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어성

Search Result 1,14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ive Scheme for Comparative Search of Clinical Terms from Standard Clinical Terminology (표준 의학용어 체계에서의 효과적인 용어 비교 검색 기법)

  • Ryu,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3
    • /
    • pp.537-542
    • /
    • 2015
  • SNOMED CT, which is a standard clinical terminology, imposes an ambiguity problem of terminology selections caused by its huge expressive power and structural complexity.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similar terms and to select an appropriate term among them within short consultation hours. This paper analyzes the ambiguity problem and proposes a novel scheme for comparative search of similar terms. The proposed scheme provides a differential view of similar terms by defining a "is-not-a" relationship based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concepts. The result of this work improves the utilization of SNOMED CT such that medical officers can efficiently select an appropriate term among similar terms which represents patient's status adequately.

Korean Terminologies in Expert Systems (전문가시스템 한글용어 안)

  • 권순범;이재규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 no.2
    • /
    • pp.85-100
    • /
    • 1996
  • 국내 전문가시스템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응용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전문가시스템 분야 한글용어에 대한 일관성 있는 용어사용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 전문가시스템 관련 학계, 산업계, 연구소가 통일된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자, 전문가시스템 한글용어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안은 국내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분야의 문헌을 조사하여, 전문가 시스템 분야에서 사용되는 영문용어의 한글용어 대안을 식별하고,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표준용어를 선정하였다. (1) 원래의 뜻에 충실하여 이해가 쉽도록 한다. (2)기존 문헌의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3) 영어발음의 한글표기 보다는 한글용어를 우선한다.

  • PDF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emantic Relation in Building a Structured Glossary (구조적 학술용어사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어서 용어의 의미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Kwon, S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8 no.2
    • /
    • pp.353-37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to affect on the formation of semantic relation from terminology and what is to be affected by these factors to build the database scheme of terminology dictionary by a structural definition. In this research, 826,905 keywords of 88,874 social science articles and 985,580 keywords of 125,046 humanities science articles in the KCI journals from 2007 to 2011 were collected. From collected data, subject complexity, structural hole, term frequency, occurrence pattern and an effect between the number of nodes and the number of pattern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semantic relation of linked terms of established 'STNet' System were analyzed. The summarized results from analyzed data and network patterns are as follows. Betweenness Centrality, term frequency, and effective size affect the numbers of semantic relation node. Among these factors, betweenness centrality was the most effective and effective size. But term frequency was the least effective. Betweenness Centrality, term frequency, and effective size affect the numbers of semantic relation type. Term frequency is the most effective. Therefore, when building a terminology dictionary, factors of betweenness centrality, term frequency, effective size, and complexity of subject are needed to select term. As a result, these factors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rminology dictionary.

A Study on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Relational Attribute on Construction of Structured Glossary - A Semantic Analysis of Legal Terminology (구조적 용어사전 구축에서 법률용어 성분분석을 통한 관계속성 지정의 효과에 관한 연구)

  • Jo, La-H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4.08a
    • /
    • pp.135-141
    • /
    • 2014
  • 본 연구는 법률명 용어의 의미적 성분분석을 통해 '보충적 관계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구조적 용어사전의 관계속성 설정에 적용하였을 때 용어관계에 나타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충적 관계속성'이란 클래스(범주)별 용어들이 가지는 특징에 기반하여 만든 관계속성을 말하며, 용어사전 구축 시 도출한 관계속성을 반영함으로서 용어 간 관계가 유기적이고 명확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 구축지침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법원도서관 '법률용어 관련어집의 316개 용어쌍을 분석하여 '보충적 관계속성'을 도출하였으며, 구조적 용어사전 용어에 적용하여 밀도 값과 밀도의 정도를 시각화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보충적 관계속성' 전, 후의 변화는 적었으나 이는 법률명 용어의 특징으로 인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보충적 관계속성' 반영의 명확한 효과 확인을 위해서는 분석대상용어를 법률명에서 법률관련용어로 확장시켜 연구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PDF

The Impact of Combining Term Wights on Retrieval Effectiveness (용어가중치 결합이 검색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최성환;정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81-48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결합 영역에서 문서값을 정규화 하는 기법과 결합함수에 따라 용어가중치 결합이 검색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용어가중치 결합이 실질적으로 효율적인가를 성능 향상률 측면과 검색시스템의 효율성 측면에서 검증하고, 성능이 향상된 용어가중치 결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실헙결과 대부분의 장어가중치 결합은 문서값 정규화 기법과 실험집단에 관계없이 높은 성능 향상률을 보이지 않았다. 특히 단일가중치고 높은 검색성능을 보였던 상위 가중치 알고리즘들은 다른 가중치 알고리즘과 결합할 경우 두드러진 성능 향상률을 보이지 않았다. 검색시스템의 효율성 측면에서 용어가중치 결합을 평가한 결과 문헌 내 단어빈도를 최대단어 빈도로 정규화한 가중치 알고리즘이 코사인 정규화 기법을 적용한 가중치 알고리즘들과 결합될 때 5개 실험집안에서 최적 단일가중치 보다 2% 이상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는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는 용어가중치 알고리즘들이 장단점을 보완하여 검색성능을 향상시킨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용어가중치 결합의 효율성은 컬렉션과 가중치 알고리즘의 특성에 의존적이었으며, 비록 각 용어가중치 결합의 성능이 높게 나타날지라도 최적의 성능을 보인 달일가중치와 비교하면 그 성능 차이가 미미하거나 낮아서 대부분의 용어가중치 결합이 실질적으로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 PDF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Choe, Seung-Eo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6 no.4 s.287
    • /
    • pp.90-93
    • /
    • 1993
  • 북한의 천문학용어는 한글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살별(혜성)」과 같이 전통적인 우리말을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우리의 용어는 일본의 용어를 전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북한의 용어는 그들의 주체성에 입각하여 일본식 용어에서 탈피하고 있다. 그렇지만 순한글용어와 한자식 용어가 혼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북한의 용어는 두음법칙이 없어 역을 력이라고 표기하는 등 우리와의 맞춤법이 약간 다르다. 그리고 외래어의 표기에 있어서도 우리와는 많이 다르다. 우리는 영어식 발음을 따르고 있는데 반해 북한은 러시아식 발음을 따르고 있다. 어원의 비교를 위해서 일본, 중국 용어도 첨가하였다. 중국은 일본식 용어와는 다른 중국 독자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외래어는 모두 뜻에 맞는 한자용어로 바꾸었다. 위성과 소행성, 성단, 별자리 등의 천체의 명칭도 적절한 중국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Model for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용어관계의 분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Baek, Ji-Won;Chung, Yeon-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3 no.1 s.59
    • /
    • pp.63-8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limitation of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in the current information environment and to propose a solution to result in the richer and refined terminological resources. For this, various kinds of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in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and theoretical research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upon the analysis, a methodology for classification of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was suggested and classification models were presented. Additionally, four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actical uses of the classification models.

Science and Technology Terminology Dictionary Building Process and Workbench Development in Defense Area (국방과학기술 전문용어 사전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 및 워크벤치 개발)

  • Choi, Jung-Whoan;Park, Jeong-Ho;Kim, Kyung-Sun;Kim, P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8
    • /
    • pp.420-428
    • /
    • 2012
  •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usiness, it is important to standardize the meaning of terminology. And then, terminology dictionaries have been actively being built and used in various fields. In defense area, the publication of defense terminology dictionary is useful for information exchange of each army and distribution of standardized terminology.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DTaQ) publishes terminology dictionary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on a three-year cycle. DTaQ tries to standardiz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erminology dictionary and improve service efficiency b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in defense area. This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study about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dictionary. We suggest the practical steps including terminology dictionary constructing process, composition and role of organization, definition of headword, selection of target documents to be extracted terminology candidate, terminology extraction, generation of terminology candidate group, workbench registration,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erminology dictionary. Thesaurus and workbench are developed to use and support terminology dictionary effectively.

Query Term Expansion and Reweighting by Fuzzy Infernce (퍼지 추론을 이용한 질의 용어 확장 및 가중치 재산정)

  • 김주연;김병만;신윤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336-33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적합 피드백을 기반으로 적합 문서들에서 발생하는 용어들과 초기 질의어간의 발생 빈도 유사도 및 퍼지 추론을 이용하여 용어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피드백 문서들에서 발생하는 용어들 중에서 불용어를 제외한 모든 용어들을 질의로 확장될 수 있는 후보 용어들로 선택하고, 발생 빈도 유사성을 이용한 초기 질의어-후보 용어의 관련 정도, 용어의 IDF, DF 정보를 퍼지 추론에 적용하여 후보 용어의 초기 질의에 대한 최종적인 관련 정도를 산정 하였으며, 피드백 문서들에서의 가중치와 관련 정보를 결합하여 후보 용어들의 가중치를 산정 하였다.

  • PDF

Research to establish a road map for the standardization in military and commercial terminology (민·군규격용어 표준화를 위한 로드맵 구축 연구)

  • Park, jeong-ho;Choi, young-ho;Im, ik-soon;Jang, hy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1-252
    • /
    • 2015
  • 본 연구는 국방규격서의 전문어, 오용어, 어문규정 및 순화어 미(未)준수 어휘를 추출, 정의 또는 순화어로 정제하는 맵핑구조를 제시, 민 군규격용어 표준화를 위한 정보업무 로드맵을 구축하여 민간용어와의 호환성 및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연구하였다. 대상 규격용어는 KS용어표준 원칙을 기본으로 한 신뢰도 평가와 텍스트 마이닝 (text mining)빈도분석을 이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시소러스(thesaurus) 체계를 삽입, 개념기반 서비스의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규격용어 DB는 민간 및 국방 관련분야의 용어표준관리 정보체계에 검색 및 용어설명에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