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수사용량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23 seconds

A Study on River Water Usage by Real-time Discharge Measurement (실시간 유량계측을 이용한 하천수사용량 검토)

  • Cho, Sang UK;Song, Jae Hyeon;Roh, Young S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9-249
    • /
    • 2018
  • 기존의 하천수사용량 자료의 계측은 하천수 사용자의 취수여건을 고려하여 유량계 외에 가동시간에 따른 환산유량 등의 간접적인 계측방법을 인정하고 있어 자료의 객관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초음파 유속계를 활용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간접적인 계측방법을 평가하고 적절한 환산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험유역을 선정하고 계측시설을 설치 및 운영하였다. 하천수 사용량 수집을 위한 시험유역은 만경강의 고산~봉동 수위관측소 구간과 영산호~영암호 구간 연락수로에 ADVM(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 초음파유속계를 설치하여 실시간 자동유량측정시설을 운영하였다. 만경강의 고산~봉동 수위관측소 구간은 양수장 1개소 및 취입보 3개소의 농업용수 사용과 취수장 1개소의 공업용수 사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구간 내 약 20개의 배수통문 및 배수통관 그리고 하천변을 따라 수지상으로 다수의 농수로가 존재하고 있어 하천유량 파악이 매우 어렵다. 또한 영산호 홍수조절을 위한 영산호와 영암호 배수갑문 연계 운영을 위해 영산호~영암호 구간의 연락수로 유입량을 파악이 필요하나 영산호와 영암호 배수갑문 운영 및 연락수로의 제수문 운영에 따라 연락수로 유입량 파악이 어렵다. 따라서 고산~봉동 수위관측소 구간은 2015년, 영산호~영암호 구간은 2017년부터 실시간 유량계측을 통해 유량자료를 측정하고 구간 내 하천수사용량을 파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운영성과를 연구범위로 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에 파악이 어려운 유량자료를 직접적인 계측방법을 통해 자료를 객관화 할 수 있었으며 추가적인 물수지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하천유량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PDF

Application of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for measuring agricultural water intake (농업용수 사용량 계측을 위한 전자파 표면유속계의 적용)

  • Baek, Jongseok;Kim, Chiyoung;Lee, Kisung;Kang, Hyunwoong;Song, Jae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2
    • /
    • pp.1071-1079
    • /
    • 2020
  •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t is essential to secure basic data such as the amount of agricultural water intake. The river water intake through the intake weir is carried out through the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water intake is requir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ing points.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the calculated flow data was determined by applying a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The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is a method of calculating surface velocity using doppler effect, which is mainly used in high-velocities situations such as flood. Surface velocity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average velocity of the entire section at low dicharges or high wind speeds, it is considered to be low in continuous utilization throughout the year, and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the measurement using an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 meter is appropriate in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 The data measured with an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 meter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flow data to calculate the intake data in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 In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 the low-level discharge calculated using an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at a minimum velocity of about 0.3 m/s and a minimum discharge of about 1.0 m3/s or higher was found to have a high tendency and accuracy compared to the standard discharge, especially when the high discharge was high. Although effective results can be obtained in terms of quantity at low discharge, it is deemed that subsequent studies are needed to calculate the average discharge of the cross section at low discharge, given that the trend of data is unstable.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appropriate to calculate the amount of water intake through the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in artificial waterways with a certain discharge or higher, so it is expected to be widely distributed as a method for measuring river water intake.

다겹 판지의 탈수 및 건조효율 개선을 위한 연구

  • 서형일;류정용;김용환;송봉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01-101
    • /
    • 2002
  • 현재의 세계 제지업계는 고지의 사용량과 용수의 재홀용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있다. 특히 한국의 고지 재활용률은 세계 최고수준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재생용지 생산업채는 고지의 높은 재활용률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문제점에 당면하고 있다. 국산 고지는 반복적인 재활용으로인하여 섬유장이 짧고 매우각질화된 상태이며, 펄프 내 미세분 함량이 50%이상에 달하고 있다. 또한 섬유의 표면이 인쇄잉크, stickies 및 각종 이물질로 오염됨에 따라, 섬유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섬유간 결합 능력이 저하된 상태이다. 이는 초지시, 탈수성을 악화시켜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탈수성 악화에 기인하여 충분한 고해 과정을 거치지 못하여 생산된 종이의 물리적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KOCC를 주원료로 사용하는 다겹 판지의 제조공정 또한 재활용 원료의 열악함에 기인한 초지계 내의 과다한 미세분 축적과 이로 인한 탈수성의 저하 및 건조효율의 저하를 막기 힘들었다. 이러한 탈수성 및 건조속도의 저하로 종이 생산 효율의 개선 및 각 물성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웠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Polyelectrolyte를 첨가하였으나 현저한 효과를 보기 힘들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목질계 부원료인 Lignocell을 사용하여 초지시 탈수성 향상과 건조 촉진, 생산된 종이의 bulk 향상으로 인한 stiffness 등 물리적 성질의 향상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PDF

Curtailment of Water use Through the Integration of Process Waste Waters at the Standard Thermal Power Plant (표준화력발전소의 발전폐수 통합을 이용한 용수 사용량 절감)

  • Mun, Gyeong-Seok;Jang, Heui-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22 no.3
    • /
    • pp.437-443
    • /
    • 2006
  • The Water usage is relationship which is close with the administrative cost from industrial facility. It is not easy to reduce a water usage. This research is the optimization of the waste water quantity which process waste water integration of the standard thermal power plant in system operate time. The turbine rotates by force of the steam and it produces an electricity. Demineralization Water is manufacture purity manufacturing equipment and it is supplied in power plant channel. We knew a possibility of reducing from pure control process. When it is reduced the Back Washing time, Rinsing time of the gravity filter and the activated carbon filter. Also, It is possible even from regeneration phase in Condensate Polishing Demineralization System. In addition, There is also the water which the drain of the sampling water for watching the condition of power plant process will be able to use. Integrates these processes it will be able to reduce an annual 30,000 ton degree. The research is want to us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water curtailment of the power plant.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Development and Pumping (지하수 개발 및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분석)

  • Kim, Min-Chul;Yang, Sung-Kee;Jang, Woo-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8-248
    • /
    • 2015
  • 제주도의 연평균 강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강우일수는 감소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재해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도는 전체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로 사용되어 면적 대비 많은 지하수관정이 개발 이용되고 있으며, 용수이용에 따른 고갈 및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분석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제주지역의 지하수위는 계절적 변동특성이 확연히 나타나지만 평시에는 큰 변동이 없는 지하수위 수준을 보이며, 실제 지하수 이용률은 허가량의 30%이하로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변동은 크게 체감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극심한 가뭄재해 발생 시 기존 사용량을 초과 양수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지하수위는 급격하게 하강되고, 제주 수자원관리에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지속적인 지하수 개발이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유동 및 수위변동 분석이 가능한 수치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도 성산유역을 대상으로 199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주기 양수에 따른 지하수위 하강 특성을 분석하였다. 1993년 이전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55개소, 2003년까지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108개소로 지하수 개발은 약 1.9배 증가되었으나 양수능력을 적용하여 지하수위 변동을 분석한 결과 2.5배~3.1배 하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지하수 개발은 유역 상부에 집중되었으며 상류부 지하수 양수에 따라 해안지역의 지하수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Estimation of irrigation return flow from paddy fields on agricultural watersheds (농업유역의 논 관개 회귀수량 추정)

  • Kim, Ha-Young;Nam, Won-Ho;Mun, Young-Sik;An, Hyun-Uk;Kim, Jonggun;Shin, Yongchul;Do, Jong-Won;Lee, Kwang-Y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
    • /
    • pp.1-10
    • /
    • 2022
  • Irrigation water supplied to the paddy field is consumed in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underground infiltration, and natural and artificial drainage from the paddy field. Irrigation return flow is defined as the excess of irrigation water that is not consumed by evapotranspiration and crop, and which returns to an aquifer by infiltration or drainage. The research on estimating the return flow play an important part in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of agricultural watershed. However, the return flow rate calculations are needs because the result of calculating return flow is different depending on irrigation channel water loss, analysis methods, and lo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irrigation return flow rate of agricultural watershed was estimated using the monitoring and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modeling from 2017 to 2020 for the Heungeop reservoir located in Wonju, Gangwon-do. SWMM modeling was performed by weather data and observation data, water of supply and drainage were estimated as the result of SWMM model analysis. The applicability of the SWMM model was verified using RMSE and R-square values. The result of analysis from 2017 to 2020, the average annual quick return flow rate was 53.1%. Based on these results, the analysis of water circulation characteristics can perform,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Estimation of Crop Virtual Water in Korea (한국의 농산물 가상수 산정)

  • Yoo, Seung-Hwan;Choi, Jin-Yong;Kim, Tae-Gon;Im, Jeong-Bin;Chun, Chang-H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11
    • /
    • pp.911-920
    • /
    • 2009
  • Virtual water is defined as the volume of water required to produce a commodity or service. The degree of food self-sufficiency is currently about 27 % in South Korea, so that Korea is one of the largest net virtual water import countries for agricultural product, thu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suitable virtual water for South Kore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quantify the agricultural virtual water use (AWU) and virtual water content (VWC) using the method suggested by Chapagain and Hoekstra during the period 1991-2007. To calculate the virtual water content, 44 different crop production quantity and harvested area data were collected for 17 years and FAO Penman-Monteith equation was adapted for computing crop consumptive use of water. As the results, AWU has been estimated at 15.1 billion $m^3$ in average showing a tendency to decrease. Rice has the largest share in the AWU, consuming about 10.1 billion $m^3$/yr which is about 75 % of gross AWU, and the VWC is 1600.1 $m^3$/ton for paddy rice. The largest VWCs of crops are oilseed and tuber crop, and the smallest are leaf and root vegetables. The primary crop production VWC can be used for calculating the VWC of various secondary products using the contribution ratio,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national agricultural water footprint.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GHGs Emissions to the Reuse of De-ionized Water Production Process in Semiconductor Factory (반도체 생산용 초순수 제조공정의 농축수 재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량 평가에 관한 연구)

  • Han, Jong-Min;Chung, Jin-Do;Kim, S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9
    • /
    • pp.518-525
    • /
    • 2018
  • In the 21st century, human being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greenhouse gas emissions as the environment changes due to climate change become serious. The temperature of Korea has risen by approximately $1.5^{\circ}C$ from 1904 to 2000, and the climate is changing gradually to a subtropical climate.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floods and droughts increases, so that the water available to humans is decreasing every year, and the cost of using city water is rising every year. The reuse of wastewater that is normally abandoned is inevitable. This study examined the monthly data for 6 months of operation by installing a reuse system of concentrated wastewater (Re R/O System) that i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de-ionized water (DI-Water System) used in semiconductor processing.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ity water supply saved approximately $2,767m^3$ per month. The average annual greenhouse gas emissions was $1,329.07kg-CO_2$ per month due to the electricity consumption of the water reuse system. On the other hand, because of the reduction in city water supply, the average monthly average of $918.64kg-CO_2$ was reduced,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increased to $410.43kg-CO_2$ per month. If it improves some processes in the water reuse system,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can be reduced by an average of $254.41kg-CO_2$ per month.

Analysis and Application of Water Footprint to Improve Wa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 - With a Focus on Seoul City - (서울시 물환경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물발자국 도입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자치구 물환경관리 정책 및 제도, 관리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

  • Chun, Dong Jun;Kim, Jin-Oh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3
    • /
    • pp.222-232
    • /
    • 2016
  • Water Footprint is utilized to analyze direct and indirect water consumption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otential applicability of water footprint concept by analyzing the status of water consumption and related water policies in Seoul. We analyzed a direct gray water footprint and the blue water footprint in Seoul affected by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in the city. In particular, in order to analyze the blue water footprint represented by both surface and underground water for the provision and consumption of products, we calculated the actual water consumptions of surface and underground water for 25 districts in Seoul. Our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population and households indicates that Jung-gu has the highest blue water footprint followed by Jongro-gu, Gangnam-gu, Yongsan-gu, and Seocho-gu. Gray water footprint was calculated by estimating the amount of water for purifying wastewater to meet the water quality standard (above BOD 3.5ppm) for each district. As a result, Jung-gu has the highest gray water footprint, followed by Jongro-gu, Gangnam-gu, Yongsan-gu, Seocho-gu, and Youngdeungpo-gu. Our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value of using water footprint concept to complement the current limitations of water use management focusing on water supply control. We expect that our analysis will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considering water use management which is economically and socially more resilient and sustainable.

Seasonal Change Analysis of Groundwater in Nakdong Riverside Greenhouse Complex Using Groundwater Monitoring (지하수관측을 이용한 낙동강변 시설농업단지 지하수의 계절적 변화 분석)

  • Baek, Mi Kyung;Shin, Hyun Chae;Kim,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3-283
    • /
    • 2020
  • 국가의 논의 타작물 재배 권장 정책과 농한기 수익을 위해서 동절기에도 농사가 가능한 시설농업이 발달했으며, 1990년 초부터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2000년에는 10만 ha를 넘어섰고, 2018년에는 80만ha의 규모를 보이고 있다(농사로, 2019). 시설농업단지의 동절기 난방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화석연료와 전기열원을 사용하고 있고, 특히 강변의 경우 지하수를 난방 열원으로 사용가능해 수막재배를 이용한 대규모 시설단지가 발달함에 따라 지하수의 이용량이 증가하고, 2015년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은 연간 20억 톤에 이른다(GIMS, 2019). 난방이 필요한 동절기에 수막용수를 위한 지하수 이용량이 급증하여 계절적인 수위변화를 보이며, 특히 강변의 대규모 시설농업단지의 지하수의 부족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실정이다(송성호, 2017). 본 연구지역은 낙동강 하구댐 설치 전만조 시 해수의 유입으로 암반지하수의 심도가 증가할수록 EC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이는 곳으로, 지하수의 이용량이 급증하는 동절기에 특히 급격히 증가하여 지하수의 안정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염분변화의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지하수의 계절적인 변화를 위해 시설농업단지내에 지하수 관측정이 설치되어 관측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관측정의 2013년 1월~2019년 1월까지 지하수의 EC변화를 관측하였다. 지하수의 수위(GL.m), 온도, EC를 1시간 주기로 관측하여 계적적인 변화를 분석하였고, EC의 증가가 큰 곳은 심도별로 센서(다중심도)를 설치하여 염도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지하수성분의 지질학적 기원분석을 위한 양음이온 분석을 연 1회 실시하였다. 또한 관측정의 심도별 변화를 알기 위해 동일지역에 충적, 암반 관측정을 따로 설치하고 관측하여 지표수와 지하수의 심도별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동일지역의 관측결과 평균 5m이하의 수위변화를 보이나, 5m 이상의 수위변동을 보이는 관측망은 15년 14개소 17년 19개소로 증가추세를 보이며, 이는 주로 밀집된 시설하우스 단지의 수막재배를 위한 겨울철 지하수 사용량 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지역은 강변지역에 밀집된 시설하우스단지의 동절기 수막재배를 위한 지하수 과다 사용으로 수위급감 및 수량부족현상이 반복되고 있어, 예방과 대책강구를 위해 지표수의 함양과 지하수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과 자료축적 및 추가연구를 위한 장기관측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