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 Title/Summary/Keyword: 우수유출

Search Result 65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Significance between SWMM Computer Simulation and Artificial Rainfall on Rainfall Runoff Delay Effects of Vegetation Unit-type LID System (식생유니트형 LID 시스템의 우수유출 지연효과에 대한 SWMM 전산모의와 인공강우 모니터링 간의 유의성 분석)

  • Kim, Tae-Han;Choi, Boo-H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3
    • /
    • pp.34-44
    • /
    • 2020
  • In order to suggest performance analysis directions of ecological components based on a vegetation-based LID system model,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onitoring results by using SWMM computer simulation and rainfall and run-off simulation devices and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a preliminary system design. Also, the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review a vegetation-based LID system's soil, a vegetation model, and analysis plans, which were less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 a performance quantification direction that could act as a substitute device-type LID system. After monitoring artificial rainfall for 40 minutes, the test group zone and the control group zone recorded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142.91mm/hr. (n=3, sd=0.34) and 142.24mm/hr. (n=3, sd=0.90), respectively. Compared to a hyetograph, low rainfall intensity was re-produced in 10-minute and 50-minute sections, and high rainfall intensity was confirmed in 20-minute, 30-minute, and 40-minute sections. As for rainwater run-off delay effects, run-off intensity in the test group zone was reduced by 79.8% as it recorded 0.46mm/min at the 50-minute point when the run-off intensity was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zone. In the case of computer simulation, run-off intensity in the test group zone was reduced by 99.1% as it recorded 0.05mm/min at the 50-minute point when the run-off intensity was highest. The maximum rainfall run-off intensity in the test group zone (Dv=30.35, NSE=0.36) recorded 0.77mm/min and 1.06mm/min in artificial rainfall monitoring and SWMM computer simulation, respectively, at the 70-minute point in both cases. Likewise, the control group zone (Dv=17.27, NSE=0.78) recorded 2.26mm/min and 2.38mm/min, respectively, at the 50-minutes point. Through statistical assessing the significance between the rainfall & run-off simulating systems and the SWMM computer simulations, this study was able to suggest a preliminary design direction for the rainwater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LID system applied with single vegetation. Also,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LID system's soil and vegetation models, and analysis methods, this study was able to compile parameter quantification plans for vegetation and soil sectors that can be aligned with a preliminary design. However, physical variables were caused by the use of a single vegetation-based LID system, and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on algorithms for calibrat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onitoring and computer simulation results.

Design Technique of First Flush Treatment System Using Waterside Land (제외지 지하공간을 활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설계기술)

  • Seo, Dongil;Koo, Young Min;Kim, Jaeyoung;Kim, Byung R.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52-652
    • /
    • 2015
  • 도시유역의 소하천은 불투수 면적의 증가 및 우수관거의 설치로 인해 오염물질 및 강우의 유달률이 증가한 반면 침투 및 저류 기능의 감소로 인해 지하수위가 저하되어 비강우시에 현저하게 유량이 감소되어 하천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에서 유역에 저영향개발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들은 과다한 면적을 필요로 함에 따라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도시유역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하천의 유량과 수질 문제를 저감하기 위해 위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하천 제외지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초기 우수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도시유역에서 강우에 의해 초기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출되는 소위 초기세척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침전시스템을 설치하고 및 교체가 가능한 카트리지형 여과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여과 시스템에서 섬유필터를 이용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또한 침전 및 여과시스템에 저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도시 소하천의 유량에 따라 방류를 조절함으로써 도시 하천의 건천화 감소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적용 결과와 자동모니터링 스시템을 활용하는 종합설계 및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범 유역에 SWMM을 구축하고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측 및 SWMM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연구대상 지역에서 처리시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초기우수유출량의 적정량은 초기강우 4시간 또는 6 mm의 누적강우량으로 산정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현장의 지형여건에 따라 시스템의 설계기준이 수립될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Stormwater Improvement Model for the Estimation of Wash-off Pollutant in Parking Lot (주차장 지역에서의 유출 및 수질모의를 위한 강우유출수 개선모형 적용성 평가)

  • Jung, Min-Jae;Pak, Gi-Jung;Kim, Hwan-Suk;Kim, Deok-Woo;Yoon,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0-443
    • /
    • 2012
  • 도시지역의 도로, 교량 및 주차장과 같은 포장지역은 작은 면적이지만 강우 시 다른 토지이용에 비해 강우 유출량이 높고, 상수원인 하천의 종 및 횡방향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오염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BMP) 또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과 같은 관리 방안을 적용하여 강우에 의해 발생되는 강우유출수와 비점오염물질을 동시에 저감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나, 모델링을 통한 비점오염물질 배출량의 정량화와 저감시설의 성능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장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배출량 모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 외에서 강우유출수의 모의와 저감시설의 성능평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MUSIC(Model for Urban Stormwater Improvement Conceptualization) 모형과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수 수문 수질 모의를 실시하여 각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두 모형 모두 총 유출체적 오차가 ±6 이내로 수문모의에 대한 적용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수질의 경우 SWMM 모형이 MUSIC 모형에 비하여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실측치와 가깝게 모의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대상지역에 대해 SWMM 모형이 MUSIC 모형에 비해 주차장의 초기우수현상을 더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ong-term Runoff Analysis Using the TOPMODEL (TOPMODEL을 이용한 장기유출 해석)

  • Jo, Hong-Je;Kim, Jeong-Sik;Lee, Geun-B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4
    • /
    • pp.393-405
    • /
    • 2000
  • Monthly runoff was estimated using TOPMODEL which simulates ground water movement as well as surface runoff in the area of catchment. SAYUN dam which is being operated by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was selected for the study, and the topographic factors of the watershed were analyzed using 1/5,000 digital map and GIS software(Arc/Info). The comparison shows good agreement between observed monthly runoff and the computation results simulated by using TOPMODEL. The catchment area of SAYUN dam was modeled by using various grid sizes in order to check the sensitivity of grid size, and the grid size of 180m was found most proper among 6 different sizes. TOPMODEL was also found superior to the existing monthly runoff models such as Kajiyama, KRIHS and Tank. Because the model requires limited number of parameters and considers topographic aspects, it is reckoned to be very useful for practical use.

  • PDF

A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Optimal Stormwater Reservoir based on Grid units and the application of LID Facilities. (격자단위 기반의 최적 우수저류지 설치 및 LID 시설물 적용 연구)

  • Uugantsetseg, Gankhuyag;Choi, Gyung Min;Lee, J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43-343
    • /
    • 2022
  • 강우의 유출은 하늘에서 발생한 강우가 다양한 유역을 거쳐 하천 및 해안 등으로 방류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강우의 유출과정에서 좀 더 효율적인 유량처리를 위하여 대부분의 도시 유역에는 우수관망이 설치되어 있다. 우수관망은 일정 빈도 이하의 강우량 방재를 목적으로 설계하며, 해당 강우량을 초과하는 경우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우수관망의 목표 강우를 초과하는 경우를 위하여 우수 저류지, 펌프장 및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물 설치 등 다양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으며, 이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발생유역을 격자로 분할하여 우수의 흐름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저류지 및 LID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지정하고자 한다. 분석지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인근이며, ArcGIS 10.8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지형을 3D로 구현하였으며 EPA-SWMM 5.1을 이용하여 침수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구성된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를 10m × 10m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지표고에 따른 유량의 흐름 및 중첩을 판단하였다. 분할된 격자들 중 유량의 중첩 정도가 가장 높으며 침수피해 정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종류 및 크기를 고려한 최적의 비용과 효율을 갖는 저류지 및 LID 시설물 설치 위치를 결정하였다. 우수관망 시스템, LID 시설물, 우수 저류지 각각의 시선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다양하고 포괄적인 방재시설물 설치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우수 방재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수관망 시스템, LID 시설물, 우수 저류지 각각의 시선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다양하고 포괄적인 방재시설물 설치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우수 방재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enerating Land Cover Map and Estimating Runoff Curve Numbers Using High Resolution Aerial Orthophotos, Impervious Surface Layers and Feature Analyst (고해상도 수치정사 항공사진, 불투수층 레이어 그리고 Feature Analyst를 이용한 토지피복도 작성과 유출계수 산정)

  • Chung Jin-Won;Cheshire Heather M.;Lee Woo-Ky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28-231
    • /
    • 2006
  • 유출계수(Runoff Curve Number, CN)란 강수량으로부터 대상유역의 유출량과 우수 잠재능(stormwater potential) 평가에 이용하는 수문학 변수로, 미국 자연자원 보존국(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이 제안한 방법이다. 유출계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토지피복, 토양형, 토양 습윤 조건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분석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North Carolina의 Raleigh와 Cary시를 관통하는 Walnut Creek 유역 서부지역의 토지 피복도를 제작하여, 이 유역의 유출계수를 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위의 불투수면 레이어와 정사항공사진을 기초자료로, ArcGIS와 Feature Analyst를 이용하여 서부 Walnut Creek 유역의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였다. 둘째, 제작된 토지 피복도와 본 유역의 수문학적 토양 분류체계도(Hydrologic Soil Group Map)를 중첩하여 이 유역의 유출계수도를 제작하였다.

  • PDF

Analysis of Parameter Estimates for Urban Planning Area Runoff Using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을 이용한 도시계획지역 유출량 분석을 위한 매개변수 산정)

  • Koo, Youngmin;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3-47
    • /
    • 2016
  • 대전 관평천 유역의 도시계획에 의해 개발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우수 관거 최종 유출부에 설치한 모니터링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강우사상에 대해 연속으로 유출량 자료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는 연속적으로 획득한 유출량 자료를 바탕으로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보정하고 최적의 수문학적 매개변수를 산정하는데 있다. SWMM의 수문학적 매개변수는 기본 침투식인 Curve Number, Horton 및 Green-Ampt를 바탕으로 각각의 경우에 맞는 유역의 조도계수 및 저류 깊이를 산정하였다. 현재 도시 개발에 따른 유출변화를 모의하는데 있어 국외에서 연구된 매개변수를 적용하고 있다. 번 연구에서 구한 매개변수는 향후 도시개발에 따른 유출 변화를 SWMM을 이용하여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류오염토양 세척유출수내 미세토사의 효율적 제거방안에 관한 연구

  • 윤세영;최상일;서용식;류두현;이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27-23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유류오염토양 세척유출수내 미세토사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최적의 방안 및 적용 운전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응집제를 주입하지 않은 blank 실험결과, 광운대학교 토양 세척유출수는 pH 7~12의 범위에서 65~75%의 효율을 나타내었고, 우이천 하천퇴적 토양 세척유출수는 pH 7~11의 범위에서 30% 안팎의, pH 12에서는 70% 정도의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pH 13에서는 두 가지 세척유출수에서 각각 91%, 85%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응집ㆍ침전 실험 결과, 광운대학교 토양 세척유출수는 FeC13, alum, PAC을 적용하였을 때 대체로 99% 이상의 효율을 보였으나, PAM을 적용하였을 때는 pH 13에서만 약 95%의 효율을 보였을 뿐 pH 7~12의 범위에서는 50~70%의 낮은 효율을 보였다. 우이천 하천퇴적 토양 세척유출수는 alum과 PAC을 적용하였을 때 대체로 90% 이상의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FeC13와 PAM을 적용하였을 때는 pH 13일 경우에서만 98%이상의 효율을 보였을 뿐 다른 pH조건에서는 대체로 60%이하의 효율을 보였다. 두 가지 세척유출수에 대하여 높은 효율을 보인 alum과 PAC의 경제성을 비교해본 결과 같은 양의 세척유출수를 응집처리 할 경우 PAC에 비하여 alum을 적용하였을 때 적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alum이 효율성과 경제성에서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the flooding effect of downstream stormwater sewers according to whether flooding occurs in urban watersheds upstream (도시유역 상류 침수발생 여부에 따른 하류 관로 침수영향 분석)

  • Kim, Soo Hyun;Park, Jong Pyo;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9-289
    • /
    • 2021
  • 급경사를 포함하는 도심지역에 대하여 도시유출해석을 수행하다보면 상류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류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하면 하류관로로 유입되는 홍수량이 감소하게 되고 하류관로로 유입되는 홍수량이 감소하게 되면 도시유출해석 분석결과 과소평가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감소된 홍수량 산정 결과로 관로효율성평가나 개선대책을 수립할 경우 잘못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상류지역의 침수발생으로 인한 하류관로의 홍수량감소 영향을 연구 위하여 상류지역 침수여부에 따른 하류관로의 효율성 변동평가를 수행하였다. 상류에서 침수가 발생할 경우와 상류에서 침수가 발생하지 않고 전 유출량이 하류관로로 유입되는 경우의 발생하는 침수면적과 침수발생량을 비교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단지개발지역의 우수관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류지역에서 침수발생 대비 침수 미발생의 경우 침수면적은 76%가 감소하였으며, 침수발생량은 78%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상류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가 하류관로의 유출해석을 수행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류지역의 침수가 발생한 결과로 대책을 수립할 경우 부적합한 설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를 비교하였지만, 앞으로 더 많은 지역을 비교하여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the Interception Facilities according to Rainfall Conditions (강우조건에 따른 차집시설에서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분석)

  • Lin, Zi-Yu;Eun, Beomjin;Heo, Jeong Sook;Choi, I Song;Oh, Jong-M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1
    • /
    • pp.1-10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stormwater runoff and the origin of soluble pollutants according to various rainfall conditions from a non-point source reducing facility. The water sample from this study was collected among 10 collection facilities in the G-drainage area. Specifically, five of the collection points including #1, #5, #8, #9, and #10 were reported with unknown water inflow even during non-rain conditions. The leaka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the collection facilities were then able to identify accordingly.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tormwater runoff from the collection facilities were strongly affected by the amounts of rainfall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EC, BOD, TOC, and TN during non-rai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ir concentrations during rain;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DO were found to be lower than its concentrations during rain.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components existing in the effluent of collection facilit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dissolved organic matter analysis. In summary, the stormwater runoff was highly affected by pollutants flowing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amounts of hard-to-decompose humic substances were greatly increased in the collection facilities due to 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