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융 실리카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Factors Influencing the Strength of Alumina Ceramic shell Molds Bound with Colloidal Silica (콜로이달 실리카로 결합된 알루미나 세라믹 쉘 몰드의 강도에 미치는 요인)

  • Gang, Jong-Bong;Mun, Jong-Su;Jo, Beom-Rae;Choe, Seung-Ju;Kim, Hak-Hak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12
    • /
    • pp.1179-1185
    • /
    • 1996
  • 고온용 세라믹 쉘 몰드를 용융 알루미나와 콜로이달 실리카를 사용하여 제조한 후, 세라믹 쉘 몰드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세라믹 쉘 몰드의 강도는 바인더의 실리카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크며 또한 실리카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보이며 저온에서의 강도 발현은 콜로이달 실리카의 필름 형성에 의한 입자들의 결합임을 알 수 있었다. 세라믹 쉘 몰드의 소성 강도는 부착 스타코의 크기가 작을수록 크며 소성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보였다. 고온에서의 강도 발현은 알루미나 입자와 콜로이달 실리카 바인더의 결합뿐만 아니라 알루미나 입자사이의 결합도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쉘 몰드의 결정상은 130$0^{\circ}C$이하에서 소성한 경우 $\alpha$-알루미나만 존재함을 보여 실리카는 비정질로 계속 남아 있음을 알 수 있고 140$0^{\circ}C$ 이상에서 소성한 경우 뮬라이트가 생성됨을 보였다.

  • PDF

Influence of Hydrophobic Silica on Physical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for Epoxy Molding Compounds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를 위한 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소수성 실리카의 영향)

  • Kim, Ki-Seok;Oh, Sang-Yeob;Kim, Eun-Sung;Shin, Hun-Choong;Park, Soo-Ji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5 no.1
    • /
    • pp.12-16
    • /
    • 2010
  • In this work, the effect of hydrophobic treated silica on the water absorption, thermal stabili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poxy nanocomposite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silica content. As filler, fumed silica treated by dimethyldichlorosilane was used. It was found that the silica was well dispersed in the epoxy resins by the melt-mixing method with the addition of a silane coupling agent. The water absorption of the nanocomposites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silica content due to the effect of hydrophobic treated silica. The thermal properties, such as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an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of the nanocomposites wer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silica. Furthermor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nanocomposites, that is, the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were enhanced with increasing silica content. This was attributed to the physically strong interaction between silica and epoxy resins.

Effect of Colloidal Silica on the Solidification of Galvanized Coatings (용융아연 도금층의 응고에 미치는 콜로이달 실리카의 영향)

  • 김상헌;정원섭;김형인
    • Journal of Surfac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5
    • /
    • pp.381-386
    • /
    • 2000
  • It was found that colloidal silica sprayed to the galvanized steel sheet apparently made the molten zinc layer solidified to be the randomly oriented fine grains. Its spraying effect was also little affected by steel temperature that had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operating factors in this process. From the results of surface analysis, it is considered that aluminum dissolved in coating layer reduces silica to silicon by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that the reduced silicon acts as a more effective nucleus in solidification reaction than phosphate salt, siica and alumina.

  • PDF

Present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lf-cleaning Steel Sheets Using TiO2 (광촉매를 이용한 자기세정 강판 제조 및 특성 분석)

  • Yu, Hye-Jin;Lee, Jeong-Hwan;Lee, Jae-R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10a
    • /
    • pp.182-182
    • /
    • 2009
  • 실란, 실리카, 이산화티탄($TiO_2$) 광촉매의 sol-gel 반응을 통하여 자기세정 기능과 Cr-free 기능을 동시에 나타낼수 있는 친수성 자기세정 강판용 공중합체를 제조하여용융 아연 도금 강판위에박막으로 코팅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코팅층의 상부에 위치한 TI층에 의하여 광활성화를 통한 친수성표면을 형성하였으며, 코팅표면에서의 수(水) 접촉각 측정결과 10도 이하의 초친수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Stabilization of Radioactive Molten Salt Waste by Using Silica-Based Inorganic Material (실리카 함유 무기매질에 의한 폐용융염의 안정화)

  • Park, Hwan-Seo;Kim, In-Tae;Kim, Hwan-Young;Kim, Joon-Hyung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5 no.3
    • /
    • pp.171-177
    • /
    • 2007
  • This study suggested a new method to stabilize molten salt wastes generated from the pyre-process for the spent fuel treatment. Using conventional sol-gel process, $SiO_2-Al_2O_3-P_2O_5$ (SAP) inorganic material that is reactive to metal chlorides were prepared. In this paper, the reactivity of SAP with the metal chlorides at $650{\sim}850$, the thermal stability of reaction products and their leach-resistance under the PCT-A test method were investigated. Alkali metal chlorides were converted into metal aluminosilicate($LixAlxSi1-_xO_{2-x}$) and metal phosphate($Li_3PO_4\;and\;Cs_2AlP_3O_{10}$) While alkali earth and rare earth chlorides were changed into only metal phosphates ($Sr_5(PO_4)_3Cl\;and\;CePO_4$). The conversion rate was about $96{\sim}99%$ at a salt waste/SAP weight ratio of 0.5 and a weight loss up to $1100^{\circ}C$ measur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were below 1wt%. The leach rates of Cs and Sr under the PCT-A test condition were about $10^{-2}g/m^2\;day\;and\;10^{-4}g/m^2\;day$.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SAP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stabilizer for metal chlorides and the method using SAP will give a chance to reduce the volume of salt wasteform for the final disposal through further researches.

  • PDF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he Phosphoric Flame retardent for the EMC (EMC용 반응형 인계 난연 수지 개발)

  • Ahn, Tae-Kwang;Kim, Han-Byung;Ryu, Kum-S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372-375
    • /
    • 2009
  • 반도체 봉지재란 실리콘 칩, 골드와이어, 리드프레임 등의 반도체 소지를 열, 수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밀봉하는 재료로서 EMC(Epoxy Moding Compound)가 가장 많이 쓰인다. EMC는 기계적, 전기적 성능향상을 위한 무기재료로 실리카(Silica), 열에 의해 경화되어 3차원 경화구조를 형성하는 에폭시수지, 빠른 경화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경화제로서의 페놀수지, 유기재료와 무기재료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커플링제, 카본블랙, 이형성 확보를 위한 왁스(Wax), 착색제(Colorant), 난연제(Flame Retardant)등의 첨가제로 구성되는 복합소재로써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의 유형에 따른 용융 실리카를 주충진재로 하여 각각의 봉지재의 첨가제를 기준으로 할 때 다양한 형태의 친환경 비할로겐계 반응형 난연제를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비 할로겐계 및 Sb 계 첨가형 난연제의 혼용 배합을 통해 친환경 EMC용 난연제의 제조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들 EMC의 요구특성은 요구특성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칩 보호, 칩을 전기적으로 절연특성 유지, 칩의 작동시 발생되는 열의 효과적인 방출 특성 유지, 실장(Board Mounting)의 간편성 특성을 확보해야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들 요구특성에 적합한 특성조사가 함께 이루어졌다.

  • PDF

The Behaviour of Ru Based Thick Film Resistor as a Component of LCR Network (LCR Network을 구성하는 RU계 저항체의 거동)

  • 박지애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3 no.1
    • /
    • pp.41-48
    • /
    • 1996
  • 동시 소성으로 LCR network을 구성하기 위한90$0^{\circ}C$ 소성용 Ru계 저항체를 제조하 였다. 동시 소성에 요구되는 최종온도에 이르기 위해서는 90$0^{\circ}C$에서 용융되는 유리상을 제 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90$0^{\circ}C$소결용 저항 페이스트는 가장 낮은 용융온도를 갖는 PbO 의 양을 감소시키고 알루미나와 실리카의 양을 증가시켜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errite 로 이루어진 inductor 그린쉬트 위에 ruthenate 저항체를 인쇄하여 동시소성한후 그 복합체 의 저항 특서에대하여 고찰하였다. PbO의 양이 감소될수록 복합 기판의 면적저항은 증가 되었고 inductor 기판 위에 잔류되는 저항페이스트의 양도 함께 증가하였다.

KL-3 엔진 노즐목 삭마 과정에 관한 연구

  • 김영한;강선일;이정호;오승협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74-74
    • /
    • 2003
  • 로켓엔진의 연소실에서는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다량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부터 연소실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국 최초의 액체 로켓인 KSR-III 로켓의 주엔진인 KL-3 엔진에서는, 연소실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리카/페놀(Silica/Phenolic) 내열재를 이용하는 용융냉각 방식을 채택하였다 용융냉각 방식은 내열재와 고온의 연소가스와의 물리ㆍ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삭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삭마는 연소실에서도 가장 고온부인 노즐목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노즐목에서 삭마의 진행은 노즐목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연소압 및 추력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열적 삭마에 의한 노즐목 크기의 증가량을 알아내기 위해 KL-3 엔진 노즐목의 형상을 측정하고자 시도하였으며, 노즐목의 삭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를 확인하고 진행과정을 고찰하였다. 노즐목의 형상 측정을 위해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3차원 변위 측정기를 이용한 방식의 접근이 곤란함에 따라 영상처리 기법을 도입한 측정 방식을 고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이 장비는 만족스런 성능을 보여주었다. 시험결과를 통해서 삭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로 분무형태, 연소시간, 연소 온도를 제시하였고 이 중에서 분무형태는 삭마 형상에, 연소 시간 및 연소온도는 삭마량에 주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에 따른 삭마의 진행이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음을 밝혔는데, 노즐목이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며 삭마진행이 미미한 구간, 원형에서 벗어나 요철형상이 발달하면서 삭마진행이 가속되는 구간, 요철형상이 이미 정착되어서 요철의 깊이만 증가하되 삭마량은 미미한 구간이다. 결과적으로 60초 연소 후 노즐목 면적 증가율은 +5.82% 정도이며, 이에 따른 연소압 및 추력의 감소 또한 1% 미만으로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KL-3 엔진에 사용된 내열재의 내열 성능은 임무를 수행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 PDF

Compositional and Microstructural Study of Punchong from Hakbongni, Kongju (공주 학봉리 분청에 대한 성분과 미세구조의 분석)

  • Lee, Young Eun;Koh, Kyongshi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6 no.1 s.7
    • /
    • pp.3-14
    • /
    • 1997
  • Twelve Punchong sherds collected in Hakbongni, Kongju where the well known iron-painted on white slip were manufactured from late 15C to early 16C were analyzed for their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The composition of the body was analyzed by X-ray fluorescence and that of glaze by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Microstructure was observed by optical microscope, polarizing microscope, EPMA, and X-ray diffractometer. The results of composition of body and glaze of Hakbongni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unchong from Yongsuri, Boryong which was close to Hakbongni. The composition of body and glaze of these two areas were compar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SPSS program. Hakbongni bodies have higher silica and flux materials but lower alumina and their glaze have higher silica, soda, iron oxide but lower alumina, calcia. Hakbongni punchong itself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eir glaze is lime type. There are many remnant minerals, such as quartz, large feldspar mass with partially melted surrounding area, albite, biotite, and iron-oxide. From such a microstructure we can assume that preparation of raw material was rather crude and firing temperature quite low. Iron-painted material is identified as Mg/Fe/Al spinel by composition analysis and XRD patter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