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포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청조의 용포소고 (Ch'ing Dragon Robes)

  • 박춘순;김재임
    • 복식
    • /
    • 제50권3호
    • /
    • pp.59-72
    • /
    • 2000
  • Dragon robe was defined as a robe on which the principal design consisted of dragon. Dragon patterns have been used on princess robes during T'and Dynasty. In Sung, Dragon-figured robes seem to have an Imperial prerogative. Yuan took over the use of robes with dragons patterns as a definite institition. Ming tried to reject all Yuan innovations, the dragon robe was retained as an unofficial court costume. The Emperor's semiformal robes which at first had four dragon medallions, later had twelve along with the 12 Symbols(십이장문). As Ch'ing dragon robes were only intended fro semiformal use. The Later Ch'ing robes date from after 1719, when the Ch'ien-lung(건륭) introduced 12 Symbols on Ch'ing robes. The Ch'ien-lung laws were disobeyed, notably the ones that specified the number of claws on the dragons. THe Emperor's dragon robe, lung-p'ao, (용포) was described as bright yellow in color, having four slits and horsefoof cuffs. The basic pattern consisted of nin dragons, in addition it had 12 Symbols. The elaborate textile techniques reached their peak in Ch'ing Dynasty-with its Weaving and Dyeing Office in Peking, and this factories at Hangchow(항주), Soochow(소주), and Naking(남경) -helps to explain why the decay of the Ch'ing bureaucracy hastended the decline of dragon robes. In the Ch'ing Dynasty tow terms were used for dragon robe, depending on the number of claws on the dragons. Those with five-clawed dragons were called lung-p'ao, while those with four-clawed dragons were called mang-p'ao(망포). The Court felt compelled to take corrective meausres. It decreeed that Ninisters of State and other officials, who had been bestowed five-clawed lung dragons, must take out one claw. Finally, the sale of ranks and the attendant privilege of wearing dragon robes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18 th century, reaching its height in the 19 th century, Finally, after the Taiping Rebellion, when the Imperial Treasury was depleted by the wholesale destruction of revenue-producing lands, the Chinese government came to depend on such sales as an important source of revenue and the practice became even more widespread. The ensuing mass production of dragon robes, and the necessity of conforming to the fairly rigid basic pattern established in 1759, resulted in marked deterioration of workmanship, and a comparative monotony of decoration. The patterns on the dragon robes slight changes continued to be made in the ways of representign them. The li shui (입수) portion at the base of the robe become inreasingly wider throughout the 19th century. The background became cluttered with symbols of good fortune, scattered among the clouds and waves. As a result of all this extraneous decoration, the dragons were so crowded that they had to shrink back into the small size that they had originally occupied in the medallons. Kuang-hsu(광저) was a long one, allowing time for the manufacture of numerous robes. Also, it would seem likely that Occidental museums and collections would have a considerable number of his robes, in view of the widespread looting of his palaces during the Allied occupation of Peking in 1900, and the frequent sales of Late Ch'ing imperial textiles by destitute Manchu courtiers in the '20's.

  • PDF

청조 관복제도의 등급체계에 관한 연구 (제1보) (A Study on the Rank System of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 박현정
    • 복식
    • /
    • 제53권1호
    • /
    • pp.17-34
    • /
    • 200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ank system of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to analyze ethnic characteristics of the official uniforms. As a research document, Qing Huidian Tu(청회전도) has been used. The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were chao-fu(조복), ji-fu(길복), chang-fu(상복), hang-fu(행복), and yu-fu(우복), which were used in different occasions. Each of the five official uniforms had distinct items. For example, chao-fu(조복) consisted of four items: chao-guan(조관), chao-fu(조복), chao-dai(조대), and chao-zhu(조주), and ji-fu(길복) consisted of four items: ji-fu-guan(길복관), long-pao(용포), ji-fu-dai(길복대), and chao-zhu(조주). Each of these items had elements that made distinction between rank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important elements to make distinction between ranks were textiles, precious stones, patterns and colors, and additionally the number of Bo(보) and the types of Bo(보) were used.

광복이후 첫돌 복식의 변천 (Changes in the Ceremonial Dresses for Children's First Birthday Since 1945)

  • Ji, Yoon-Young;Hong, Na-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81-1692
    • /
    • 2001
  • 본 연구는 광복 이후 현재까지 첫돌 복식 변화를 시대적으로 고찰, 그 변화 양상과 영 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과 사진 자료를 통한 내용 분석을 주로 하였다. 더불어 자료의 보충을 위해 첫돌 의례와 관련된 주변 인물들-가족, 기성 아동 한복 유통 상인, 상업적 사진사 등-의 면접 조사도 병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40년대 중반∼50년대 초에는 해방 이후 혼란과 전란으로 인한 물자의 부족으로 첫돌 의례의 명분은 남아있으나 복식 문화는 공백기를 맞는다. 1950년대 중반이후 60년대 전반기는 미국의 경제 원조와 섬유 공업 활성화로 의료의 공급이 원활하여 전기에 비해 의례적 의미를 지닌 첫돌 복식의 착용이 가능해 졌다. 전통 한복을 기본으로 한 위에 서양식 복식 품목들이 섞여서 나타나고 있다 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의 두드러진 양상은 기성복 산업 의 발달로 전문적 인 기성복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는 기성복화 된 첫돌 복식의 일습 개념을 등장시키게 하였다. 또한 한복이 예복화 되는 경 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시기로 70년대 후반의 칼라 필름의 보급은 금박과 자수와 같은 다양한 재료와 재단 방법을 사용한 장식화 된 첫돌 복식의 사용을 가속화 시 켰다. 특히 70년대 중반에 소수의 일반에게 입혀졌던 궁중복식의 하나인 당의가 소매없는 당의로 바뀌어 여아의 돌옷으로 입혀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전반기는 칼라 TV의 보급, 비디오 촬영의 보편화로 한복이던 양복이던 일습화 된 첫돌 복식이 대중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후반기에는 국내의 국제적인 행사의 유치와 전통 복식 소개를 위한 전시들을 계기로 왕실 복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로 인해 여아에게 소매없는 당의를 입히고 남아에게 용포를 입히는 유행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서양식 예복을 입히는 유행이 시작되었다. 90년대에 들어와 아기 전문사진점의 등장은 1 회적인 첫돌 의례에 한복과 서양식 예복, 일상복 등을 다양하게 착용시키는 계기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변화 양상에도 불구하고 첫돌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옷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그 복식의 구성 이 전통적인 일습 개념을 꾸준히 지향해 온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근 과열된 아동 산업은 보다 다양한 복식을 입혀서 촬영한 사진으로 특별하게 꾸민 상업적인 기념물들을 남겨주게 하고 있다. 비록 특별한 옷을 준비하여 아동에게 입히는 행위는 유사한 표현 양태이나 지나치게 많은 옷을 갈아 입히는 표현 방식은 지양되어야할 것이다

  • PDF

자율항법 무인측량선을 이용하여 산정된 노후저수지의 퇴사량 기준 최적경험식 산정 (Estimation of Optimal Empirical Equations based on Sediments of Ageing Reservoir Estimated Using Autonomous Navigation USV)

  • 원창희;윤현철;김원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9
    • /
    • 2020
  • 가뭄은 한번 발생하면 사회·경제·산업 활동 등 인간의 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가뭄 등의 자연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이다. 현재 우리나라 저수지의 약 75.7%는 준공 후 5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저수지이며, 이로 인한 토사 퇴적 등의 영향으로 제원정보 대비 저수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항법 무인측량선을 활용하여 노후 저수지 10개소에 대해 저수용량을 분석하고, 과거 경험적 공식에 의해 추정된 퇴사량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 저수지는 제원정보 대비 약 16.2% ~ 55.3%의 저수용량이 감소하였으며, 4개 저수지는 제원정보 대비 약 1.5% ~ 380.2%의 저수용량이 증가하였다. 실제 측량 결과와 경험적 공식에 의한 퇴사량 비교·분석 결과 어린지와 용포 저수지는 유역면적만을 활용한 윤용남 공식(1982), 대곡과 우곡2, 오치 저수지는 유역면적과 유역경계의 총 연장, 유료연장을 매개변수로 활용한 서승덕(1988) 공식이 가장 유사하게 추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저수지 노후화에 따른 퇴적 증감폭과 같이 저수지의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측량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포도 '캠벨얼리'의 웨이크만과 개량일자형 수형에서의 노동력과 생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Labour and Growth Characters of Grape cv. 'Campbell Early' between Wakeman and Modified-T Trellis Training Systems)

  • 박서준;조은경;김수진;허윤영;남종철;황해성;박정관;정성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6-211
    • /
    • 2016
  • 개량일자형 수형과 웨이크만식 수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형으로 '캠벨얼리'와 같은 단초 전정형 품종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웨이크만식 수형과 개량일자형 수형에서의 노동시간과 노동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송이다듬기는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7.3 시간/10a,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12.3/10a 시간이 소요되었다. 봉지씌우기는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0.1 시간/10a,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8.2 시간/10a가 소요되었다. REBA index를 이용하여 송이다듬기와 봉지씌우기의 노동강도를 확인한 결과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3점,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8.6점을 나타내었다. 한편, 개량일자형 수형에서는 포도나무 신초들의 절간장과 절간굵기의 강한 생장도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량일자형 수형은 우리나라의 포도과원 생력화에 더욱 편리한 수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