과정, (5) 행성 진화의 열원, (6) 소행성 핵의 생성 과정 등이 있다. 강연에서는 이들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운석연구 등을 통해 태양계 생성과 진화과정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축적되었지만, 앞으로 연구할 것들이 더 많다. 또한 태양계 물질 중에는 운석의 형태로 지구로 들어왔거나 앞으로 들어올 수 있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가스나 기체의 경우가 그러할 것이며, 고체지만 결합이 약해 일부라도 원형을 유지한 채 대기권을 통과 할 수 없는 것도 있을 것이다. 또 공전궤도나 중력 등 물리적 이유로 지구권 진입이 불가능한 것도 있다. 이러한 태양계 구성원에는 우리가 아직까지 얻지 못한 정보들이 다량 보존되어 있을 것이다. 미래의 태양계탐사가 기대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