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접 와이어

Search Result 28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of Process for High Deposited Metal Melting Efficiency in TIG Welding Using Filler Wire (필러와이어를 쓰는 TIG용접에서 용착금속의 높은 용융효율을 얻기 위한 공정개발)

  • Shin, Hee-Seop;Ham, Hyo-Sik;Seo, Ji-Seuk;Cho, Sang-Myoung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41-41
    • /
    • 2010
  • 에어컨용 냉매 압축기, 냉장고용 냉매압축기 및 자동차 샷시 부품들은 주로 겹치기 필릿용접을 GMAW 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용접 시 스패터 발생으로 인한 추가공수가 요구되며 작업환경 또한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가의 고생산이면서 용접비드의 외관이 미려하고 스패터, 소음 그리고 Fume 이 발생되지 않는 청정한 TIG 용접이 있지만, 용접속도가 수십 cpm 이하로 제한되어 생산성이 낮다는 기술적 모순을 가지고 있다. TIG 용접에서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재와 와이어를 고속 용융 시키려면 전류를 높여 입열량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증가된 전류로 인하여 상승된 아크력이 험핑비드와 언더컷이 발생되는 물리적 모순을 가진다. 또한 필러와이어를 사용한 기존의 TIG 용접에서 필러 와이어는 주로 원형 단면 와이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와이어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비표면적은 감소하여 용융효율이 낮아지므로 $\Phi$1.2 이하의 필러와이어를 송급하여 용접하였다. 그러나 요구되는 용착량이 큰 경우 필러 와이어를 고속으로 송급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필러 와이어 용융이 곤란하거나 송급상의 문제가 자주 생겨 용접속도를 고속으로 하기 곤란하였다. 따라서 필러와이어를 사용한 TIG 용접에서 용착금속의 용융효율을 높게 함으로서 전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용접속도를 높일 수 있는 용접 공정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용착금속의 높은 용융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개발된 와이어와 기존의 $\Phi$3.2 일반와이어 및 를 이용하여 BOP TIG 용접에 비교 실험하였으며, 개발된 와이어와 기존의 $\Phi$1.2 필러와이어를 이용하여 필릿용접부에 적용 실험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와이어의 경우 적절한 비드를 형성하였으나 3.2 일반와이어의 경우 과도한 볼록비드와 불용착부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필릿용접 비교실험에서는 각각 200cpm과 50cpm에서 적절한 비드가 형성되어 더 높은 용착금속 용융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Optimization of Arc-Start Performance by Digital Controlled Wire Feeding System (디지털 제어형 와이어 송급 시스템에서의 Arc-Start 성능 최적화)

  • Ryu, Gyeong-Su;Kim, Dong-Cheol;Kang, Mun-Jin;Rhee, Se-Hu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1-21
    • /
    • 2009
  • 현장의 GMA 용접기는 일반적으로 용접기 본체로부터 와이어 송급장치까지의 거리가 약 50m 정도 떨어져 있고 송급장치로부터 토치까지의 거리는 약 3~5m 정도이다. 특히 국산 GMA 용접기의 와이어 송급장치는 DC 모터의 일종인 프린트모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제어기는 오픈루프 제어를 하고 있다. 따라서 와이어 송급속도의 변동을 보상할 수 있는 어떤 수단도 장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송급장치와 토치간 와이어를 안내하는 케이블 도관의 마찰 때문에 토치 끝단에서의 와이어 송급속도가 불규칙해질 수밖에 없다. 용접 시 와이어 송급속도의 순간적인 변동 때문에 용접부의 전류 파형이 매우 불규칙해지고 이 때문에 용융된 용적이 용융풀로 이행하지 못하고 스패터로 비산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국산 SCR 용접기 및 인버터 용접기와 호환 가능한 디지털 제어형 와이어 송급장치와 Push-Pull 용접 토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 역 방향 제어기술을 적용하였고 아크 발생 시의 스패터 최소화 공정을 제안하였다. 실험은 SM490A 강재를 사용하여 BOP(Bead On Plate) 용접을 실행하였다. 용접 중 LabVIEW를 이용하여 아크 발생 초기 전류, 전압 그리고 와이어 송급속도를 측정하였고, 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용접현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크 발생 초기의 스패터를 최소화하는 공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용접공정 변수인 아크 발생 초기의 와이어 송급속도, 와이어의 역송급 진행거리 그리고 역송급 판단 시점의 용접 전류 값은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welding wire diameter on the welding quality detection (용접 와이어 직경이 용접 상태 검출에 미치는 영향)

  • Ryu, Jeong Ta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1 no.2
    • /
    • pp.39-44
    • /
    • 2016
  • Using the welding current and voltage signal processing, we have studied the influence that the diameter of the welding wire to the welding quality detection. For the experiments, We have analyzed the signal with respect to large and small artificially a gap between base materials than the welding wire. In this experiment, the 1.2 mm diameter of the welding wire was used, and distance between the welding base materials was respectively 1.0 mm and 2.0 mm. In the welding with a large defect than the diameter of the welding wire it was able to detect a change in the welding current and welding voltage. But it could not detect a change in the welding current and welding voltage in the welding has a small defect than the welding wire diame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lding System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디지털 용접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Yu, Sang-Hun;Kim, Jong-Cheol;Kim, Jae-Gwon;Ji, Yeong-Eu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9-9
    • /
    • 2009
  • 기존 아날로그 SCR 타입의 용접시스템은 케이블 길이가 변화함으로써 신호 왜곡에 따른 와이어 송급이 일정하지 못하였다. 또한 신호선의 과다로 케이블의 무게와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단점을 디지털 통신을 이용하여 모터제어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한 와이어 피더 및 통신선을 이용한 싱글케이블 단순화을 이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 길이에 따른 와이어 송급제어(송급모터 속도 제어)의 왜곡을 최소할 수 있는 디지털 통신기반의 용접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디지털 모터제어 및 용접기와의 통신장치를 개발하여 용접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기능 보완 작업을 수행하였다. 성능테스트에는 송급모터 제어기능, 용접기와 통신 신뢰성, 용접 시��스 제어, 제어기의 신뢰성 및 용접 테스트가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기반의 송급시스템을 당사 $CO_2$ 용접시스템에 적용하여 용접품질 향상, 케이블 경량화 및 신뢰성을 확보하여 타 용접 시스템에 확대 적용하고자 한다.

  • PDF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on V-shaped Butt Welding Using GMA Welding Double Wire Reel and Remote Control Torch Welding Technique (GMAW 더블 와이어 릴, 원격제어토치 용접기술을 이용한 V형 맞대기 용접 부의 실험적 성능 평가)

  • Kim, Jeong-Hyeok;Oh, Seck-Hyeog;Lee, Hae-G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2
    • /
    • pp.1339-1347
    • /
    • 2015
  • This study discusses a remote control torch system equipped with a GMAW double wire reel. The welding machine is 30m away from the wire feeder at the industrial site and the feeder is three to five meters away from the torch. Accordingly, the welders cannot control the current and voltage that meets the welding condition during work when they are working at a place that prevents them from seeing the control panel, such as inside a vehicle or tank or at a far work site. They also have no choice but to stop working to change the wire reel when it is burned out completely. Such work suspension resulting from frequent moves to adjust the current and voltage as well as to replace the wire and subsequent cooling causes welding defects. This study produced a remote control torch equipped with a double wire reel by simplifying and streamlining the existing GMAW functions to reduce the troubling issue. The remote control torch equipped with a double wire reel and the existing $CO_2$ /MAG welding torch were applied as a V-groove butt in the vertical position using 6mm rolled steel for a SM50A welding structure. After welding, the condition of welded surface beads underwent a visual inspection and radiographic inspection to analyze the welding quality inside the welded part.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reduction of welding defects, cost saving, the replacing performance against the existing commercial welders, and the effects on possible compatibility.

Effect of welding quality to wear of Contact Tips for GMA Welding (GMA용접 동안 콘택트팁 마모가 용접품질에 미치는 영향)

  • 김남훈;김희진;유회수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88-190
    • /
    • 2004
  • 가스메탈아크용접(gas metal arc welding, 이하 'GMA용접' 이라고 함)은 용가재로서 소모전극 와이어를 일정한 속도로 용융지에 공급하면서 와이어 선단과 모재 사이에서 전기적 아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용접법이다. (중략)

  • PDF

Variation of Hardness & Electrical conductivity for Cu-P and Cu-Cr Contact Tips During GMA Welding Process (GMA용접 중 Cu-P와 Cu-Cr계 콘택트팁의 경도와 전기전도도 변화)

  • 김가희;김희진;김남훈;유회수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91-193
    • /
    • 2004
  • GMA(Gas Metal Arc)용접에서는 콘택트 팁이 토치 선단에 위치하여 용접 와이어를 송급하여 준다. 이러한 콘택트 팁의 주된 기능은 용접 전류를 와이어에 전송시켜주고, 와이어를 용접하고자 하는 위치로 유도하는 것이다. (중략)

  • PDF

Prediction on the Wear Resistance of Contact Tips to welding consumable for GMA Welding (GMA용접에서 용접재료에 따른 콘택트팁 내마모성에 관한 연구)

  • 김남훈;김희진;유회수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85-187
    • /
    • 2004
  • GMA용접에서 아크가 안정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와이어가 공급되는 속도와 와이어가 용융되는 속도가 동일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와이어에 적절한 전류를 공급하여 송급된 와이어가 동일한 속도로 용융되도록 하여야 한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mechanical waveform with welding current (용접전류에 따른 기계적 파형 개발)

  • Park, Jae-Ho;Ryoo, Hoi-Soo;Kim, Hee-Ji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11
    • /
    • 2009
  • GMA용접은 높은 생산성과 자동화 효율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버터 용접기는 스패터 발생이 높고 고속용접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와이어 송급 전후진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장치를 H사의 펄스용접기에 장착하여 기계적 제어(와이어 전후진 고속 송급제어)를 통해 저스패터와 고속 용접이 가능한 기계적 전류파형을 개발하였다. 스패터는 단락과 아크발생시에 높은 전류로 인해 발생되기 때문에 기계적 제어를 통하여 Fig. 1에 보는 바와 같이 낮은 전류에서 단락과 아크발생이 일어나 스패터 발생이 줄어들게 되고 기계적 제어를 통해 단락과 아크발생 주기가 일정하게 되어 아크의 안정성 및 고속용접에 유리하게 된다. 개발된 기계적 파형을 이용하여 가장 스패터 발생이 많은 재료인 스틸과 $CO_2$를 보호가스로 하여 용접전류와 용접 속도를 변화시키며 실험한 결과 저스패터 및 1.5m/min이상의 용접 속도에서 안정된 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GMAW of 6K21-T4 Aluminum Alloy for Tailor Welded Blank(TWB) (TWB 적용을 위한 6천계열 알루미늄 합금의 GMA용접)

  • Kim, Yong;Yang, Hyun-Seok;Park, Ki-Young;Seo, Jong-Dock;Choi, Won-Ho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50-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차체 부품의 경량소재 대체에 따른 Panel Assembly Rear Seat Back 부품 제작에 최신 저입열 미그용접공정을 적용한 TWB(Tailor Welded Blank) 공정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최적 용접조건 도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용접 후 성형이 이뤄지는 제조공정의 특성 상 성형강도에 중점을 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각 와이어에 따른 용접부의 기계/금속학적 특성이 평가되었다. 대상 시편은 6천계열 열처리형 합금이며, 두께는 각각 1.6t, 1.4t로 이를 맞대기 용접 후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용접은 저입열 GMA용접 공법 중 하나인 CMT 용접법(Cold Metal Transfer)을 사용하였으며, 평가 대상 와이어로는 4043, 4047, 5183 및 5356이 사용되었다. 특성평가는 마크로 및 마이크로 조직, 경도, 인장강도, 기공 및 결함, 성형강도 등에 대해 이뤄졌으며, 희석된 와이어의 조성이 용접부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되었다. 실험 결과, 5천계열 와이어가 성형강도에 비교적 더 강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성형강도는 용접조건 및 초기 갭에 대한 영향은 받았으나, 비드형상과 강도간의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TWB 적용을 위한 와이어로는 5356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