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수

Search Result 34,284,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Good Design 2015 (지상전시 - 2015 우수디자인(GD)상품)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73
    • /
    • pp.101-109
    • /
    • 2016
  • 굿디자인(GOOD DESINE)이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주관 아래,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하여 상품의 외관,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정된 상품에 GOOD DESINE 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1985년부터 매년 시행해 오고 있다. GD마크 선정제란 우수한 디자인 상품개발을 장려하여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나아가 유니버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전통시장, 산업단지 디자인을 고도화(우수디자인 선정, 장려 등)함으로써 사회적 문제해결과 지속가능한 창조경제를 실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선정 대상 품목으로는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소재표면처리디자인, 패션디자인, 포장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 건축디자인 패션디자인으로 대통령상 1점을 비롯해 국무총리상, 대상, 최우수상 등을 시상하고 있다. 굿디자인 상품은 향후 조달청이 시행하는 우수제품선정 및 물품구매 적격심사 시 우대되며, 중소기업청이 시행하는 수출유망중소기업지정 및 수출기업화 사업평가시 우대받을 수 있다. 마크사용에 있어 호주 디자인상(AIDA)과의 상호인증으로 마크 부착이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2015년 우수디자인(GD)으로 선정된 제품 가운데 생활 포장 및 산업포장 부문 수상작들과 일부 선정된 제품들을 살펴본다.

  • PDF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and Change of Roughness Coefficient According to Accumulation of Debris in Storm Sewer (토사적체에 따른 우수관의 조도계수 변화와 성능불능확률)

  • Kwon, Hyuk-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135-141
    • /
    • 2010
  • Reliability model which can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of storm sewer was developed considering change of roughness coefficient in this study. Roughness coefficient should be re-evaluated due to accumulations of debris in sewer pipe. Therefore, roughness coefficient according to depth of debris in circular sewer pipe was determined for the present study.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new roughness coefficient. After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apacity of storm sewer can b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of storm sewer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the depth of debris in storm sewer. In this study, reliability model was applied for the Daegu and Jeonju using new roughness coefficient which was determined according to accumulation of debris in circular storm sewer. It was observed that if the depth of debris is increased, roughness coefficient is increased simultaneously and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of storm sewer is significantly increased.

Reliability model for the probability of system failure of storm sewer (우수관의 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 모형)

  • Kwon, Hyuk-Jae;Lee, Cheol-Eung;Ahn, Jae-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91-1695
    • /
    • 2010
  • 본 연구에서 AFDA(Approximate Full Distribution Approach)를 사용하여 하수관의 불능확률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신뢰성 모형이 개발되었다. 여러 도시의 연 최대강우강도(Yearly Maximum Rainfall Intensity)를 이용하여 그 확률분포함수를 분석하였고 우수관(Storm sewer)의 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 모형에 적용하였다. 연 최대강우강도 자료의 분석결과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여러 중소도시에 대한 연 최대강우강도의 확률분포함수는 Gumbel분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 모형은 불능확률의 신뢰함수를 구하기 위해 하중(Load)을 규정하는 식은 합리식이 사용되었고 용량(Capacity)를 규정하는 식은 Darcy-Weisbach공식과 Manning의 공식이 사용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신뢰성 모형을 실제 우수관에 적용하여 불능확률을 산정하는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Y자형 우수관망에서 2개의 관으로 유입하는 각각의 유량이 그 관의 허용유량을 초과할 경우를 불능확률로 가정하였고, 나머지 관의 경우는 두 개의 관으로부터 유입하는 유량과 그 세 번째 관의 매설지역의 우수유입량의 합이 그 관의 허용유량을 초과할 경우를 불능상태(state of system failure)로 간주하여 불능확률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Darcy-Weisbach공식과 Manning의 공식을 사용한 신뢰성 해석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우수관 직경의 변화에 따른 불능확률을 산정하였다. 특정한 수치(설계직경)이하일 경우 불능확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 우수관의 유효직경이 설계직경에 항상 가깝도록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최선의 관리 방법이며 불능확률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뢰성 모형은 우수관의 운용, 관리, 감독은 물론 설계에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Runoff Reduction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Inundation Depth Distribution by Grid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을 통한 우수저류시설 효과분석)

  • Lee Woo Jin;Park Jong Pyo;Kim Kwang Hyu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4-504
    • /
    • 2023
  • 최근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의 빈도 및 규모가 커지게 되면서 최초 구조물의 설계시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국지적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도시방재를 위하여 기계획하였던 내수배제 시스템의 설계성능을 넘어 도시지역에 침수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시의 내수배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우수저류조, 우수관거개선 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설치 이후 구체적인 효과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저류시설의 설치 여부에 따른 침수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우수저류시설 침수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XP-SWMM을 이용하여 2차원 침수해석 모의를 실시하였고 다양한 조건에서의 모의를 위하여 2차원 침수해석 모의조건을 설정하였다. 기계획된 우수저류시설의 설계시의 임계지속기간을 기준으로 IDF Curve를 통하여 설계강우량, 확률강우량 및 방재성능목표량을 재산정하였고 Huff4분위법을 이용하여 강우분포를 시켜 XP-SWMM에 적용하였다. 또한, 유역 최종 방류구에서 기점수위 조건과 자유방류 조건을 분리하여 모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우수저류시설의 설치여부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2차원 침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월류량의 저감율과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월류량은 총량적인 지표를 가지고 있지만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은 격자의 최대 침수심을 0.1m 간격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 침수심 격자의 발생빈도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한결과 우수저류조를 설치한 후에 격자의 최대침수심이 더 낮은 침수심 단계로 이동한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구조물의 설치 후에도 침수가 일어난다는 양적인 면이 아닌 격자의 침수심 분포 양상을 통해 도시침수에 직접적으로 저감이 나타나 효과를 기여할 수 있다는 지표라고 판단된다.

  • PDF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Yu, Jeong-Heon;Bae, Byeong-Yun;Jeon, Gi-S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93-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성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KIDP의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이 27.5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에서는 대기업과 중기업에 비해 소기업이 제품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 요소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위해 수집한 데이터의 업종별 추이를 살펴보면 기술 기반 업종이 도 소매업을 비롯한 기타 업종에 비해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려운 경영여건에서도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KIDP로부터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을 받은 기업 중 186개(2013년, 2014년, 2015년)를 대상으로 업력이 7년 이하인 창업기업과 업력이 7년 이상인 계속기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 중 디자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의 경영성과(매출액)의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KIDP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효과가 있는지를 선정연도를 전후 비교하여 "창업기업이 계속기업에 비해 경영성과(매출액)에 더욱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는 창업기업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제조업과 창업기업 내의 제조기업 경영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The Analysis of Rainwater Storage Facility Project for the Urban Disaster Prevention in Busan and its Countermeasures (도시방재를 위한 부산지역 우수저류시설 설치사업의 분석과 대책)

  • Hwang, Jae-Yu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5 no.1
    • /
    • pp.37-45
    • /
    • 2015
  • Recently, many cities have always been affected by large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landslides. As climate change causes more frequent localized heavy rains exceeding the conveyance capacity of sewer, flood damage is expected to increase. For the sake of reducing the urban flood damage by changed rainfall, there has been many trials on installation of runoff-reducing facilities. Therefore, it was required to study about reasonable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rainwater storage facility project for extending it.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atus of rainwater storage facility project for the urban disaster prevention in Busan, to find out problems, and to propose the countermeasure of rainwater storage facility project for the urban disaster prevention.

Good Design 2016 (Awards 1 - 2016 우수디자인(Good Design) 선정품 - 포장부문-)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85
    • /
    • pp.82-94
    • /
    • 2017
  • 2016년 우수디자인(GD)상품선정 시상식이 지난해 12월 14일코리아디자인센터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우수디자인(GD)상품선정제도'는 1985년부터 산업디자인진흥법 제6조에 의거하여 상품의 경제성, 사용성, 환경친화성, 심미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과 서비스에 GD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고 있다. GD마크는 우수한 디자인 상품 개발을 장려하여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선정하고 있다. 또한 창의 디자인강국 구현을 위해 세계적 인증가치를 구축하고, 유니버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전통시장 산업단지 디자인을 고도화(우수디자인 선정 장려 등)함으로써 사회적 문제해결과 지속가능한 창조경제 실현에 그 의의가 있다. 올해 선정대상품목은 제품, 커뮤니케이션, 포장, 공간환경, 서비스 등의 부문에서 39개 항목으로 출품됐다. 포장 부문은 소비자제품, 식음료, 뷰티/헬스, 의료, 산업/B2B, 기타 포장 등 6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올해 포장 부문에서는 플러긴스의 STONE JEJU CANDLE이 국무총리상을, 엘지전자(주)의 LG Sound 360 패키지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을, 유씨엘(주)의 아꼬제, (주)퍼스트마켓의 코코스타 핸드모이스쳐 팩, (주)웰코스의 후르디아 크림이 조달청장상을, 일동홀딩스(주)의 그녀는 프로다, 삼성전자(주)의 삼성 모바일 액세서리 패키지 시리즈, 피치앤드의 피치앤드는 KIDP원장상을, (주)유니베라의 남양알로에 맥스피는 중소기업청장상 등을 수상했다. 다음에 우수디자인으로 선정된 포장부문 제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Awards 1 - Good Design 2017 (2017 우수디자인(Good Design) 선정품 - 포장 부문 -)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97
    • /
    • pp.85-101
    • /
    • 2018
  • 2017년 우수디자인(GD)상품선정 시상식이 지난해 12월 19일 코리아디자인센터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우수디자인(GD)상품선정제도'는 1985년부터 산업디자인진흥법 제6조에 의거하여 상품의 경제성, 사용성, 환경친화성, 심미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과 서비스에 GD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고있다. GD마크는 우수한 디자인 상품 개발을 장려하여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선정하고 있다. 또한 창의 디자인강국 구현을 위해 세계적 인증가치를 구축하고, 유니버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전통시장 산업단지 디자인을 고도화(우수디자인 선정 장려 등)함으로써 사회적 문제해결과 지속가능한 창조경제 실현에 그 의의가 있다. 올해 선정대상품목은 제품, 커뮤니케이션, 포장, 공간환경, 서비스 등의 부문에서 39개 항목으로 출품됐고, 포장부문은 소비자제품, 식음료, 뷰티/헬스, 의약품, 산업/B2B, 기타포장 등 6개 항목으로구성됐다. 올해 포장 부문에서는 엘지전자(주)의 'LG TONE+ 포장디자인'과 팅크웨어(주)의 '블랙박스 패키지디자인'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을, 해브앤비(주)의 '닥터자르트 쉐이킹 러버'가 조달청장상을, 삼성전자(주)의 '갤럭시 S8 패키지'와 '웨어러블, 모바일 프리미엄 액세서리 패키지 아이덴티티', 엘지전자(주)의 '코드제로 핸디 청소기 포장디자인'이 KIDP원장상을, 애터미(주)의 '애터미 앱솔루트 셀랙티브 스킨케어 세트'가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을 수상했다. 다음에 우수디자인으로 선정된 포장부문 제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Service System to promote the Use of National R&D Technical Information (국가연구개발 우수유망기술정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 Joo, Won-Kyun;Choi, Ki-Seok;Kim,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145-148
    • /
    • 2011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제고가 과학기술계 주요 이슈로 부상되면서 사업의 경제적 성과창출에 초점을 둔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 하는 NTIS는 국가연구개발성과를 부가가치 창출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우수유망기술정보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우수유망기술정보는 국가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최종평가 결과가 우수한 과제의 연구성과(기술) 중 기술이전·사업화의 가능성이 있거나 후속연구를 통해 기술이전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을 칭한다. NTIS에서는 2008년부터 우수유망기술정보 DB를 구축하였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수유망기술정보서비스와 관련된 국내외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대내외 환경변화 및 공익적인 사업성격을 고려하여 NTIS 우수유망기술정보서비스의 활용과 관련한 현황을 파악하였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서 향후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Comparision on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in the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특성 분석)

  • Kwon, Jeom-R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6 no.1
    • /
    • pp.29-5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arison of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in the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NAEA).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ratios,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of contents area and behavioral area in 6th, 9th, and 11th grades. This study found the change of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ratios, and the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al achievement of contents area and behavioral area in 6th, 9th, and 11th gra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