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수수요량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Water Balance Analysis in the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s Considering the Real Water Use System (실제 물이용체계를 반영한 영산강·섬진강 유역 물수지 분석 연구)

  • Gwon, Yong Hyeon;Kim, Kwang Hoon;Byun, Dong Hyun;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1-381
    • /
    • 2021
  • 영산강 유역은 타수계에 비해 농경지 비율이 높으며, 영산강 하류에는 나주평야 등 논농사를 하고 있어 농업용수 위주의 물이용율이 높다. 또한 4대호(광주호, 장성호, 담양호, 나주호) 이외의 대규모 다목적댐이 없어 수자원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섬진강 유역은 유역변경으로 대부분 타수계로 물 공급이 이루어져 하천유량 부족, 섬진강 하류 생태계 피해로 물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관리 일원화에 따른 물이용, 수량, 수질 등을 모두 고려한 효율적인 통합 물관리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통합 물관리를 위해 유역 내 수자원 이용현황과 물 문제해결 등을 고려한 용도별 최적 물이용 계획 및 효율적인 물관리 운영방안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여건 및 특수사항을 고려한 장래 물공급량 변화 및 과부족량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인 영산강·섬진강 유역 특성 및 물공급체계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물수지 분석체계를 구축하여 유역 내 수자원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물이용체계를 반영하고 용수계통에 따라 자기유역 내 또는 타수계에 대해 용도별 수요량에 따른 공급량, 부족량을 산정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1) 하천수는 유수와 저수로 구분하고 유수는 하천 취수시설의 실사용량을 유역단위 수요량으로 추정, 저수는 다목적댐은 계약량, 농업용저수지는 필요공급량을 개별시설의 수요량으로 설정하여 각각의 수원(저수/유수)에 대한 수요량 대비 공급량과 부족량을 분석하였다. 2) 댐과 저수지는 용수공급조정기준에 따라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농업용저수지는 가뭄등급에 따라 하천유지용수를 고려하였다. 3) 주암본댐과 섬진강댐은 송정 수위관측지점의 유량 상황에 따라 환경대응용수를 고려하였다. 4) 주안본댐과 주암조절지댐의 연계 운영을 고려하였다. 물수지 분석 결과 검증을 위해 주요 지점의 관측유량과 물수지 분석을 통해 계산된 유량을 비교하여 적용성 분석을 진행한 결과 상관관계가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산강·섬진강 유역 내 효율적인 물관리 방안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Hydrologic Analysis System for Large Scale River (대하천 수문분석 시스템의 적용)

  • Hwang, Man-Ha;Ko, Ick-Hwan;Lee, Sang-Jin;Jeong, Woo-Chang;Maeng,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26-1429
    • /
    • 2005
  • 실시간 통합 물관리 운영을 위한 강우예측시스템에서 제시되는 예측강우량과 강우시나리오 및 실시간 또는 단기간(10일 이내)의 용수수요와 공급을 위한 분석 기술을 RRFS에 연계함으로써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였다. 이를 위한 기술로서 용수수요량(취수량)과 하천유황을 실시간으로 취득$\cdot$관리하기 위한 물 정보관리기술을 개발하고, 장단기 하천유량의 예측을 위한 하천의 연속 유출량 예측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모의 운영 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estimation focusing on paddy water demand (논용수 수요량 산정을 중심으로 한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의 개선)

  • Park, Chang Kun;Hwang, Junshik;Seo, Yong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1
    • /
    • pp.939-949
    • /
    • 2020
  • Currently, the demand for farmland is steadily decreasing due to chang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ietary life. In line with this, the government adopted an integrated water management with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on June 2019. Therefore, it is required to take a closer look at agricultural water demand that accounts for 61% of water use for efficient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is study, the overal process was evaluated for estimating agricultural water demand. More specifically, agricultural water demand for paddy field, which comprises 67% to 87%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was reviewed in detail. The biggest issue in estimating the paddy field water demand is the selection of the method for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FAO recommends Penman-Monteith, but, currently, our criteria suggest a modified Penman equation that shows over estimation. Also, the crop coefficient, which is the main factor in evaluating evapotranspiration, has an issue that does not consider the current climate and crop varieties because it was developed 23 years ago. Comparing the Modified Penman and Penman-Monteith equations using the data from Jeonju National Weather Service, the modified Penman equation showed a big difference compared to the Penman-Monteith equation. When the crop coefficient was applied, the difference between late May and late August increased, where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was high. The estimation process was applied to four study reservoirs in Gimje. Comparing the estimated water demand with the supplied water record from reservoi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stimation accuracy depends on not just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but also the standard water storing level in paddy field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Water Supply and Demand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 Response Plan of Small-scale Water Facilities (소규모수도시설의 공급량-수요량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가뭄 대응 방안 연구)

  • Choi, Jung-Ryel;Chung, Il-Moon;Jo, Hyun-Ja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4
    • /
    • pp.469-481
    • /
    • 2019
  • In addition to structural stabilization measur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Sand Dam, non-structural management measures such as reasonable water demand and supply volume management are needed to prevent limited water supply damage due to drought. In this study, water supply-demand monitoring system was established for drought response in Seosang-ri basin in Chuncheon, the main source of domestic water for small water facilities. The flow rate of the stream was measured for monitoring the supply volume, and the daily flow rate was calculated by using it to calibrate the parameters of the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o monitor demand, the daily usag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ly calculated daily supply and demand amount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shortage of water.

Assessment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rural water supply network (평야부 용배수계통을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 이수안전도 평가)

  • Mi-Hye Yang;Won-Ho Nam;Ji-Hyeon Shin;Dong-Hyun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1-81
    • /
    • 2023
  • 농업용 저수지는 전체 수리답 면적 중 61.3%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작물의 수확과 생산성을 위해 안정적인 물 공급이 요구된다. 수자원 분야에서는 물 공급 안정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수안전도를 사용하고 있지만, 농업용 저수지는 기준의 부재로 10년에 1회 정도의 갈수를 기준으로 하는 설계기준인 10년 한발빈도를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농업용 저수지의 약 86%가 1940-1970년대에 축조되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내한능력의 변화, 용수관리 및 수요량의 변화, 설계한발빈도 변화 등으로 현시점의 이수안전도 파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수안전도는 물 부족량과 물 수요량을 활용한 양적기준 신뢰도와 물 부족 발생기간에 따른 시간기준 신뢰도로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야부 용배수계통을 고려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양적 및 시간기준 신뢰도 관련 이수안전도 기준인 이수안전율과 공급신뢰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수요량 산정방법은 물수지 분석 모델인 수리수문설계시스템 (K-HAS, Hydraulics & Hydrology Analysis System)을 활용하여 물 부족량과 물 수요량 및 물 부족 발생기간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며, 용배수계통을 고려하기 위해 수로 네트워크 적용 및 수리학적 용수공급 모의가 가능한 EPA-SWM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rom Water Management Model)을 통해 평야부 필지마다 물공급 만족정도를 비교하여 필요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최대 부족량과 수요량으로 산정가능한 양적기준 신뢰도인 이수안전율과 물공급부족기간으로 산정가능한 시간기준 신뢰도인 공급신뢰율을 산정하여 비교하고, 해당 이수안전율과 공급신뢰율을 한발빈도로 환산하여 기존 설계한발빈도와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n Adaptive Capacity Indicator to Climate Change in the Agricultural Water Sector (농업용수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 개발 - 가뭄에 대한 적응을 중심으로 -)

  • Yoo, Ga-Young;Kim, Jin-Teak;Kim, Jung-Eu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7 no.4
    • /
    • pp.35-55
    • /
    • 2008
  •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s the first step to take when setting up appropriate adaptation strategies. Adaptive capacity to climate change is the important factor comprising vulnerability. An adaptive capacity index i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considering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for rice production in Jeolla-do, Korea.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was assumed to be equal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major agricultural reservoirs, while data on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was obtained from the dynamic simulation results by Korea Agriculture Corporation(KAC). The spatial unit for analysis was conducted at the county(Si, Gun, Gu) level and temporal scale was based on every month from 1991-2003. Adaptive capacity for drought stress index(ACDS index)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data points where the irrigated water supply was greater than the crop water demand. The ACDS index was compared with SWSCI(Standard Water Storage Capacity Index) and the relationship showed high degree of fit($R^2$=0.84) using the exponential function, indicating that the developed ACDS index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status of the balance between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especially for the small sized agricultural reservoirs. This study provided the methodological basis for developin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in agricultural water system which is projected to be more frequently exposed to drought condition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Further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the study on the water demand of the crops other than rice and to the projection of the change in ACDS index in the future.

  • PDF

한국 제조업의 용수(用水)에 대한 적정가격 설정 - 수요관리 정책을 중심으로 -

  • Lee, Myeong-He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7 no.1
    • /
    • pp.151-164
    • /
    • 1997
  • 물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공급기반시설의 확충과 함께 여러 형태의 경제적 유인제도의 활용을 통한 수요관리정책을 병행함으로써 물의 절약효과를 최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3년 한국 제조업을 대상으로 시장구조적, 환경적 제약여건하에서 공업용수의 비효율적인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적정수준의 용수수요량을 유도하기 위하여 용수가격의 인상을 추진할 경우, 이에 필요한 가격인상율을 제시한다. 방법론적으로는 적정수준의 자본투입을 가정한 제약일반비용함수를 추정한다. 추정결과, 공업용수는 적정수준에 비해 무려 평균 50배 이상 과다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1993년 현재의 용수가격을 106.8% 인상시켜야 적정수준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stimating the Contribution of Industrial Water on Output and Price Elasticities in Manufacture (제조업 생산에 대한 공업용수의 한계생산가치와 가격탄력성 연구)

  • Min, DongKi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5 no.5
    • /
    • pp.961-974
    • /
    • 2006
  • This paper estimates output and price elasticities of the industrial water in order to provide the government with tools that help make educated decisions with regard with the water provision policies rendering the latter more efficient. The estimated output elasticity produces useful insights on the role of industrial water as an input into the production process while the estimate of price elasticity enablesus to forecast the effects of various water pricing policies. This paper employs the marginal productivity method in order to estimate the abovementioned elasticities. The magnitude of the estimated output elasticity imply that the value of industrial water is much higher than its average price while the price elasticity estimate suggests that the water pricing policy can be an effective tool of controlling the demand for industrial water.

  • PDF

The Development of Model for the Prediction of Water Demand using Kalman Filter Adaptation Model in Large Distribution System (칼만필터의 적응형모델 기법을 이용한 광역상수도 시스템의 수요예측 모델 개발)

  • 한태환;남의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5 no.2
    • /
    • pp.38-48
    • /
    • 2001
  • Kalman Filter model of demand for residental water and consumption pattern wo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explain the hourly residental demand for water in metro-politan distribution system. The daily residental demand can be obtained from Kalman Filter model which is optimized by statistical analysis of input variables. The hourly residental demand for water is calculated from the daily residental demand and consumption pattern. The consumption pattern which has 24 time rates is characterized by data granulization in accordance with season kind, weather and holiday. The proposed approach is applied to water distribution system of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nd its effectiveness is check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