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수 방류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implified Design Method of Culvert Outlet for Detention Pond (저류지 방류암거의 간편설계기법)

  • Jang, Joo-Young;Lee, Jae-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4
    • /
    • pp.263-273
    • /
    • 2011
  • Recently increased rainfall by abnormal climate, risen peak runoff by urbanization, and shorten time of concentration are causing frequent overflow at downstream basin. This problem will be solved through the runoff reduction facilities like detention pond. However so far, most studies about detention pond in Korea are focused on its capacity. A study with respect to outlet facilities of detention pond was insignificant. Design of culvert usually used for outlet facilities of detention pond is generally carried out by using "Road Drainage Design" of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1991). So detention pond is unreasonable to apply it. In this study, the culvert flow in submerged condition of upstream at culvert was analyzed., and simplified design procedure for culvert outlet facilities were presented for detention pond.

Analysis of Water Depth and Velocity through Discharge Condition from Sewerage Outlet at Near Channel Junction (하천 합류부 주변내 하수관거 방류조건에 따른 수위 및 유속 영향분석)

  • Chung, Yeon-Jung;Choi, Gye-Woon;Kim, Young-Kyu;Cho,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4 s.23
    • /
    • pp.49-56
    • /
    • 2006
  • The rainfall runoff is drained through sewerage outlet at urban area. But, there is no guideline or standard to install sewerage outlet, so the sewerage outlet are designed or installed by discretion of engineers or constructors. In this paper, for the sake of supporting basic data to design, it would be suggested a guideline for less influenced to flow at the channel flow condition through hydraulic experiment by variation of lateral inflow discharge, sewerage outlet projecting part, sewerage outlet direction and position. Through 10 cases of experiments, it would be less influenced two sewerage outlet at up and down stream than one installed at up or down stream even though the same discharge. And installed conditions which are installed angle and protecting part will be influenced to increase water depth and to decrease velocity at upstream. So when sewerage outlet is installed, it would be try to find a installing way to be less influence with more careful.

A Hydrodynamic Analysis for Prevention of Seawater Influx into an Outfall Riser in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하수처리장 방류관거로의 해수유입 방지를 위한 수리분석 - 인천 학익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

  • Shin, Kwang-Seob;Jeong, Sang-Man;Lee, Joo-Heon;Oh, Kuk-Ryul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59-762
    • /
    • 2008
  •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located in coastal areas should be built considering the discharge of rainwater and treated water into the sea. The current Hagik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Incheon City was designed in the surface discharge method, which refers to discharging treated water directly into the sea. This method may cause hydrodynamic issues in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because seawater enters an outfall riser when the level of discharged water is lower than the tidal level on a shore with high tidal range. In this study, a method for installing a weir in the discharge manhole was proposed in order to prevent seawater from entering the outfall riser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Its feasibility was reviewed by calculating the hydrodynamic that had occurr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weir. As a result, seawater did not enter in the discharge manhole. Thus, even if the coast of Incheon City reaches the highest tidal level, treated water will be able to be properly discharged.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for the Design Parameters of Culvert Outlet Facilities in Detention Pond (저류지 암거방류시설 설계인자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Lee, Jae Joon;Jang, Joo Young;Lee, Hoo Sang;Jang, Hyun Mi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3-213
    • /
    • 2011
  • 근래 이상기후에 의한 강우량 증대와 도시화에 따른 첨두유출량의 증대 및 도달시간의 단축은 기존의 유수지만으로 도시홍수를 대처하는데 그 한계점에 다다르게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각종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활용으로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신규개발지에 저류지와 같은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를 법제도적으로 의무화 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천여개소의 저류지가 시설되어 있거나 계획 중에 있다. 저류지는 개발로 인해 증가된 첨두유출량을 개발전의 상태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임시 또는 상시 저류하거나 저류능력 이상의 유출량에 대해서는 암거방류시설을 통해 하류부의 하천 또는 하도로 방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공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저류지 계획 및 설계는 첨두유출량 증가분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방류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는 저류지 방류시설로 주로 사용되는 암거에 관한 설계규정이나 기법은 미미한 상태로, 한국도로공사(1991)에서 발표한 "도로배수계획"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연방도로국(FHWA, 1985)에서 발표한 설계기법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다. 즉, 지형 또는 현장 여건에 따라 암거 흐름의 8형식 중 하나의 형식으로 결정하고, 그 형식에 따라 관련도표를 이용한 시산법 또는 도식해법을 적용하여 유입부 상류수위를 산정함으로써 암거설계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암거설계 방식은 도로 배수암거에 적합한 것으로 저류지 배수암거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류지의 일반적인 특성상 암거흐름 8형식 중 Class-II군의 암거 상류부 수위가 잠수된 조건 즉, 평상시 저류지가 일정수위 이상의 저류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저류지 암거방류시설의 대표적인 설계인자인 암거직경, 암거경사, 암거경사, 하류단 수위조건의 변화에 따른 상류부 수위변화를 유량별로 분석해 보았다. 방류 암거의 개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암거상류부 수위와 암거직경의 관계해석 시 암거단면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유량별로 상류부 수위와 암거단면적의 관계를 회귀식으로 제시하였다. 암거상류부 수위와 암거경사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암거경사가 5~20%로 변화할 때 암거상류부 수위의 변화는 2~5%정도의 매우 작은 변화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암거길이의 경우는 해석 조건의 특성상 상류부 수위에 영향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암거상류부 수위와 암거하류단 수위의 관계에서 암거상류부 수위는 암거하류단 수위가 암거직경과 퇴사위 높이의 합보다 암거하류단의 수위가 높아지는 시점부터 암거하류단 수위에 비례해서 증가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 PD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dam management by using Granger causal analysis (그랜저 인과분석을 통한 댐관리 성과평가)

  • Cho, Sung-Min;Yoo, Myoung-Kwan;Lee, Deokr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2
    • /
    • pp.135-144
    • /
    • 2021
  •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implications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discharge, water temperature and pollution index, which were expected to have a great effect on water quality with the rise of wate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change as the warming effect in recent years. For this purpose, the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Granger causal test were carried out for 10 multi-purpose dams in Korean major water systems using time series data on discharge, water temperature, BOD, COD and DO. It was analyzed that the fluctuation of water temperature affected the pollution index more than the fluctuation of discharge volume. Also, Hapcheon dam and Chungju dam were the best water quality management dams based on the high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discharge. The second rank was Daecheong dam. The third-ranking group were Yongdam and Andong dam, whos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and discharge were low. The last group were the remaining five dams.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Runoff Reduction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Inundation Depth Distribution by Grid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을 통한 우수저류시설 효과분석)

  • Lee Woo Jin;Park Jong Pyo;Kim Kwang Hyu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4-504
    • /
    • 2023
  • 최근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의 빈도 및 규모가 커지게 되면서 최초 구조물의 설계시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국지적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도시방재를 위하여 기계획하였던 내수배제 시스템의 설계성능을 넘어 도시지역에 침수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시의 내수배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우수저류조, 우수관거개선 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설치 이후 구체적인 효과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저류시설의 설치 여부에 따른 침수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우수저류시설 침수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XP-SWMM을 이용하여 2차원 침수해석 모의를 실시하였고 다양한 조건에서의 모의를 위하여 2차원 침수해석 모의조건을 설정하였다. 기계획된 우수저류시설의 설계시의 임계지속기간을 기준으로 IDF Curve를 통하여 설계강우량, 확률강우량 및 방재성능목표량을 재산정하였고 Huff4분위법을 이용하여 강우분포를 시켜 XP-SWMM에 적용하였다. 또한, 유역 최종 방류구에서 기점수위 조건과 자유방류 조건을 분리하여 모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우수저류시설의 설치여부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2차원 침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월류량의 저감율과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월류량은 총량적인 지표를 가지고 있지만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은 격자의 최대 침수심을 0.1m 간격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 침수심 격자의 발생빈도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한결과 우수저류조를 설치한 후에 격자의 최대침수심이 더 낮은 침수심 단계로 이동한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구조물의 설치 후에도 침수가 일어난다는 양적인 면이 아닌 격자의 침수심 분포 양상을 통해 도시침수에 직접적으로 저감이 나타나 효과를 기여할 수 있다는 지표라고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GIS based Wastewater discharge sector searching system (GIS를 이용한 폐수배출업소 방류선 검색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Min, Yoon-Ki;Jeong, Jong-Cheol;Kim, Jae-Hoon;Kim, Y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38-242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부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구축하고 있는 물정보관리시스템 중 GIS를 이용한 폐수배출업소 방류선 검색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역은 2천만 수도권 주민의 상수원인 팔당호 인근 7개 시 군과 고양, 안양, 오산시 등 10개 시 군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GIS 자료는 1:5,000 수치지형도, 지적도, 고해상도 항공사진, 우수토구 및 토실 위치와 우수/하수의 유하방향이 표시된 하수관망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폐수배출업소에 대한 자료는 물정보관리시스템의 환경통합DB를 기초자료로 구축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시군별 토구/토실에 따른 집수구역을 산정하고 집수구역내 폐수배출업소를 지번단위로 검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항공사진을 기본도로 하여 하천수질오염사고 발생시 자치단체 업무담당자가 신속하게 해당지역의 오염사고 예상 폐수배출업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응급대책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mall Hydropower Generation Using Treated Wastewater (하수처리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의 성능 특성)

  • Lee, Chul-Hyung;Park, Wan-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20-620
    • /
    • 2012
  • 에너지 다소비원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은 기후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시설로서의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환경부는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계획'을 통해 2015년까지 에너지 자립율 18%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능동적 에너지 생산이 필요하다. 소수력발전은 공급 안정성이 우수하고 소수력발전은 일정한 처리수가 방류되는 하수처리장에 적용되었을 때 그 가동율은 하천에서의 소수력발전에 비하여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향후 하수처리장에 널리 보급될 수 있는 청정에너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흥 레스피아에서 처리되는 하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이 검토되었다. 최근 5년간 방류량 자료를 살펴보면 기흥 레스피아의 일평균 실제 처리량은 약 $30,000m^3/day$로 나타났으며, 우수 유입과 물 사용량이 증가하는 여름 및 가을에 처리량이 증가하였다. 설계유량은 유량변화에 따른 누적 확률밀도와 유량지속곡선에 근거해 산정하였으며, 시간빈도(T)로 보았을 때 26%의 유량이 지속되는 $0.35m^3/s$를 설계유량으로 선정하였다(그림 1). 또한 이를 기반으로 성능특성을 분석한 결과, 단위낙차당 수차발전기의 용량은 2.4kW이며, 시스템 가동율은 74%, 그리고 연 전력생산량은 16.6MWh로 나타났다(그림 2).

  • PDF

Detection of Abnormal Dam Water Level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에 기반한 댐 수위 이상 데이터 탐지)

  • Bang, Suil;Lee, Do-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93-296
    • /
    • 2021
  • K-water에서는 다목적댐의 관리를 위해 실시간으로 댐수위, 하천 수위 및 강우량 등을 계측하고 있으며, 계측된 값들은 댐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댐수위 이상 데이터를 탐지하지 못한 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댐의 방류 시기와 방류량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사결정을 그르칠 수 있으므로 이를 신속히 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의 자동화된 이상 데이터 탐지방법 중 하나는 현재 데이터가 최댓값과 최솟값을 초과할 때, 다른 하나는 현재 데이터와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값 간의 차이가 관리자가 정한 특정 값을 벗어났을 때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전자는 상한과 하한의 초과 여부만 판단하므로 탐지가 쉬우나 정상범위 내에서 발생한 이상 데이터는 탐지가 불가하다. 후자는 관리자의 경험을 통해 판단 조건을 정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방류와 강우가 복합적으로 댐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홍수기에 관리자의 경험에 기초한 이상 데이터 판별은 신뢰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을 최초로 적용하여 이상 데이터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댐수위, 누적강우량 및 누적방류량 데이터와 댐수위데이터를 가공하여 생성한 댐수위차, 댐수위차평균, 댐수위평균 등 자질들의 다양한 조합을 만든 후 이를 Random Forest, SVM, AdaptiveBoost 및 다층퍼셉트론(MLP)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계학습모델 등을 통해 이상 데이터를 판별하는 실험(분류)을 하였다. 실험결과 댐수위, 댐수위차, 댐수위-댐수위평균, 누적강우량, 누적방류량 및 댐수위차평균을 사용하였을 때 MLP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댐수위 이상 데이터를 기계학습의 분류기능을 통해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는 것과 모델의 성능은 실험에 사용한 자질의 수뿐 아니라 자질의 종류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revention of Urban Inundation using Descending Placement of Sewer (내림차순 우수관거 배치를 이용한 도시침수 방지)

  • Song Joonggeu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8-368
    • /
    • 2023
  • 도심지에 위치하는 저지대의 경우 강우 발생 시 우수의 집중으로 인한 침수발생으로 매년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하고 있는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배수시설의 개선과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사업이다. 첫 번째 배수시설의 개선은 배수유역의 우수를 하류하천 방류부까지 우수관거와 방수로, 대심도 터널 등을 통해 자연배수하거나 배수펌프를 통해 강제배수하여 내수배제가 원활하게 하는 방법이며, 우수유출저감시설은 저류시설을 설치하여 우수가 집중되는 시간을 지체시켜 첨두유출량을 저감하거나 침투시설을 설치하여 유출총량을 저감하여 우수유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다만 이 두 가지 방법은 토지이용이 고도화된 도심지에서는 기존 건축물 및 지하구조물 등으로 인해 부지의 확보가 어렵고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 사업에 대한 시간과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크게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우수관거를 상류 우수관거의 관경을 하류보다 크게 설계하여 배수유역 상류부 관거의 개선만으로 도시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 시설물과 토지이용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시침수가 발생하는 연구대상 배수유역에 도시유출 해석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내림차순식 우수관망 배치의 침수방지 효과를 검토한 결과 배수유역 상류관거의 확장으로 유속의 저감과 우수관거 내 저류효과를 통해 하류부의 우수 집중시간을 지체시켜 하류부의 침수발생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를 통해 토지이용이 고도화되어 저류시설이나 자연 및 강제 배수시설의 설치가 어려운 하천변 저지대 도심지 지역의 침수피해 방지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