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주발사체추진기관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연소시험을 통한 우주발사체 추진기관 성능검증

  • 강선일;이정호;김영한;권오성;하성업;오승협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96-96
    • /
    • 2003
  • 우주발사체라 함은 지구상의 물체를 우주, 즉 지구의 중력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대기권 밖으로 운반하는 수단을 말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추진방식이 제안되었고 연구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실용화 된 것은 화학연료를 연소시킴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진력으로 지구 중력을 이겨내는 방식이다. 또한 발사체 구성에서 추진기관분야는 전체 성능을 좌우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최적화 및 성능 검증은 필수적이다. 추진기관에 대한 성능 검증기법은 우주발사체 기술이 발달해 옴에 따라 해석적 방법, 비 연소 모사시험 등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우주발사체용 추진기관의 연소현상을 예측 및 모사하는 것이 쉽지 않고 구축된 데이터가 적기 때문에 발사체 개발 단계의 최종 검증 차원에서 연소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라 평가되고 있는 KSR-III 로켓의 경우에도 다양한 해석기법과 모사시험을 통해서 성능 예측을 하였으나, 역시 최종 성능 검증을 위해 10여회의 연소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저자는 KSR-III 개발과정에서 수행된 10회의 연소시험의 수행 과정과 결과를 기술, 정리 및 평가하여 향후 진행될 우주발사체 개발 사업의 기초로 삼고자 한다.

  • PDF

우주발사체 추진기관의 신뢰도 평가

  • 조상연;김용욱;오승협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87-87
    • /
    • 2003
  • 우주발사체의 개발은 대규모 자본이 들어가는 국가적 과제로 그 성공 여부는 물질적 측면을 떠나서 국가의 위상을 나타내고 국민에게 자부심을 부여하는 중요한 과제라 말할 수 있다. 발사체 개발의 성공을 위해서는 전체 시스템과 각 부속 시스템들의 신뢰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발사체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부속 시스템중 발사 성공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추진기관이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추진기관의 개발이야말로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를 좌우하며 성공적인 로켓 발사를 이루기 위한 필수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본 연구원의 과학로켓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진행될 소형위성발사체에 적용할 추진기관의 신뢰도 평가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우주발사체의 비행 임무 수행을 위한 추진제 소진 시스템 개념 설계(1)

  • 임석희;조기주;이한주;정영석;조광래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69-69
    • /
    • 2003
  • 우주발사체의 비행 목표는 위성의 궤도 투입이다. 이를 위해서는 발사체에서 요구되는 추력값과 총추력을 보장하는 추진기관이 개발되어야 한다. 엔진은 엔진 자체의 작동 안정성을 위해서 유량제어를 필요로 하지만, 이뿐만이 아니라, 발사체의 비행임무 수행을 위해서도 추진제가 모두 소진되는 시스템(TDS:Tank Depletion System) 개념이 도입되어야 하며, 이는 유량 제어를 통해서 실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주발사체의 비행임무 수행에 필요한 즉, 총추력 오차 범위, 추력 오차 범위, 추진제 탑재량 및 잔류량 오차범위 관점에서 필요한 추진기관에 요구되는 성능을 검토하였고, 이를 위해 TDS 개념의 도입과 더불어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유량제어 개념을 제시하였다.

  • PDF

발사체 추진기관의 신뢰성 평가에 대한 연구

  • Cho, Sang-Yeon;Kim, Yong-Wook;Lee, Jeong-Ho;Han, Yong-Min;Oh, Seung-Hyub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 no.2
    • /
    • pp.65-71
    • /
    • 2004
  • Development of space launch system is a national project which requires massive cost and endows the pride of the nation. To acquire the successful launch, the reliability of main system and components should be needed. In addition, reliable propulsion system sways the reliability of main system and is the necessary article for the success of project. In this study, the method called "design for reliability" is introduced, which is required to develop the highly reliable propulsion system.

  • PDF

우주발사체용 추진기관 운용 개념설계

  • Im, Seok-Hui;Jeong, Yeong-Seok;Jo, Gyu-Sik;O, Seung-Hyeop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53.1-153.1
    • /
    • 2012
  • 조립 후 발사대로 이송된 추진기관(또는 발사체)는 지상시험 및 비행시험을 위한 충전을 하게 되는데, 추진제 및 고압가스 등 추진기관 구성품의 운용절차는 하드웨어의 설계 단계에서 그 개념이 수립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발사체 및 추진기관 설계 단계에서 연료와 산화제의 충전/배출, 시험 취소시의 운용절차 개념이 수립되어 있어야 추진기관 구성품들의 설계, 지상인터페이스 구성품의 설계에 그 내용이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발사체 및 추진기관 운용와 관련된 일반적인 충전/배출 절차와 지연 또는 취소시의 작업절차의 주요개념을 다루었고, 추진기관 운용에 필요한 각종 지상설비에 요구되는 주요 기능을 검토하였다. 또한, 추진제 충전 이후 발사 대기시까지의 업무와 발사 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추진기관 운용 업무(Pre-Launch Operation)도 다루었다. 특히 다단 발사체의 경우에는 운용과 관련된 준비 업무량이 단수에 비례하여 늘어나므로, 효율적으로 모든 시험 준비 업무를 마치기 위해, 지상에서의 추진기관 운용절차는 각 단별로 유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즉, 각 단별 하드웨어에 대한 사전 검사, 충전, 대기 등의 운용시간 설계 및 그 절차가 중요하다. 한국형 발사체 및 추진기관의 운용 개념설계를 수행하는데에는 기 확보된 운용기술을 활용하였다.

  • PDF

An introduction to pres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ondition about Solid Rocket Motor for Space Launch Vehicle (우주발사체용 고체 추진기관 개발현황 소개)

  • Kwon, Tae-Hoon;Shim, Myung-Sik;Song, Jong-Kwon;Lee, Won-Bok;Choi, Seong-Han;Suh,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623-626
    • /
    • 2009
  • Hanwha Corporation Daejeon Plant have developed apogee Kick Motor of KSLV-I that is the first among nation space launch vehicle for five years from 2003. Now, we are joining in KSLV-II(Korea Space Launch Vehicle-II) project and developing Pyro starter which is turbo pump for the first start-up of liquid propulsion supply.

  • PDF

Design for Minimization of Onboard Propellant Residual in KSLV-II (KSLV-II 추진기관 탑재 추진제 잔류량 최소화 설계)

  • Jung, Young-Suk;Cho, Gyu-Sik;Oh, Seung-Hyub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0 no.1
    • /
    • pp.1-12
    • /
    • 2011
  • The error of onboard propellants mass which is mostly occupied in total mass of launch vehicle and The error of residual affect the performance of launch vehicle seriously. In other words, the errors directly cause the error of total impulse. Therefore, optimization of performance of launch vehicle can be achieved by the minimization of the residual. For minimizing the residuals, the active control for completely depleting the propellants and the calculation method using probability for minimizing the residuals have been researched. In this paper, the added fuel was calculated for minimizing the residual and the minimized residual was predicted by the presented method.

Integrated Test for Propulsion System of Space Launch Vehicle (우주 발사체 추진기관 종합 시험)

  • Cho, Sang-Yeon;Kim, Sang-Heon;Bershadesky, V.;Oh, Seung-Hyub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797-800
    • /
    • 2011
  • For the space launch vehicle, propulsion system is the most important subsystem among others. For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 level for rocket engine, integrated system test performed in appropriate facility is needed. In this study, test article and major parameters for certifying the propulsion system of launch vehicle were reviewed.

  • PDF

KSLV용 추진기관 종합시험설비 개념설계

  • Kang, Sun-Il;Kim, Young-Han;Lee, Jung-Ho;Cho, Sang-Yeon;Kim, Yong-Woo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 no.1
    • /
    • pp.232-241
    • /
    • 2004
  • KARI(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is achieving the KSLV program according to National Spac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In this paper, the authors are intend to introduce the Integrated Power Plant(IPP) test facility which will be constructed for the variety of tests on KSLV program. IPP test facility refers to comprehensive testing equipment for liquid rocket launch vehicle. Using this facility, KARI can verify the adaptedness of parts and subsystems for launch vehicle and finally can qualify the system characteristics of launch vehicle doing kinds of test including hot firing test. IPP test facility will make it possible to simulate the vehicle launching circumstances an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launch vehicle during its flight test.

  • PDF

발사체 운용시 LOX에 용해되는 He의 양 예측 및 평가

  • 임석희;조기주;정영석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70-70
    • /
    • 2003
  • 액체 로켓 엔진에 있어 극저온 추진제인 액체 산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He을 가압제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기체인 헬륨은 발사 대기시, 선가압시, 비행중에 액체산소에 서서히 녹게 된다. 일정량 이상의 He이 용해되어 있는 LOX가 엔진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터보펌프의 이상 작동 또는 연소 불안정을 야기하게 되므로, 추진기관이 작동하는 동안에 용해되어 있던 He이 액체 산소에서 분해되어 가스로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는 엔진의 연소 시험을 통해서 검증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작동 상태에 대해 최대로 용해될 수 있는 러e의 양을 계산하고, 현재 사용되는 발사체의 경우와 비교를 하여 추진시스템 운용 조건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