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매분획

검색결과 865건 처리시간 0.026초

시험관내에서 멸치액젓이 Bromobenzene유발 간조직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ermented Anchovy on the Bromobenzene-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vitro)

  • 박종옥;최종원;김희숙;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79-1185
    • /
    • 2000
  • 멸치액젓의 용매분획을 $50^{\circ}C$에서 10일동안 항온실험한 경우 각 용매분획의 건조중량 10 ${\mu}g$ 또는 20 ${\mu}g$이 5 mg의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매분획 중 부탄올분획 및 수용액분획이 염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염분의 함량은 각각 12.2% 및 21.1%이었다. 흰쥐에게 간장독성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진 bromobenzene을 주사하고 간조직을 분리하여 in vitro에서 멸치액젓이 간균질액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모든 용매분획들이 3 mg/mL 또는 1 mg/mL 농도에서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강하게 감소시켰으며 수용액분획의 경우 0.3 mg/mL 농도에서도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들 중 aniline hydroxylase, aminopyrine N-demethylase, xanthine oxidase 및 aldehyde oxidase 활성에 대한 멸치액젓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간세포 마이크로솜 분획에 존재하는 aniline hydroxylase 및 aminopyrine N-demethylase의 활성을 모든 용매분획이 저해하였다. 즉, 3 mg/mL 농도에서는 거의 정상쥐의 효소활성 수준까지 회복시켰고, 0.3 mg/mL의 농도에서도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나 세포질 효소인 xanthine oxidase 및 aldehyde oxidase의 활성에 대하여는 저해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bromobenzene-유도 간지질의 과산화물 생성과정에 있어서 멸치액젓의 항산화물질들은 free radical을 포획하여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epoxide생성단계를 저해하여 과산화지질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삼채의 조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rude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llium hookeri)

  • 이용범;함영민;윤선아;오대주;송상목;홍인철;이시택;현호봉;김창숙;윤원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25
    • /
    • 2017
  • 본 연구는 삼채의 조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가지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활성 검색 결과 디클로로메탄($CH_2Cl_2$)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는 DPPH 활성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제일 뛰어났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superoxide 소거 활성은 헥산(n-hexane) 분획물에서 활성이 나타났다. RAW 264.7 세포에 lipopolysaccharide로 자극을 주고 삼채 주정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처리하여 확인해본 결과, 조추출물과 물 분획물을 제외한 나머지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염증유발 인자(NO, $PGE_2$, iNOS, COX-2, IL-6 및 $IL-1{\beta}$) 생성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 삼채 조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항산화 효과 및 염증 유발 인자의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 삼채에서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산화, 항염증 물질의 연구 또는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Inhibition of Oxidative Damage by Phlorotannins from Ecklonia cava in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 Kim, Moon-Moo;Rajapakseb, Niranjan;Kim, Se-Kwon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6-135
    • /
    • 2006
  • Phloroglucinol 단위체로 구성된 Oligomeric polyphenol인 Phlorotannins을 갈조류의 일종인 감태(Ecklonia cava)의 메탄올 추출물의 용매 분획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감태추출물의 용매분획으로부터 Phlorotannins의 억제효능을 주름형성과 연관성이 있는 사람피부섬유아세포(HDFs)에서 조사되었다. ESR spectroscopy 분석에서, 감태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 부터의 Phlorotannins에서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및 Alkyl radical에 대하여 가장 높은 소거효능이 나타났다.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DCFH-DA)와 Diphenyl-1-pyrenylphosphine (DPPP)을 이용하여 세포내에서 활성산소종 및 지질과산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감태의 다른 용매 분획과 비교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분획으로 부터의 Pphlorotannins의 존재에서 이들수준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P < 0.01). 더욱이, Phlorotannins은 세포내의 Glutathione (GSH) 함량도 시간에 따라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들은 감태의 Phlorotannins이 산화적 스트레스와 연관성이 있는 주름형성 같은 여러가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잠재적인 효능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 PDF

쑥 추출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에 미치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ugwor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 곽정훈;서운교;한영환
    • KSBB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220-223
    • /
    • 2001
  • Melanin 생합성에 관련된 tyrosinase 저해활성올 생 쑥과 건조 쑥 용매 추출물로부터 검색하였다. 쑥은 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및 열수 추출을 하였고, 생 쑥의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건조 쑥의 ethan야 추출물의 hexane 분획에서 회수올은 각각 15.2%와 15.5%로 가장 높았다. 각 용매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건조 쑥 추출불보다 생 쑥 추출울이 더 높았고, 생 쑥의 ethanol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과 hexane 분획에서 각각 98.9%와 9 96.7%로 큰 저해활성을 가졌다.

  • PDF

갈대(Phragmites communis) 뿌리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용매 분획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 (Nitrite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Phragmites communis rhizome extract)

  • 인만진;오남순;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453-456
    • /
    • 2022
  • 갈대(Phragmites communis) 뿌리를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n-hexane, chloroform 및 ethyl acetate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갈대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갈대 뿌리 추출물의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분획물은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 능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용매 분획물은 10 mg/mL 농도에서 효과적인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보여주었다.

국화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리활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Extracts and Fractions in Compositae Plants)

  • 강정란;유은미;한갑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45-251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국화류3종 학슬, 희렴, 한련초를 대상으로 MeOH 80% 추출물 및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분획을 이용한 항균활성,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활성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항균활성의 경우 MeOH 80% 추출물에서는 한련초와 용매분획 중에서는 학슬의 헥산분획, 희렴의 클로로포름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한련초의 클로로포름분획을 중심으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3종 모두 용매분획 중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에서 90%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의 경우 희렴과 학슬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국화류3종 MeOH 80%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항산화 및 미백작용이 우수하므로 기능성화장품소재 개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딸나무의 부위별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and Solvent Fractions in Cornus kousa Buerg)

  • 김영중;정진아;권수현;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5
    • /
    • 2008
  • 산딸나무의 꽃, 잎, 열매, 가지 등 부위별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생리활성물질 함량, 항산화활성 그리고 tyrosin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다른 부위보다 꽃 추출물에서 169.638 $mg{\cdot}g^{-1}$과 25.418 $mg{\cdot}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Fe^{2+}$ chelating 효과 역시 꽃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Ferric thiocyante 방법으로 지질 과산화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꽃, 잎, 가지의 경우는 BHT보다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다. Tyrosinase 억제활성은 오직 꽃 추출물에서만 나타났다. 높은 생리활성을 보인 꽃과 잎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의 순으로 용매분획한 결과, 폴리페놀함량은 꽃과 잎 모두 water 분획물에서 각각 67.006 $mg{\cdot}g^{-1}$ 및 66.739 $mg{\cdot}g^{-1}$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꽃의 경우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고, 잎은 butanol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꽃 추출물의 경우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고 잎 추출물은 butanol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꽃과 잎의 각 용매 분획물이 tyros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모두 water 분획물에서 각각 49.24% 및 31.8%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조직 혈액응고인자에 대한 식용버섯류의 저해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Edible Mushrooms on the Tissue Thromboplastin (Tissue Factor))

  • 황금희;김현구;한용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1-166
    • /
    • 1997
  • 식용버섯류를 대상으로 혈액응고계를 활성화시키는데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인 tissue factor에 대한 저해활성을 시험관내에서 측정하였으며 몇 가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분획을 조제하고 이들의 TF에 대한 저해활성을 비교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검색된 버섯류의 메탄올 추출물들은 모두 TF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표고버섯은 비교적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양송이버섯과 영지버섯 역시 TF 저해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송이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의 $IC_{50}$은 in vitro에서 $1.30\;{\mu}g$이었고 영지버섯은 $4.32\;{\mu}g$, 표고버섯은 $0.25\;{\mu}g$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하고 각 용매분획의 TF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고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강한 TF 저해활성이 확인되었고 영지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도 TF에 대한 저해활성이 나타났으며 표고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얻은 결정성 물질 역시 TF를 저해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든 버섯의 물층에서는 활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영지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IC_{50}$$107\;{\mu}g$, 표고버섯의 경우 $770\;{\mu}g$의 값을 나타냈고 표고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얻은 결정성물질의 $IC_{50}$은 10.2 mg이었다.

  • PDF

대장균 베타-갈락토시데이즈를 이용한 Phenylethanol Galactoside 합성 조건의 최적화 (Optimal Conditions for Phenylethanol Galactoside Synthesis using Escherichia coli β-Galactosidase)

  • 정경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9-106
    • /
    • 2021
  • Phenylethanol (PhE)에서 야기되는 피부 부작용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phenylethanol galactoside (PhE-gal)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대장균 효소 β-galalactosidase(β-gal)을 이용하여 PhE로부터 PhE-gal를 합성하는 반응의 최적 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용매 분획연구를 수행하여 PhE-gal의 특성도 조사하였다. 반응조건 중에서 반응액의 β-gal 농도, PhE 농도, 반응액의 pH, 그리고 온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최적 β-gal의 농도는 0.45 U/ml, 최적 반응물 PhE의 농도는 1.0%, 최적 반응액의 pH는 8.0, 최적 반응온도는 40℃ 였다. 그리고, 최적 반응조건에서 48 시간까지의 반응을 관찰하였는데, 약 81.9 mM의 PhE로부터 약 47.4 mM의 PhE-gal이 합성되었고, PhE로부터 PhE-gal로의 전환수율은 약 57.9% 정도였다. 또한, PhE와 PhE-gal이 포함된 반응물을 용매 EA와 MC로 분획한 결과, 물 층으로 대부분의 PhE-gal이 분획 되었고, 용매 층으로는 PhE가 분획 되었다. 그러나, 물 층으로의 PhE-gal의 분획이 용매 MC를 사용할 때, 더 분명하고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용매 EA를 이용한 분획에서는 명확히 물 층으로 PhE-gal이 분획 되지 않았다. 앞으로, PhE-gal을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첨가물(방부제)로 개발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

무화과 잎의 용매분획 및 항미생물 활성 (Solvent Fractionation of Fig Leaves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 강성국;정희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289-292
    • /
    • 1995
  • 무화과잎으로부터 천연 항미생물 물질의 개발을 검토할 목적으로 무화과잎을 메탄올로 추출하고 ethyl acetate와 buffer용액을 이용하여 용매분획하였고 각 분획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활성이 강한 분획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치사농도(MLC)를 측정하였다. 무화과 잎중의 항미생물 활성은 산성 분획과 페놀성 분획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미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활성범위가 넓었다. 페놀성 분획이 산성 분획에 비하여 MIC와 MLC값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MIC값의 경우 두 분획이 공통적으로 세균보다는 진균류에 대하여 낮았으며 특히 저온세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MIC와 MLC값이 대단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PDF