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접구조용강재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Structural Steels to Cold Regions by the Charpy Impact Test (샤르피 충격시험을 통한 구조용강재의 극한지 적용성 검토)

  • Lee, Chin-Hyung;Shin, Hyun-Seop;Park, Ki-Tae;Yang, Seun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3 no.4
    • /
    • pp.483-491
    • /
    • 2011
  • The fabrication of steel structural members always involves welding process such as flux cored arc welding. Therefore, for the application of structural steels to cold regions, it is a prerequisite to clarify the service temperature of the welded joints in order to ensur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welded parts. In this study, the Charpy impact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ervice temperature of structural steel weld. The Charpy impact test is a commercial quality control test for steels and other alloy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metallic structures. The test allows the material properties for service conditions to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in a simple manner with a very low cost. Standard V-notch Charpy specimens were prepared and tested under dynamic loading condition. The service temperatures of the weld metal, HAZ (heat affected zone) and base metal were derived by the absorbed energy and the impact test requirements; thus the applicability of the structural steels to cold regions was discussed in detail.

TMCP강의 개발 및 적용

  • 김희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4 no.2
    • /
    • pp.1-11
    • /
    • 1986
  • 최근 개발된 구조용강을 대표하는 TMCP강재는 가속냉각법의 도입으로 그 적용범위가 과거 2-3 년 동안에 거의 모든 구조용 강재에 확산되었다. 이와 같은 확대 적용에는 생산비를 절감하려는 Steel Marker의 노력과 가속 냉각처리된 강재에 대한 fabricator 측의 긍정적인 반응이 크게 작 용했는데, 이는 이 강재가 같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 및 용접성에 기인하고 있다. 그러나 fabricator 측은 가속냉각된 강재에 대해 익숙치 않으므로 가속냉각된 강재와 기존의 강재에 대 한 차이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사용할 때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강재 주문시 Steel Maker 측과 충분한 토의를 거친후 구매하는게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로 인하여서만이 fabricator측은 가속냉각된 강재의 우수성을 백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시 야기될 문제를 미연에 방 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Welding Steels (용접구조용강재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통계적 분석)

  • Chang, Dong-Il;Kyung, Kab-Soo;Hong, Sung-Wook;Nam, Wang-Hyon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2 no.3 s.46
    • /
    • pp.281-290
    • /
    • 2000
  • In this study, we have quantitatively estima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welding steels widely used in steel structures after correcting the millsheets of the steels using statistical technique. From this result, in presen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teels produced in domestics have satisfied the prescribed values in Korean Standard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teels were dependent upon the plate thickness & class of the steels. Also, there have been linear relations between the plate thickness & class of the steel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teel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e similar tendencies with the existing results. Because the upper limit value of yield strength is not prescribed at Korean Standards in present, it is necessary to prescribe the upper limit value of yielding ratio(or yield strength) in order to assure the deformation performance of the steels.

  • PDF

A Study on the Materials Characteristics of High Tensile Strength Steel(SM570) Plates (고장력(SM570)강재의 재료특성에 관한 연구)

  • Im, Sung Woo;Ko, Sang Ki;Ha, Dong Woo;Oh, Sang Hoon;Chang, In Hw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2 no.6
    • /
    • pp.649-659
    • /
    • 2000
  • In this study,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tensile strength steel plates in accordance with their thickness are quantitatively estimated, that are steel plates SM570 to be purposed to use in building structure. Test results of steel plates SM570 are compared with those of steel plates SS400 and steel plates SM490 mostly using building structure. It is found that chemical compositions, carbon equivalent, parameter of welding crack susceptibility, 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impact strength have satisfied the prescribed value in KS code for all case of thickness.

  • PDF

Welding Characteristics of 400MPa Grade Hot Rolled H-beam(SHN400) for Building Structure (400MPa급 건축구조용 열간압연 H형강(SHN400)의 용접특성)

  • Kim, Hee-Dong;Yang, Jae-Geun;Lee, Eun-Taik;Kim, Woo-Bum;Oh, Young-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4 no.1
    • /
    • pp.129-136
    • /
    • 2012
  • This study seeks to evaluate the welding characteristics of SHN400 steel, which is suitable for the steel material used in building structures in KS. For this purpose, the Y-groove weld crack test and hardness, tensile, bending, cross tensile, and charpy V notch tests at the welding point were conducted with specimens taken from the highest, the thickest and the commonly used H-beams for girder or beam members. Each test was conducted under the KS test conditions. All tests results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KS and the welding requirements for the proper inelastic behavior of structure, indicating that SHN400 can be used for the building structure as a structural material.

高張力鋼 熔接時의 問題점

  • 김영식
    • Journal of the KSME
    • /
    • v.22 no.3
    • /
    • pp.175-183
    • /
    • 1982
  • 고장력 강재 용접시의 문제점으로 용접균열, 용접부의 취화, 라멜라테어에 관해 그 발생기구와 대책을 기술했다. 고장력강재 용접기조물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계, 시공 단계에서 이상의 문제점에 관한 종합적인 평가와 배려가 이뤄져야 한다. 고장력 강재는 그 강 도를 높이기 위해 각종 합금원소를 첨가하거나 조직 열처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상에 어 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보다 사용성능이 우수한 구조물을 얻기 위해서는 강도가 높으면서도 용접성이 우수한 고장력 강재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60Kg/mm$^{2}$급 고장력 장재가 생산되고 있거니와 앞으로 더욱 고장도의 대입열 용접용 강재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TMCP 강재와 그 용접부의 강도특성

  • 김영식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2
    • /
    • pp.146-154
    • /
    • 1990
  • 수냉형의 Bo kg/$\textrm{mm}^2$1급 TMCP 고장력 강재를 중심으로, 이 강재 모재의 기계적 특성 및 용접부의 각종 사용특성에 관해 종래의 압연제법에 의한 동일강도레벨의 고장력강판과 비교하여 고찰하고 이 강재의 유효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TMCP 고장력 강판은 탄소당량이 낮고 결 정립 미세화가 달성되기 때문에 파괴인성이나, 용접부의 내외화, 내용접균열성 면에서 탁월한 특 징을 가지나 용접조립시 용접열사이클로 인한 연화현상 때문에 용접부의 사용특성이 문제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용접조건이나, 강판의 강도, 화학성분의 배려, 선택에 따라 실용상 별로 문제가 되지 않음이 확인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TMCP강은 조선용 소재뿐만 아니고, 북해, 북극해와 같은 한냉빙해역의 가혹한 환경에서 작동되는 해양구조물용이나 라인 파이프용 소재 로서도 그 활용이 확대되어 갈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Local Distribution of Fracture Toughness for Welded Joints of Steel Structure (구조강(構造鋼) 용접부(鎔接部)의 국부인성분포(局部靭性分布)에 관한 연구(研究))

  • Chang, Dong Il;Young, Hwan Sun;Kim, Dong 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 no.3
    • /
    • pp.19-25
    • /
    • 1984
  • In the welded structure, the most dengerous section is welded parts and almost fractures of welded structure occur from welded parts. Accordingly, in other to prevents of fracture, it is important seeking the fracture behavior of welded parts. In this study as basic investigation of fracture behavior of welded parts, it is investigated that local distribution of fracture toughness and effect of multipass electrode welding, also effect of release of residual stress were investigated, as the subjected. material, the used steel having fatigue history and unused steel were selec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dear that the base metal of unused steel and heat affected zone and weld metal are different each other in fracture toughness, and it seems clear that the weld metal may will become source of fracture because of it having the most low fracture toughness. Especially, in the case of crack occur in the used steel, it will be the most brittle section in the structure because of it having low fracture toughness then weld metal. It affirmation that, if welded parts has not flaw, the multi pass electrode welding effective to improve of fracture toughness, also release of residual stress is none effective to improve of fracture toughness in this study.

  • PDF

최근의 용접용 고장력 강재의 기술동향

  • 김영식
    • Journal of the KSME
    • /
    • v.27 no.2
    • /
    • pp.124-131
    • /
    • 1987
  • 고장력 강재의 요구특성은 고강도, 고인성, 고내식성 외에 양호한 용접성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서로 상반된 특성으로서 고강도에 치중하다 보면 인성과 용접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특히 고장력 강재를 이용하여 구조물 조립시는 용접공법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용접시 열사이클로 인해 고장력 강재의 기계적 특성의 열화현상이 수반되며 이러한 현상은 고강고 강재일수록 현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서로 상반된 요구특성을 어떻게 개선하느냐 하는 것이 고장력 강재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로서는 탄소당량을 낮게 유지하고 결정립 미세화를 위한 각종 원소의 첨가처리, 고순도 강재 제조기술 및 각종 조질 열처리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최근에 이르러 TMCP(thrmo-mechanical controlled process)방법이 개발되어 고장력 강재의 기계적 특성향상에 큰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